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5/06/17 16:20:04
Name   개평3냥
File #1   imagesP2CE7R34.jpg (6.8 KB), Download : 32
File #2   untitled.png (78.1 KB), Download : 31
Subject   쥬라기월드흥행에 적어보는 공룡이야기(2)-공룡은 파충류가 아니다




공룡과 새의 계보 생물학적 특성을 볼려면 먼저 이들의 생물학적 계보와 정의를 봐야됩니다.
   Birds (class Aves and clade Avialae) are highly advanced theropod dinosaurs. (영어 위키 백과)
   새 또는 조류(鳥類)는 크게 발달된 수각류 공룡을 의미한다. 계통적으로는 공룡상목 조강(鳥綱)에 속한다. (한국어 위키백과)
   즉 새는 공룡의 하위그룹에 들어갑니다. 즉 이를 풀어보면
<공룡의 정의>
Under phylogenetic taxonomy, dinosaurs are usually defined as the group consisting of Triceratops, Neornithes [modern birds], their most recent common ancestor (MRCA), and all descendants. (영어 위키)
분류학에서는 공룡을 "트리케라톱스와 근생 조류 및 이들에서 분기된 모든 자손을 아우르는 최근 공통 조상이 속해 있는 부류"로 보고 있다. (한국어 위키)
공룡이란 '중생대에 번성한 동물의 명칭'이 아니라 공룡상목(Superorder Dinosauria)에 속하는 하위 분기군의 총칭입니다.
그리고 정확히는 조류(Aves)라는 항목 자체가
척삭동물문(Chordata) 석형강(Sauropsida) 공룡상목(Superorder Dinosauria) 용반목(Saurischia) 수각아목(Theropoda) 신수각류(Neotheropoda) 마니랍토리포르메스(Maniraptoriformes)의 하위 분기군입니다.
글은 어렵지만 이말은 공룡=새이고
전체 그룹을 공룡으로 묶을시 새는 공룡에 포함된 하위항목으로 들어갑니다
이걸 표현한 유명한 말이

새는 살아있는 공룡이죠. 저희는 새를 공룡의 일종으로 분류합니다.
그러니 우리가 공룡을 복원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미 존재하기 때문이죠. (잭 호너, 저명한 고생물학자)

새는 공룡의 후예이다.(X)
새는 공룡이다.(O)

