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6/07/07 15:17:55
Name   기아트윈스
Subject   [펌] 글쓰기란 병법이다
연암 박지원의 글입니다. 존경하던 선생님께서 소개해줬던 글귀인데 문득 생각나서 퍼옵니다.

-----

글을 잘 짓는 사람은 아마도 병법을 알았던 것인가.

글자 (=단어) 는 비유하면 군사이고, 글 뜻은 비유하면 장수이다. 제목은 적국(敵國)이고 전고(典故)와 고사는 전장의 보루이다. 글자를 묶어서 구(句)를 만들고, 구를 묶어 문장을 만듦은 대오를 편성하여 행진하는 것과 같다. 음으로 소리를 내고 문채(文彩)로 빛을 내는 것은 징과 북을 치고 깃발을 휘두르는 것과 같다. 조응(照應)은 봉화(烽火)에 해당하고, 비유(譬喩)는 유격병에 해당하며, 억양 반복은 육박전을 하여 쳐죽이는 것에 해당하고, 파제(破題)를 하고 결속(結束)을 하는 것은 먼저 적진에 뛰어들어 적을 사로잡는 것에 해당한다. 함축을 귀하게 여김은 늙은 병사를 사로잡지 않는 것이고, 여운을 남기는 것은 군사를 떨쳐 개선하는 것이다.

무릇 장평(長平) 땅에서 파묻혀 죽은 조(趙)나라 10만 군사는 그 용맹과 비겁함이 지난날과 달라진 것이 아니고, 활과 창들도 그 날카로움과 무딘 것이 전날에 비해 변함이 없었다. 그런데도 염파(廉頗)가 거느리면 적을 제압하여 승리하기에 충분했고, 조괄(趙括)이 대신하면 자신이 죽을 구덩이를 파기에 족할 뿐이었다. 그러므로 군사를 잘 쓰는 장수는 버릴 만한 군졸이 없고 글을 잘 짓는 사람은 이것저것 가리는 글자 (=단어) 가 없다.

진실로 훌륭한 장수를 만나면 호미 고무래 가시랭이 창자루를 가지고도 굳세고 사나운 무기로 쓸 수 있고, 헝겊을 찢어 장대에 매달아도 아연 훌륭한 깃발의 정체를 띠게 된다. 진실로 올바른 문장의 이치를 깨치면 집사람의 예삿말도 오히려 근엄한 학관(學官)에 펼 수 있으며, 아이들 노래와 마을의 속언도 훌륭한 문헌에 엮어넣을 수가 있다. 그러므로 문장이 잘 지어지지 못함은 글자 탓이 아니다.

자구(字句)의 아속(雅俗)을 평하고, 편장(篇章)의 고하(高下)만을 논하는 자는 실제의 상황에 따라 전법을 변화시켜야 승리를 쟁취하는 꾀인 줄 모르는 사람들이다. 비유하자면 용맹하지 못한 장수가 마음속에 아무런 계책(計策)도 없다가 갑자기 적을 만나면 견고한 성을 맞닥뜨린 것 (처럼 당황하는 것) 과 같다. 눈앞의 붓과 먹의 꺾임은 마치 산 위의 초목을 보고 놀라 기세가 꺾인 군사처럼 될 것이고, 가슴속에 기억하며 외던 것은 마치 전장에서 죽은 군사가 산화하여 모래밭의 원숭이나 학으로 변해버리듯 모두 흩어질 것이다. 그러므로 글을 짓는 사람은 항상 스스로 논리를 잃고 요령(要領)을 깨치지 못함을 걱정한다. 무릇 논리가 분명하지 못하면 글자 하나도 써내려가기 어려워 항상 붓방아만 찧게 되며, 요령을 깨치지 못하면 겹겹으로 두르고 싸면서도 오히려 허술하지 않은가 걱정하는 것이다.

비유하자면 항우(項羽)가 음릉(陰陵)에서 길을 잃자 자신의 애마가 앞으로 나아가지 않는 것과 같고, 물샐틈없이 전차로 흉노를 에워쌌으나 그 추장은 벌써 도망친 것과 같다.

한마디의 말로도 요령을 잡게 되면 적의 아성으로 질풍같이 돌격하는 것과 같고, 한 조각의 말로써도 핵심을 찌른다면 마치 적군이 탈진하기를 기다렸다가 그저 공격신호만 보이고도 요새를 함락시키는 것과 같다. 글짓는 묘리는 이렇게 하여야 성취할 수 있을 것이다. ... (朴趾源의 ‘騷壇赤幟引’에서)




* 수박이두통에게보린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6-07-18 11:29)
* 관리사유 : 추천 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3
  • 이 아재는 퍼와도 연암이다...세상에!


