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6/05/28 17:01:28
Name   Beer Inside
Subject   어느 시골 병원 이야기
동아시아의 어느나라 시골병원에 배가 아픈 아기가 도착했습니다.

병원에서는 환자를 보고 장중첩증을 의심하여서 검사를 하고 싶은데,

주말이어서 영상의학과 의사가 병원에 없습니다.

거기에 병원 전산망이 멈춰있어서 일의 진행도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가까운 병원에 가서  초음파 검사를 해 보자고 합니다.

문제는 가까운 병원이 시골병원보다 작은 병원이였던 것이지요.

그래서 부모는 병원의 말을 믿지 않고 다른 시골병원으로 갑니다.

다른 시골병원에 가려고 전화를 해 보니 소아외과의사가 없다고 진료를 볼 수 없다는 겁니다.

아기의 부모는 다른 병원에 가면 소아외과 의사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또 다른 병원 또 다른 병원을 찾아 다닙니다.

그리고 결국 아기는 장이 썩어서 사망했습니다.

수술이 아니라 잘하면 간단한 시술로도 치료할 수 있는 병인데,

영상의학과가 없다 소아외과 의사가 없다는 이유로 아이는 병원을 돌아다니다가 사망한 것입니다.

시골은 대도시보다 저소득층이 많기 때문에 비율만 보았을 때는 선천성 기형아가 많이 태어납니다.

그래서 소아외과가 수술할 기회도 적지 않은 편이고 실력도 나쁘지 않은 편입니다.

하지만 선천성기형인 아이들은 사망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수술을 하면 위험은 높은 반면,

돈벌이가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어느 나라나 선천성 기형인 아이들을 위해서 기부도 받고 기금을 모집하고 하지요.

하지만, 이 시골병원에서는 그런 것이 가능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수술이 실패했을 때 환자의 부모들은 소아외과 의사에게 소송을 걸었고,

소송에 패소하면 병원은 소아외과 의사에게 구상권을 청구해서 남들보다 많은 월급도 아닌데,

월급을 차압당하는 신세가 된 것이지요.

그래서 그 소아외과 의사는 소아외과를 하지 않겠다고 했고,

그 동네의 다른 소아외과 의사는 간단한 수술만 하고,

시간이 촉박하거나 위험한 수술은 대도시로 가서 수술받으라고 했습니다.

그래서 위와 같은 사건이 발생한 것이지요.

그 국가에서는 응급환자를 제대로 관리를 못한  시골병원을 처벌하고 싶었지만,

그 병원을 처벌하면 그 지역에서 그 시골병원이 하던 적자만 발생하는 응급센터의 역할을

대신하겠다고 하는  병원이 없었기 때문에 처벌할 수가 없었습니다.

대신 다시는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다는 약속을 받는 것으로 그쳤습니다.

그리고, 위 사건으로 처벌받은 사람도 없었습니다.

위험한 환자를 보지 않으면 처벌받을일도 없으니까요.

  

* 수박이두통에게보린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6-06-06 15:57)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12
  • 굉장히 슬픈 팩션이군요.
  • 많이들 읽으시라고 추천~!


소아외과는 정말 사람이 없지요. 딱히 서울이라고 소아외과가 있는 병원이 많지도 않습니다.

몇 년전 일이긴 하지만, 전국 소아외과 모임이 있어 교수님들이 오손도손 모두 모여서 소소하게 회식을 하는데,
데리고 있는 펠로우 선생님들을 한데 모아 놓으니, 작은 원탁 테이블 하나밖에 필요 없더군요.
Beer Inside
한국이 그런 나라였군요