여기서 그럼 기존의 새와 공룡에 대한 인식을 달나라로 보내고 공룡을 파충류로 인식한 문제의 근원을 집어봐야됩니다
일단 공룡을 파충류로 규정한 자체가 문제라기 보다는
파충류-어류 즉 포유류-조류를 제외한 이들종을 변온동물로 규정하고
포유류-조류를 항온동물로 규정한 자체가 문제였다는 시각이 점점
커지고 있는게 이쪽일입니다
백상아리가 2000년대초 결국 어류이면서도 항온동물이었다는게
밝혀진 이후로 사실 파충류-어류를 변온으로 묶는자체가 도마에
오르내리고 있고
이걸 근거로 공룡을 파충류=변온동물로 규정한것 자체가
문제였다는겁니다
브라키오사우르스가 변온동물이라고 할시 수십톤에 이르는 그덩치의
체온 1도를 올리기 위해서 무려 한낮의 뜨거운 햇빛아래 80시간을
노출시켜야 체온 1도상승이 가능하다는 현대과학적 분석이 나왔을때
변온동물설로는 여기에 대한 답을 줄수가 없었습니다
무엇보다 조류가 공룡에서 나왔다는 결정적 증거중 하나인
기낭호흡체계가 깃털공룡의 발견으로 완전히 규명된후
공룡 =파충류=변온동물은 사실상 휴지통으로 들어가야할
이론이 된거나 마찬가지입니다.
기낭호흡체계는 도저히 변온이라는 한계적 생체시스템으론
유지될수도 만들어질수도 없는 호흡매카니즘입니다
간단히 우리 포유류의 1사이클 2행정 호흡체계보다 훨씬 발달되고
효율성이 우수한 1사이클 3행정 호흡시스템이 공룡이 가지고 있었고
현대의 조류가 가지고 있는 기낭호흡구조입니다
간단히 포유류중 호흡한계의 끝에 있는 동물이 누구냐면
기린입니다.
엄청난 목으로 인해 기린은 호흡순환의 한계점에서 호흡해 겨우
폐에 새로운 산소가 유입됩니다
목이너무길어 공기의 이동이 어려운데 현대 기린은 포유류가 가질수 있는 그
한계점에 끝에 있고 이건 포유류 호흡체계의 한계이기도 합니다.
참고로 기린의 목길이는 평균 2미터 브라키오나 사이스폰 종류의 목길이는 9미터 이상입니다
실재 포유류의 일반적 호흡효율에서 현재 포유류 최고의 효율성을 자랑하는
생물은 인간입니다.
목이 포유류중 짧은편인데도 폐의 크기는 체적대비 가장 큽니다.
상체의 절반이상이 폐라서 인간의 호흡효율은 30%를 상회하지만
목이 길어서 호흡효율이 가장 나쁜 기린이 약 17%라로 합니다
그리고 이이하로 떨어지면 생존이 어렵다고 합니다
이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래는 호흡을 등으로 하는 일대혁신적 변화로
바다에서 생존한건데 여기서 그럼 기린보다 목이 배이상 긴 브라키오사우르스등을
필두도한 고대 용반목 공룡들은 어떻게 호흡할수 있었나가 나오는겁니다
기린이 호흡한계의 끝이면 기린보다 더긴 목을 한 이들은 호흡효율이 나뻐
산소흡입률이 극히 낮을것인데 살아갈수 있었다는건 결국 현대 포류유의
호흡시스템보다 더우수한 호흡매커니즘을 가졌다는거고 그게 기낭호흡체계입니다
그리고 이호흡체계는 효율성과 복잡성에서 변온시스템으론 유지될수 없는
구조입니다.
흡입과 배기가 완벽한 사이클 순환형식으로 이루어지는 기낭계는
용반목 공룡은 엄청나게 거대한 자신의 뼈 특히 갈비뼈라는 두텁고
거대한 뼈속에 공간을 만들어 흡입한 공기를 순환시키며 산소를 섭취하고
수각류공룡은 바로 현대의 새와같이 판막의 팽창 수축으로 공기를
빨아들이며 3개방의 순환시스템으로 말그대로 태어나 죽을때까지
단한번의 쉼없이 계속 완벽한 100% 효율로 산소를 섭취합니다.
포유류의 폐와는 비교도 안되는 복잡성,연속성 이를 유지하기위한
생체사이클 혈액의 순환등은 변온시스템으론 유지될수 없다는 겁니다.
결국 공룡을 파충류로 묶고 변온동물이라고 보면 답이안나오는 겁니다
공룡은 분명 새의 조상이고
새는 공룡에게서 이 기낭호흡구조를 물려받았습니다
애초 공룡은 파충류라고 할수도 없고 변온동물이라고는 더더욱 정할수도 없다고봐야죠


* Toby님에 의해서 자유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5-06-20 17:05)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0