천재가 이렇게 이렇게 하면 됨 해봐야 범재는 이해 못 합니다;;; 어휴 조선시대 재능충 같으니
기아트윈스
재능충 그켬. 남들도 슥슥 쓰면 글이 써지는 줄 알고 ㅠ.ㅠ
전기공학도
제가 아는 게 나와서 좀 이에 대해서 말하자면..


텍스트언어학text linguistics은 1960년대(70년대였나?)에 독일에서 처음 탄생한 이후로 많은 비약적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텍스트언어학은 문장문법을 넘어서, 문맥 속 글의 특징을 탐구하고, 문맥 속의 글을 읽는 기술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제가 생각하기에, 통사론, 의미론과 더불어서 글 읽는 데에 가장 실질적인 도움이 많이 되는 언어학 하위분야라고 생각합니다.(+담화 분석discourse analysis까지 알아야 더 완벽) 한국에서는 1990년대부터 텍스트언어... 더 보기
제가 아는 게 나와서 좀 이에 대해서 말하자면..


텍스트언어학text linguistics은 1960년대(70년대였나?)에 독일에서 처음 탄생한 이후로 많은 비약적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텍스트언어학은 문장문법을 넘어서, 문맥 속 글의 특징을 탐구하고, 문맥 속의 글을 읽는 기술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제가 생각하기에, 통사론, 의미론과 더불어서 글 읽는 데에 가장 실질적인 도움이 많이 되는 언어학 하위분야라고 생각합니다.(+담화 분석discourse analysis까지 알아야 더 완벽) 한국에서는 1990년대부터 텍스트언어학을 본격적으로 받아들이고 이에 대하여 많은 논의를 거치면서, 역시 텍스트언어학 발전에 큰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한국텍스트언어학회 및 여러 학회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상하게도 학계가 이론을 꽤 괜찮게 구축함과 달리 아직 실제의 교육 현장에까지 이 학문의 성취를 접목시키는 사례가 많지는 않은데.. 어쨌든.

글을 글답게 만드는 성질을 텍스트성이라고 하며, 이 텍스트성은 응결성, 응집성, 의도성, 수용성, 상황성, 정보성, 간텍스트성(상호텍스트성)이 있습니다. 이 중에 특히 텍스트의 '내적인'('외적'이 아니라) 완결성에 기여하는 것은 응결성과 응집성입니다. 응결성은 표면적인 텍스트 어구가 맞는 것을 말합니다.(이 글에서 '자구'와 '편장'이 이에 상당히 근접한 개념) 응집성은 심층적인 텍스트 개념이 맞는 것을 말합니다.(이 글에서 '논리'와 '요령'에 상당히 근접한 개념)

한국의 텍스트언어학은, 우리 선조들의 여러 글읽기 방법들을 연구하면서, 현대의 언어학적 관점에서 이를 생각하고, 연구하는 것을 고려 대상으로 넣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어떤 선조들은 응결성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또 다른 어떤 선조들은 응집성을 더 중요하게 생각했으며, 응결성과 응집성을 동등하게 중요하게 생각한 선조들도 있었습니다. 중국의 옛 사람들도 이 문제를 고려했고요.

고영근의 '텍스트 과학'(집문당)이라는 책의 몇 구절을 인용하죠.
"동양의 텍스트 과학을 본격적으로 전개하였다고 하는 중국 남조 때의 유 협은 [[문심조룡]]에서 때로는 응결성은, 때로는 응집성을 강조하면서 결국은 양자의 조화 위에서 좋은 텍스트를 생산할 수 있다고 하였다."
"한편 우리의 고전 시학에서는 고려 시대부터 조선조 후기에 이르기까지 응결성과 응집성의 문제가 꾸준히 논의되었다. 시 텍스트를 생산할 때 신의(新意)와 용사(用事)의 문제가 고려 시론의 두 기둥이었던 이규보와 이인로에 의하여 제창되었다. 신의란 대체로 응집성에, 용사란 대체로 응결성에 해당한다."
"신의론자인 이규보는 시란 설의(設意)가 가장 어렵고 또 그것이 시의 성패를 좌우하기 때문에 먼저 내용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고 다음에 철사(綴辭)를 고려해야 한다고 하였다. ...(생략)... '기(氣.=천부의 재질. 氣의 우열에 따라 의경(意境)의 심천(深淺)이 생긴다고 주장된다.)란 천성에 딸린 것이어서 배워서 이룰 수는 없다.' ...(생략)... 이규보는 형식보다는 내용을 우선하였다."
"한편 용사론자인 이인로는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생략)... 재능의 한계를 극복하는 길은 내용보다는 형식을 다듬는 일이 중요하다고 본 것이다. ...(생략)... 용사론이란 크게 보면 응결성에 들어간다고 할 수 있으나 구체적 사정을 말하면 중국 문학 작품이나 중국 문화와의 간텍스트성 내지는 간문화적 성격을 가리킨다."
* 여기서 간텍스트성(intertextuality)이란, 텍스트를 생산-수용할 때 텍스트 사용자들이 지니고 있는 다른 텍스트에 대한 지식을 참고하여 포괄시키는 텍스트성을 말합니다.
"뒤에 최자는, 이인로는 용사에만 치우쳐 신의를 보지 못하였고, 이규보는 신의에만 치우쳐 용사의 장점을 보지 못하였다고 비판을 가한 다음, 둘을 포괄적으로 볼 수 있는 절충적 입장을 취하였다. 다시 말하면 두 사람의 좋은 점을 취하여 그 나름의 시 평가의 기준을 마련하였다."
"홍만종은 ...(귀찮아서 생략. 단순히 말하자면, 홍만종 역시 응결성(형식)과 응집성(내용) 모두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고 생각했다는 것.)..."