이 이야기는 유시진대위가 파견 간 옆 나라 이야기 입니다만
NF140416
본문보다 리플을 더욱 추천하고 싶어집니다...
damianhwang
저랑 같이 아프간에 있던 한 분도 소아외과를 지망하시는 외과의분인데;
자비로 연수받고..지금은 또 내시경 배운다고 지방에 또 내려가서 주말부부 하시고
아주 사서 고생을 하시는데...가끔 만날때마다 보면 짠한;;;;
Beer Inside
인구 절벽시대에 왜 그런 선택을
damianhwang
아프간 같은 나라의 아이들 살리는 의사가 되는게 일생의 꿈이시라고;;;
하니남편
어제도 산부인과에서 난리치는 사람을 봣습니다. 물론 당사자의 심정은 이해갑니다만...의사가 할수있는게 한계가 있지않습니까? 요즘 산부인과에서 진료만하고 출산은 안하는곳도 생긴다고 하더라고요. 사실 출산은 누구도 모르는거 아니겠습니까? 저도 지난 금욜날 저녁에 아기가 태어났는게 지금 눈이랑 온몸에 불긋불긋 열꽃처럼 피고 눈이 부어...걱정이 됩니다만은...뭐 어쩔수있습니까? 일단 좀 더잇어보고 더 큰병원을 가던지하라는데...사람이기계도 아니고 다 똑같지는 않ㅁ으니 의사들도 참힘들꺼 같습니다.
damianhwang
의료시스템을 정말 돌리고 싶다면, 국가가 그런 의사들 공무원으로 채용하고 신분보장해주고 소송에서도 지켜줘야 할텐데
대한민국이 그럴리가 없죠...-_-;
어... 너무 궁금한 게 있어요. 병원이 소아외과 의사에게 구상권을 청구해서 월급을 차압했다고 하셨잖아요. 이게 법적으로 가능한 일인가요? 이건 뭐 회사는 직원들한테 폰 팔라고 떠맡기고 직원들은 못 팔면 내돈으로 내야 하는 핸드폰 회사도 아니고... 제 상식으로는 그런 일이 도저히 상상이 안 가거든요. 만약 그런 일이 실제로 일어나고 있다면 의사들이 나서서 그런 관행인지 법인지부터 고쳐야 하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는데요.
제가 가진 의문 중 하나가 이런 건데요. 많은 의사분들이 의사(노동자) 입장과 병원(사측)의 입장을 완전히 동일시하고 이야기하는 경우가 너무 많더라고요. 물론 개인병원이면 충분히 그럴 수 있지만 대형병원 의사들은 좀 다르지 않을까 싶은데... 병원의 손익이 그대로 의료인의 손익이 되는 일심동체의 구조일 리는 없을 거라고 생각하거든요.
이건 들은 이야기지만요, 사립대학병원에서는 검사비용을 심평원에 청구했는데 삭감되는 건들에 대해서 검사비용의 10퍼센트인가 20퍼센트인가를 오더 낸 교수의 월급에서 차압한다고 하더라고요. 백만원짜리 검사면, 10만원 정도ㅋ
눈부심
와.. 놀랠 노자네요. 무슨 고급노예 같아요.
저녁 5시만 넘으면 교수 연구실의 전기를 차단하는 '대학병원'도 있는데요 뭐. 헬조선에선 가능한 일입니다. 개원환경이 점점 안좋아지면서 이바닥도 엄청난 분화가 되고 있죠. 상위1%의 인재를 모아서 일반인들은 의느님이니 의대굽신 거리지만 그 안에서 또 다른 막장이 피어나죠. 위의 의대는 아니지만 서남대 한번 검색해보시길..
으아 이런 환경에서 어떻게 진료를 해요...
어디나 일정 퍼센티지로 있는 진상고객(?)은 사실 어쩔 수 없는 영역인 거고, 1차적으로 의사를 보호하고 진료행위의 적극성을 최대한 보장해주는 건 소속 기관인 병원의 책임이잖아요. 병원들이 의사들을 총알받이로 내세우고 자기들은 책임회피하는 거 같아요.
국가가 책임회피를 하는데 병원들이야 뭐... 병원이 아무리 막장짓을 해도 의사 입장에선 그나마 이해가는게 정부보다 덜 막장이어서 그렇습니다.

그런걸 보장해주는 병원을 우리는 '빅4'라고 부르고 아닌 병원을 차마 못부르는 무슨무슨대 병원이라고 하죠.
대학병원이 이렇게 망가진건 1.교수자리는 원하는 사람이 자리 수 보다 월등히 많다. 2.의사 입장에서도 수틀리면 나가면 그만 3.애초에 대학병원 자리를 개업해서 돈벌기 위한 환자 풀을 모집하기 위해서 시작 4. 남아 있는 교수들은 비굴하거나 약점잡혀있거나 금수저에 패션교수거나 등... 더 보기
국가가 책임회피를 하는데 병원들이야 뭐... 병원이 아무리 막장짓을 해도 의사 입장에선 그나마 이해가는게 정부보다 덜 막장이어서 그렇습니다.

