-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6/11/08 20:17:18
Name   기아트윈스
Subject   시국 단상: 박대통령과 골룸
1.

유학와서 놀랐던 것 중 하나는 공부에 대한 영국 학생들의 태도가 저와 사뭇 다르다는 거였어요. 전 그저 좋은 학교로, 더 높은 단계로 가기 위해 아득바득 기어올라가고 있는데 얘들은 그 옆에서 팔자 좋게 [...란 무엇일까] 같은 열라 추상적이고 학구적인 문제의식을 하나씩 품고 해답을 얻기 위해 책을 뒤지고 있더라구요. 연구능력 자체는 빡세게 굴러온 제가 좀 더 높을지 모르지만 태도만 놓고 보면 그들은 도인이요 저는 속물 같았어요.

연구를 통한 진리탐구 자체가 목표가 아니라 그저 위로 올라가는 게 목표였기에, 저는 한 단계가 끝나면 풀썩 주저앉아 버리고 말아요. 일단 올라가고 나면 목표를 달성했다는 느낌에 맥이 탁 풀려버리거든요.

이러한 태도를 압축해서 표현하자면 목적/수단의 전도상태라고 할 수 있어요. 학위를 얻는 건 진리탐구를 위한 수단일 뿐이어야하는데, 역으로 학위를 목표로 진리탐구를 수단삼고 있는 셈이니 이거 단단히 잘못된 거예요.



2.

박대통령에게서도 비슷한 모습을 볼 수 있어요. 대통령이 되어서 이러이러한 저러저러한 걸 하겠다라는 목적의식이 없거나, 혹은 희박해요. "대통령이 되고야 말겠다"라는 그 일념이 굉장했던 것과 좋은 대조를 이루지요. 어떤 걸인의 "은전 한 닢" 같달까요. 골룸의 "절대반지" 같달까요. 그걸 얻는 게 중요할 뿐 얻고 나서 그걸로 뭘 어떻게 할 지에 대해선 깜깜한 거예요.

목적과 수단이 도치된 이들이 이렇게 목적화된 수단(당선/학위취득)을 달성해버리면, 제가 그랬 듯, 일종의 공황 상태에 빠져요. 대통령 당선/학위 취득 등을 정점으로 대단원의 막이 내려가고 극이 끝나야 하는데, 다시 막이 올라가더니 액트 5(Act 5)가 시작되버린 거예요. 배우 입장에선 속이 콱 막히지요. "액트4로 끝나는 거 아니었어? 이거 왜이래? 대본도 본 적 없는데 갑자기 5장을 하라고?"

우리가 동화 속의 "...그래서 행복하게 살았답니다" 이후를 상상하지도 않고, 상상하기도 어렵 듯, 박대통령은 대통령이 된 후의 삶이 암전 속에서 여기저기 손으로 더듬는 것처럼 답답했을 거예요. 마치 엔딩을 봤는데도 끝나야할 게임이 끝나지 않아서 캐릭터를 이리저리 움직여보고 점프도 해보고 칼질도 해보며 방황하는 게이머들처럼요.



3.

대본도 대사도 없는 즉흥극을 해야하는 주연 배우는 심박수가 빨라지고 동공이 커져요. 뭘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는데 사람들은 모두 자기만 쳐다보고 있으니까요. 이런 배우에게 무대 앞에서 누군가가 스케치북으로 대사 비스끄무레한 걸 적어서 들어보여주면 숙고할 여지 없이 읽어버리게 마련이지요. 대사 없이 닥치고 서있는 것보단, 정체 불명의 누군가가 적어준 뭐라도 읽는 게 마음이 훨씬 편하거든요. 하물며 그 사람이 정체 불명의 괴인이 아니라 자신의 평생 지기(知己)일 경우에야!

마찬가지로 이런 상황에서 다른 배우가 무대 위로 올라와서 즉흥적으로 상황을 만들고 대사를 치고 플롯을 이끌어가면 또 얼마나 고맙겠어요. 자신이 하이라이트를 독점하고 있을 때보다 누군가가 그 하이라이트를 조금이라도 가져갔을 때, 설령 그게 결과적으로 주연 고유의 권한을 빼앗는 것이나 마찬가지였다고 할지라도, 조금 더 안도하게 될 거예요.

박대통령은 대통령 당선으로 인해 생긴 거대한 권력을 어떻게 써야겠다는 이념도 계획도 희박했기 때문에, 옆에서 이 권력을 다른 누군가가 이렇게 저렇게 대신 써주는 상황에 안도했던 걸지도 몰라요. 자기는 뭘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는데 옆에서 우병우가, 최순실이, 정호성이, 안종범이, 안봉근이, 이재만이 슥삭슥삭 능숙하게 권력을 행사해주니 얼마나 갸륵했겠어요. 충신이라고 생각했을 거예요.