!! 그리고, 바로 이 다음에서, 박지원의 이야기가 이 책에도 나오네요. 그대로 옮겨 인용합니다.
"응집성과 응결성의 문제는 박지원에서 더 구체화된다. 박지원은 [[소단적치인]]에서 응집성과 응결성의 문제를 장군과 사졸에 비유하였다. 사졸이 아무리 많다고 하더라도 통솔하는 장군이 없으면 오합지졸에 지나지 않듯이, 주제가 없는 글은 지휘관 없는 군대와 같이 글자의 단순한 나열에 지나지 않음을 뜻한다. 이는 텍스트의 생산에서 응집성의 중요성을 말한 것이다. 글을 쓸 때 전거(典據)를 끌어온다면 글에 탄력을 불어넣어 주고 신뢰를 더해 준다고 하였는데 이는 옛 텍스트와의 간텍스트성을 의미한다.
이 밖에도 박지원은 텍스트의 생산에 부수하는 표현상의 문제를 군대의 북소리와 나팔소리 등의 부대 장비에 비유하였다. 그러면서도 박지원은 용병술에 비유되는 이치(理致: 결)를 중시하였다. 이 문제를 정 민(1997)은 다음과 같이 풀었다.
'아무리 훌륭한 주제와 글감이 있고 뛰어난 문장력을 지녔다 해도 '이치'를 얻지 못하면 아무런 소용이 없다. '이치'란 무엇인가? 그것은 글이 지녀야 할 결이다. 물에 물결이 있고, 살에 살결이 있으며 바람에 바람결이 있듯, 글에도 결이 있어야 한다. 그것은 달리 말해 장수가 적을 격파하는 용병술에 비유할 수 있고 글 쓰는 이의 재량하고 판단하는 역량에 견줄 수 있다.'
위에서 논의하는 박지원의 '이치'가 용병술이나 역량이라면 이는 [[문심조룡]]의 '문심'(응집성과 비슷한 개념)과 '조룡'(응결성과 비슷한 개념)의 조화나 홍만종의 '격률 청탁'(=시의 격률상의 조화가 이루어졋는가, 라는, 홍만종의 선시(選詩)의 기준. 응집성과 응결성의 속성을 모두 갖춘 종합적 판단 기준.)으로 볼 수 있지 않을까 한다."

일단 하나의 텍스트가 텍스트다움을 높게 지니려면 응결성과 응집성이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고 이 책의 저자 고영근은 주장하고 있지만, 이건 뭐 현대 텍스트언어학에서도, 제가 읽어본 수많은 논문들에서 학자들마다 다 (어느 텍스트성이 중요한지, 어느 텍스트성이 글을 구성하는 데에 더 본질적인 역할을 하는지) 견해가 달라서요. 참고하세요.
좋은 댓글이네요. 잘 읽고갑니다.
전기공학도
읽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기아트윈스
고영근씨 책 재밌어보이네요 ㅎㅎ
전기공학도
저 책 하나만 봐도, 텍스트언어학의 대강의 개요는 꽤 아실 수 있습니다. 입문책이거든요.
전기공학도
요약.

신의론자들 = 응집성 강조.(타고난 천재성이 글을 씀에 있어서 본질적임을 주장)
용사론자들 = 응결성 + 간텍스트성 강조.(노력하면 범재도 글을 잘 쓸 수 있음을 주장)
전기공학도
전 용사론자에 가깝습니다.

