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6/07/10 05:14:28
Name   전기공학도
Subject   올바른 '판단-해석'을 위하여
인간은 세상을 살아가면서, 지속적으로 어떤 '사실에 대한 평가'(이하 '판단-해석')을 하기를 요구받습니다. 그리고 또 기본적으로 인간은 어떤 판단-해석을 하기를 원합니다. 그런데 어떤 사람들은, '사실이 되는 원재료'(이하 '사실-재료') 자체로부터 판단-해석이 자연적으로 도출될 거라 생각합니다. 오산입니다. 지금의 고도화된 학문적 지식에 기반하여, 전문가들은 자신의 전문분야에서 일반인들의 상식이 얼마나 믿을 수 없는가를 여실히 알고 있습니다. 돌을 100날 굴려본 사람이라도 그 사람이 그 돌에 대해 F=ma라는 뉴턴방정식을 세울 수 있는 게 아니지요. 책을 100날 읽어서 자신이 능숙하게 책을 읽는다고 해도 그 사람이 자신의 경험만으로 올바른 독해 이론을 만들어낼 수는 없는 거죠. 따라서, '사실-재료'로부터 '판단-해석'이 자연적으로 도출될 수 있지 않기 때문에, 세계적 석학들이 그렇게 오랜 시간 많은 아이디어를 내고 많은 소통을 해서 간신히 얻은 지금의 학문적 업적을 아주 철저히 무시하고 자기의 상식을 믿는 것이 옳다고 보지 않습니다. 충분한 올바른 선지식-선경험이 있지 않는 한, 아무리 많은 '사실-재료'를 겪어봤자 그 '판단-해석'의 신뢰도가 보장되기 힘듭니다.

개인적으로, '너만의 주체적 생각'을 강조하는 것 자체는 좋습니다. 하지만, 여기에 필히 어떤 전제가 따라붙어야 하는데, '너만의 주체적 생각을 하더라도, 항상 너의 생각이 다른 여러 가치관을 가진, 넓은 spectrum의 사람들에게 평가받아야 한다'라는 겁니다. 사람의 생각은 항상 평가받아야 합니다. (다만 그 평가의 기준이 합리적이어야 하고, 공정해야 하고, 다양해야 하고, 사람을 존중하는 성격이어야 하는 것은 신경써야 하겠죠.) 이것은 일방적으로 그 평가에 종속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단지, 아주 강한 참고를 한다는 거죠.

사람이 혼자 방에 틀어박혀서 하나의 글에만 집중해서 생각해야 할 때도 있습니다. 자신만의 생각을 다듬고 계발하기 위해서요. 하지만, 이 과정만 있으면 안 되고, 항상 합리적인 생각을 가진 사람들과 소통해야 합니다. 그들의 의견을 경청해야 합니다. 저는 '똥고집'을 좋아하지 않아요. 혼자서만 골똘히 연구해서 어떤 창의적인 훌륭한 결과물을 내어놓았다? 물론 역사적으로 그런 사례가 엄청나게 많은 것은 사실이지만, 그런 식으로 혼자 연구하면 '유사의학' '국뽕사관' '재야과학(? 이런 표현이 있나)' 등등 망상이 나올 가능성이 훨씬 더 높아요.

'외부의 input을 받지 않는 100% 독립상태'란 애초에 머릿속으로만 그려질 수 있는 망상일 뿐입니다. 그리고 그것은 또한 바람직하지도 않은 개념이구요. 많은 다양한 '사실-재료'를 접해야 하고, 또 이를 올바로 평가하기 위해 많은 다양한 합리적인 '판단-해석'을 수용해야 하고(학문적 논의의 경우, 되도록 주류 학계에 있는 사람들의 그것을 수용해야), 또 멍청하지 않은 혹은 멍청해지지 않으려는 사람들과 서로 소통하고 그들의 의견을 경청해야 합니다. 이것이 혼자만의 멍청한 생각에 빠지지 않는 길입니다.

* 수박이두통에게보린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6-07-25 09:49)
* 관리사유 : 추천 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6
    이 게시판에 등록된 전기공학도님의 최근 게시물