    ArcanumToss
    와~ 재밌게 잘 읽었습니다.
    기낭구조가 애초에 공룡에서 시작됐고 새는 기낭구조를 갖고 있는 현대판 공룡인 거군요.
    공룡이 그 큰 덩치를 어떻게 유지하나 하는 의문을 당시엔 산소 농도가 더 짙었다는 설명으로 이해하고 넘어갔는데 알고 보니 산소 농도도 농도지만 기낭구조의 효율성이 좋았던 것이 가장 큰 이유였다고 봐야겠네요.
    아케르나르
    저도 예전엔 산소 농도가 높아서 잠자리도 엄청나게 크게 자랐고, 공룡류도 그 덕에 그렇게 커졌다고 들었는데, 이렇게 상식이 바뀌는 군요. 모 공룡의 등에 나 있는 거대한 판?도 원래는 변온동물이라 자기 몸을 데우기 위해서 그렇게 크게 진화한 거다 라는 내용도 본 기억이 나네요. 근데, 20년 전 주라기 공원 소설로 읽을 때도 논란이 많았었죠. 공룡이 냉혈이냐 온혈이냐로.
    스트로
    거대 잠자리 메가네우라가 살던 석탄기는 고생대인지라 공룡들이 뛰놀던 중생대와는 연대 차이가 꽤 납니다. 대충 억단위... 중간에 고생대 끝물인 페름기가 끼는데요. 이 때 페름기 대멸종이라는 멸종류 1탑의 최고 존엄이 있었습니다. 이즈음 이미 산소농도가 매우 낮았다고 하네요.
    레지엔
    어려서 배운 게 다 틀리니 버틸 수가 없다....
    시부야린
    상식이 부서지고 나라가 무너지고 ㅠ 새가 공룡이라니 말세네요.. 너무 재미있게 잘 읽었습니다
    기아트윈스
    가정이 무너지고 나라가 무너지고 인륜이 무너지고 공룡이 무너지고... ㅠㅠ
    Azurespace
    허... 그렇군요. 공룡이 곧 새였던 거군요...
    세인트
    우와 재밌다... 정말 모르던 것들이네요 크크 역시 상식은 깨지라고 있는 것이군요.
    그럼 공룡은 악어보다 타조랑 더 닮은건가요..ㅠㅠ
    마르코폴로
    낙타아닌가요?
    스트로
    네, 악어나 뱀은 공룡에게 새보다 훨씬 먼 친척이고 심지어 공룡끼리도 티라노사우루스와 스테고사우루스보다 티라노사우루스와 치킨이 더 근연종이라더군요. 맛있는 치킨
    15m짜리 치킨이라니 다리만 튀겨도 온동네사람들이 먹겠네요.
    아케르나르
    칼집 좀 많이 내줘야겠... 아니 그 전에 잘라서 익혀야겠군요. 뻐 없는 다리살...
    마르코폴로
    글 잘 봤습니다. 공룡상목, 용반목, 수각아목. 저같은 무식이에겐 무슨 랩처럼 들리네요.
    라이카
    공룡 글은 나이 먹고 봐도 꿀잼이네요.
    특히나 어려서 배운 게 다 박살나니 더 재밌습니다.
    공룡 글 좀 자주 써주세요.
    어릴적 공룡을 너무 좋아해서 여러 자료도 스크랩하고 그랬는데
    로망이 부서지고 새로운 세계가 쌓이는 기분입니다. 흐흐 좋은글 감사합니다.
    글쓰기버튼,묵직한
    우리나라가 공룡 군주국가라는 것을 제가 잘 알겠습니다.
    으헉... 알고 있는거랑 달라서
    뭔가 머리를 띵~하고 맞은 느낌이랄까요
    흥미로운 글이었어요~~ 다음에도 올려주세요^^
    음란파괴왕
    수탉을 보면 머리를 꼿꼿이 세우고 주변을 깔아보는 그 엄청난 카리스마에 반할때가 있습니다. 그래봐야 치킨주제에 대체 그 자신감이 어디서 나왔나 했더니, 조상이었던 티라노사우르스의 정신을 물려받았기 때문이었군요!!
    2막4장
    역시 남자(와 아이들)의 로망 공룡...
    재미있군요 홀홀홀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12 과학음수X음수는 왜 양수인가요? 62 캡틴아메리카 17/04/15 15416 14
    397 과학명왕성이 행성 지위를 상실한 이유와 복귀 가능성 16 곰곰이 17/03/24 9560 15
    380 과학외계 행성 중 ‘지구형 행성’ AKA 골디락스 행성 구별법 8 곰곰이 17/03/04 9171 13
    375 과학외계 행성을 (진지하게) 발견하는 방법 11 곰곰이 17/02/24 8366 12
    291 과학신내림 약물과 무당, 주술가, 버서커 8 모모스 16/10/25 8919 15
    269 과학양자역학 의식의 흐름: 월급 D 루팡 31 Event Horizon 16/09/22 9512 12
    241 과학도핑테스트와 질량분석기 10 모모스 16/07/30 9737 9
    214 과학Re : Re : 국내의 에너지 산업 혹은 태양광산업 동향은 어떤가요? 29 고양이카페 16/06/06 8158 10
    202 과학배틀크루저와 자연선택 12 모모스 16/05/07 7297 5
    201 과학쌀, 보리, 밀 이야기 (자화수분-자웅동주식물) 3 모모스 16/05/06 8169 5
    180 과학적록색맹과 Vitamin C 이야기 22 모모스 16/04/07 6893 12
    158 과학. 26 리틀미 16/02/18 8261 16
    156 과학알파고vs이세돌 대국을 기대하며.... 34 커피최고 16/02/16 7873 4
    153 과학왜 최근에 빌 게이츠, 엘론 머스크, 스티븐 호킹 등 많은 유명인들이 인공지능을 경계하라고 호소하는가? 47 절름발이이리 16/02/12 9886 7
    101 과학지구의 온난화와 빙하기 4 모모스 15/10/27 9654 8
    91 과학쓰레기 유전자 ( Noncoding DNA ) 와 유전자 감식 23 모모스 15/10/20 7583 9
    85 과학불멸의 세포 17 모모스 15/10/09 8161 10
    62 과학쇠똥구리곤충의 GPS, 밀키웨이 13 눈부심 15/08/26 8215 0
    35 과학확신이 아집이 아니라 멋있을 때... 26 Neandertal 15/06/29 9927 0
    30 과학쥬라기 월드흥행에 적어보는 공룡이야기(3)-모든걸 새로쓰게한 공룡 9 개평3냥 15/06/20 8016 0
    28 과학쥬라기월드흥행에 적어보는 공룡이야기(2)-공룡은 파충류가 아니다 20 개평3냥 15/06/17 9228 0
    17 과학음, 그러니까 이게 특수 상대성 이론이라 말이지?... 12 neandertal 15/06/10 8433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