형식에 맞게 많이 써보고(응결성),
또 이전의 선배들이 쌓아올린 자료, 컨텐츠들을 많이 참고하다보면(간텍스트성)
글은 잘 써집니다.
전기공학도
박지원은 신의와 용사 둘 다 추구.
고딩 때 읽었던 글이네요. 그 당시 박지원을 참 좋아라 했었는데... 일단 고딩 때 국사 공부하면 실학자들의 매력에 빠질 수 밖에 없죠. 워낙 포장을 후덜덜하게 해놔서; 근데 더 자세히 알아보면 그들도 결국 유학자였다는 한계에 실망하는데 그런 과정 속에서도 이 분 글은 뭔가 다른게 느껴지더군요. 실학자들 중 학자로서는 다산 선생이 아마 탑이지 않을까 한데 글솜씨 하나만은 이분이 갑인 것 같습니다.
기아트윈스
지난 세기의 실학 연구는.... 사실 연구겸 운동 정도가 아니었나 싶어요. "운동"이라는 평을 들으면 실학 연구에 종사하는 분들은 발끈 화를 내시겠지만 그게 사실인 걸요 뭐.

하지만 운동이었다고 해서 그 연구가 다 무쓸모였느냐고 한다면 그건 또 아니고... 그저 시대의 요청에 맞추어 필요한 운동이 있었던 거라고 생각해요. 자존감이 가장 낮았을 시기에 꼭 필요했을 힐링 운동 같은 거?

그나저나 연암은 정말 글을 잘쓰지요. 비문학 부문은 특히 개 잘쓰는 거 같아요. 아마 언제 어디서 태어났더라도 특급 문인이 됐을 거에요.
소단적치인, 가장 좋아하는 문인 연암의 가장 좋아하는 글입니다.
너무 좋아서 한문판을 외우려고 했던 기억도.
기아트윈스
사실 제게 이 글을 소개해준 선생님께서 말씀하시길, 학교 출판부에서 글쓰기 교재를 만드려고 할 적에 소단적치인을 넣자고 추천했는데 분위기 파악 못한다는 식으로 퇴짜를 맞았대요. 결국 그 교재에 들어간 것들은 아리스토텔레스처럼 논리적으로 글쓰는 법 뭐 그런 것들 뿐이었다고 해요. 슬픈 일이죠. 뭣이 중헌지도 모르고..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8 영화레버넌트와 서바이벌 17 Moira 16/01/31 9181 3
159 정치/사회다른 사람 입장에서 생각하기 16 리틀미 16/02/22 6743 3
166 경제디플레이션의 시대가 오는가? 36 난커피가더좋아 16/03/06 10630 3
198 기타커피 이야기 - Caffeine (리뉴얼버전) 15 모모스 16/04/29 7012 3
199 일상/생각[조각글 24주차] 이해와 인정 사이 4 nickyo 16/05/02 5610 3
257 문화/예술100억 짜리 애니메이션이 쥐도 새도 모르게 개봉되는 이유 14 Toby 16/08/31 8601 3
229 역사[펌] 글쓰기란 병법이다 14 기아트윈스 16/07/07 6880 3
251 기타"국왕" 대신 "국가와 조국" 위해 싸운 나폴레옹의 프랑스군 8 모모스 16/08/18 8159 3
252 기타후장식 드라이제 소총과 아름답고 푸른 도나우강 7 모모스 16/08/19 10525 3
253 철학/종교주디 버틀러가 말하는 혐오언어의 해체 75 눈부심 16/08/21 11089 3
255 정치/사회외국인 가사도우미와 가사 공간 내부의 협상 20 호라타래 16/08/26 6783 3
256 정치/사회위안부 관련, 최근 뉴스들 짜깁기한 것 2 Ben사랑 16/08/27 5529 3
294 문화/예술할로윈 시리즈 2편: 서구문화의 죽음을 기리는 풍습 20 elanor 16/10/30 7296 3
285 문학문학과 문학성 52 팟저 16/10/18 8480 3
322 역사러일전쟁 - 203고지, 점령 11 눈시 16/12/14 7181 3
346 정치/사회한국정치의 혁명! 선호투표제가 결선투표제보다 낫다 12 나호토WTFM 17/01/15 6531 3
473 기타필름포장지 이야기 24 헬리제의우울 17/07/14 15162 3
505 정치/사회핵무기 재배치의 필연적 귀결에 대한 "무모한" 설명 43 Danial Plainview 17/09/04 6583 3
561 음악[번외] Jazz For Christmas Time - 국내 스트리밍 사이트를 중심으로 (3) 4 Erzenico 17/12/11 7330 3
1359 일상/생각한국사회에서의 예의바름이란 18 커피를줄이자 24/01/27 7929 3
1374 기타민자사업의 진행에 관해 6 서포트벡터 24/03/06 2351 3
65 경제큐이괴담 - QE를 또! 해야 한다는 이유가 또! 나오는 이유 23 MANAGYST 15/09/04 8687 4
76 문화/예술goodbye. printmaking 18 1일3똥 15/09/24 9426 4
79 IT/컴퓨터사실 구글은 스카이넷을 만들고 있습니다 16 Azurespace 15/09/30 10253 4
84 역사사도 - 지옥으로 가는 길 5 눈시 15/10/09 6422 4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