    전기공학도
    일베나 메갈 같은 애들이 자기만의 생각에 빠져서 서로 멍청한 키보드 워리어짓이나 하는 것의 원인 중 하나도 이 글이 다루는 그것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들이 'fact'타령 엄청 하는데, 어짜피 혼자 멋대로 생각할 거라면 'fact'야 자신의 입맛에 맞는 '사실-재료'만 취하면 될 거고, 또 멍청한 사람들과만 소통을 하니 자신의 멍청한 '판단-해석'을 교정받을 길이 없는 거겠죠.
    전기공학도
    전 공학도라 그런지, '혼자만의 주체적 생각을 가져야 한다', '니가 뭔데 나를 평가해?' 같은 말들에 대해서 좀 회의적입니다. 전형적인 공학도라 그런가..
    전기공학도
    사람은 자꾸 자신의 틀을 깨야 합니다. 이것을 위해서는 다른 사람들의 평가를 경청하고 수용하는 자세가 필요하죠. 혼자 고립되어서 생각과 생각을 거듭하면 망상에 빠질 가능성이 높아서리..
    언행이 일치해야겠죠.
    전기공학도
    네. 저부터..
    어! 글 내용이 제가 평소에 생각했던 바와 엄청 비슷해서 공감되요.
    사회생활하다보니 저러한 기본적인 판단을 잘하는 사람이 결국 일도 잘하더라고요.
    쓰고보니 당연한얘기;;;
    그리고 생각보다 학력과는 거리가 멀어서 처음에는 다소 신기했습니다.
    전기공학도
    학력으로 측정되지 않는 사항이 참 많죠.
    Vinnydaddy
    논어에 "학이불사즉망 사이불학즉태", 배우되 생각하지 않으면 망하고, 생각만 하고 배우지 않으면 위태롭다는 구절이 있습니다. 탐구의 중요성 만큼 다른 관점에서의 관찰과 평가, 교정이 중요하다는 뜻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본문과의 연관성도 어느 정도 있지 않나 합니다.
    전기공학도
    동의합니다. 사실 온전한 배움은 생각과 분리할 수 없죠.
    전기공학도
    사실, 이 글은 저 자신에게 쓰는, 다짐하는 글이기도 해요. 날마다 멍청한 생각이 들어서 깜짝깜짝 놀랄 때가 많거든요. 그런데 이상하게 다른 사람들과 대화하거나 할 때, 그 멍청한 생각이 꽤 근사하게 바뀌죠.
    세우비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저도 일을 하면서 꽉 막힌 현장 분들과 논쟁을 하는경우가 간혹 있는데. 글에 공감하였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240 체육/스포츠북한산 의상능선 간략소개 9 주식못하는옴닉 22/09/25 4524 16
    817 과학0.999...=1? 26 주문파괴자 19/06/14 7149 19
    775 과학수학적 엄밀함에 대한 잡설 29 주문파괴자 19/03/05 9867 18
    667 여행서울 호우캉스 호텔 결정 로직 43 졸려졸려 18/07/25 8158 15
    225 요리/음식아빠요리 만들기 - 스테이크를 맛있게 굽기 위해 필요한 도구 24 졸려졸려 16/06/29 7917 5
    263 게임[삼국지 영걸전] 1599 클리어 기념 팁 + 후기와 기타 등등 이야기 37 조홍 16/09/09 15270 8
    37 게임독수리의 눈으로 입문자를 노리는 HOMM3 소개 (1) 기초 14 조홍 15/06/22 19993 0
    1170 정치/사회러시아와 우크라이나, 3개월의 기록들 4 조기 22/02/25 4085 14
    824 일상/생각20년전 운동권의 추억 36 제로스 19/06/27 7480 23
    760 정치/사회국가유공자등록거부처분취소 소송의 경험 3 제로스 19/01/18 5900 19
    741 정치/사회세계1% 연구자 논란 22 제로스 18/12/06 8421 21
    626 문화/예술북유럽 신화 한토막 - 블랙기업 아스갈드 편 12 제로스 18/05/04 7974 10
    1142 경제최순실로 인해 불거진 ODA 문제는 해결되었는가 6 정중아 21/11/08 5121 17
    973 일상/생각자격은 없다. 101 절름발이이리 20/06/22 9011 42
    153 과학왜 최근에 빌 게이츠, 엘론 머스크, 스티븐 호킹 등 많은 유명인들이 인공지능을 경계하라고 호소하는가? 47 절름발이이리 16/02/12 9912 7
    231 기타올바른 '판단-해석'을 위하여 11 전기공학도 16/07/10 5964 6
    907 게임2019년 좋았던 게임과 별로였던 게임 뽑기 6 저퀴 20/01/07 5499 9
    916 창작나는 행복의 나라로 갈테야. 5 작고 둥근 좋은 날 20/01/29 6875 24
    891 창작은밀한 통역 3 작고 둥근 좋은 날 19/11/23 6712 23
    931 기타무림사계 : 변증법의 알레고리 4 작고 둥근 좋은 날 20/03/07 6666 10
    786 체육/스포츠안면밀폐형(방독면형) 미세먼지 마스크 착용기. 14 작고 둥근 좋은 날 19/03/27 7618 7
    651 문화/예술[강철의 연금술사] 소년만화가 육체를 바라보는 관점(스압) 4 자일리톨 18/06/23 9291 18
    630 문화/예술때늦은 <라이프 오브 파이> 리뷰 14 자일리톨 18/05/10 7065 18
    800 일상/생각불안 애착 유형과 회피 애착 유형의 연애/이별기 4 자일리톨 19/05/01 16067 17
    1390 일상/생각나는 다마고치를 가지고 욕조로 들어갔다. 12 자몽에이슬 24/04/24 3053 19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