4.

이런 식으로 생각의 타래를 이어가다보니 초점이 다시 제 자신에게로 돌아오네요. 목적과 수단의 꼬인 관계를 풀지 않으면 학위과정을 제대로 마치기 어려울 테니, 저로서는 어떻게든 이 관계를 풀어야 해요. 이럴 때 가장 요긴한 건 역시 스스로에게 솔직해지는 거예요. 내가 진짜로 원하는 게 뭐였는지를 계속해서 자문함으로써 마음 속 껍질 깊숙히 포장되어있는 속내를 찾아내야 해요. 그렇게 찾아낸 골룸 같은 속내를 대명천지에 꺼내 놓고, 그 속물됨을 인정하고, 용서하고, 마지막으로 꼭 껴안고 화해할 때라야 지금의 교착 상태를 돌파할 동력을 얻을 수 있을 거예요. 프로도가 골룸을 용서했던 것처럼요.

표면화된 의지표명부터 이면의 숨은 동기까지 고속도로를 놓아 투명하게 표리를 일치시키는 것, 그 일관성을 확보하려는 노력을 주희(朱熹, 1130-1200)는 성의(誠意: 의도를 참되이 하다/참된 의도)라고 했어요. 어려워 보이지요? 이거 쉽지 않아요. 아픈 자기반성은 물론 그 반성의 결과물을 남에게 보여줄 용기도 필요해요. 박대통령이 성의(誠意)껏 입장표명을 할 용기가 있을지 없을지 모르겠고, 그저 저라도 잘 해야겠다고 다짐할 뿐이에요.


* 수박이두통에게보린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6-11-21 00:06)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10
  • 추우처언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91 과학신내림 약물과 무당, 주술가, 버서커 8 모모스 16/10/25 8126 15
292 의료/건강너무 착한 병 17 눈부심 16/10/25 7520 13
293 일상/생각꼬마 절도범 6 tannenbaum 16/10/26 5171 6
294 문화/예술할로윈 시리즈 2편: 서구문화의 죽음을 기리는 풍습 20 elanor 16/10/30 6322 3
295 일상/생각아재의 커피숍 운영기 - Mr.아네모네. 15 tannenbaum 16/10/30 4886 6
296 기타만 4세, 실존적 위기에 봉착하다. 56 기아트윈스 16/10/31 6801 21
297 IT/컴퓨터신경망 학습의 틀을 깨다, DFA 15 Azurespace 16/11/06 9020 10
298 정치/사회시국 단상: 박대통령과 골룸 16 기아트윈스 16/11/08 4717 10
299 일상/생각영화 <색, 계> (와 아주 살짝 관련된 이야기) 18 black 16/11/11 5907 19
300 의료/건강화병과 우울증 4 모모스 16/11/12 8289 8
301 일상/생각11월 12일 민중총궐기 집회 후기입니다. 15 nickyo 16/11/13 5157 12
302 기타서원철폐 21 피아니시모 16/11/16 5305 4
303 역사러일전쟁 - 그대여 죽지 말아라 4 눈시 16/11/17 5438 9
304 정치/사회신칸센, 세계최초의 고속철도 - 소고 신지와 엘리트 네트워크 4 커피최고 16/11/17 6700 5
305 정치/사회동교동계. 부끄러운줄 알라. 7 Bergy10 16/11/20 4922 10
306 창작[한단설] 손 없는 날 2 틸트 16/11/21 6377 11
307 요리/음식청와대에서 구입한 리도카인은 뭐하는 물건인고? 17 모모스 16/11/23 9287 12
308 일상/생각착한 아이 컴플렉스 탈출기. 5 tannenbaum 16/11/24 5375 14
309 역사몽골제국은 왜 헝가리에서 후퇴했을까 18 기아트윈스 16/11/27 5674 13
310 역사러일전쟁 - 뤼순 때문에 나라가 망할 판 11 눈시 16/11/28 5667 8
316 기타마, 얼굴만 봐도 알겠네! 너지! 26 Azurespace 16/11/29 9436 17
315 기타ISBN 이야기 17 나쁜피 16/12/02 5451 15
314 기타ISBN 이야기(2) 20 나쁜피 16/12/03 4886 10
317 일상/생각이것은 실화다. 10 성의준 16/12/06 5309 11
318 기타아직도 이불킥하는 중2병 썰, 20 마투잘렘 16/12/06 7542 16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