그런걸 보장해주는 병원을 우리는 '빅4'라고 부르고 아닌 병원을 차마 못부르는 무슨무슨대 병원이라고 하죠.
대학병원이 이렇게 망가진건 1.교수자리는 원하는 사람이 자리 수 보다 월등히 많다. 2.의사 입장에서도 수틀리면 나가면 그만 3.애초에 대학병원 자리를 개업해서 돈벌기 위한 환자 풀을 모집하기 위해서 시작 4. 남아 있는 교수들은 비굴하거나 약점잡혀있거나 금수저에 패션교수거나 등등 해서 바꿀 필요성을 못여긴다. 5.사립병원은 사립학교재단의 연장-이사장의 사유물 같은 존재. 6.저수가로 인한 병원 운영의 어려움 7. 개원입지의 악화로 병원들의 패악질 강화 8. 대학병원도 월급 오르기 전에 잔챙이 조교수들 열정페이로 빼먹고 내보내면 이득 등등 뭐 일반인들은 잘 공감안가지만 기가 막히는 이야기 엄청 많죠.. 여기에 제가 직접 겪었던 일을 그냥 다 쳐도 어디 링크 걸리면 아마 인터넷 폭발할겁니다.
어쩌면 특별하게 볼게 아닌게, 한국 사회 축소판인 것 같아요. 어디나 사람사는 데는 비슷하다는 만고의 진리를 다시 한번 확인하게 되는지도...
Beer Inside
대부분 대학병원에서 삭감에 동일한 대응을 합니다
damianhwang
저희병원같이 콩알만한 종병도 예전에 월급쟁이 의사 뽑기 힘들땐 안그랬을지 모르지만
요새는 인센티브제 계약하고 실적안나오면 4개월만에도 짤리고, 6개월만에도 짤리고 그럽니다;;;;
뭐랄까..회사로 치면 임원같은거죠...고연봉 임시직원...
마르코폴로
고연봉 임시직원 좋네요. 흐흐흐
의약인의 비정규직화!
마르코폴로
민법 상 사용자는 피용자가 제삼자에게 가한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어요. 그리고 사용자는 피용자에게 구상권을 행사할 수 있지요.
고용된 의사가 의료 사고로 환자에게 손해를 입히면 병원이 배상할 책임이 있고, 병원은 의사에게 구상권을 청구하는 거죠.
네 그건 논리적으로 맞는 것 같은데... 예를 들어 그 의료사고의 책임이 의사에게 온전히 있지 않은, 그러니까 의사는 최선을 다하였고 어떻게 더 할 수 없는 경우임을 병원측에서 엄연히 알고 있으면서도 '미안' 하고 구상권을 행사해 버리는 경우가 있을 거 같아요. 그런 경우 의사가 자기 권리를 지키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이 있지 않을까 해서용.
Beer Inside
국립암센터에서도 시행 했습니다
에휴 국립 두글자가 들어가니 더 슬프고 화나네요. 전문 저널리스트들이 구조적인 문제를 짚어줬으면 좋겠어요. 의료계에 국한된 게 아니고 한국사회 전체에서 일어나는 일 같아요.
눈부심
홍차넷에서 의료인들이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높이는 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정당정책들 살펴봤을 때 다들 의료보험을 저렴하고 정당하게 지급하는 방안을 모색하지 비상식적인 의료수가에 대한 대책은 아무 언급이 없더라고요. 저는 이게 참 중요하단 생각이 들거든요. 임계점을 이미 넘은 것 같은데 문제가 한 두가지가 아니군요.
에이 여기서 하는게 뭐 도움이 되겠습니까 그냥 하소연이죠 킬킬. 기대 안하고 요즘 의사의 트렌드는 '막장의료 가속해서 한국의료 끝장내자' 입니다. 과거에는 어떻게든 이 다운힐로 가는 기차 속도를 늦춰서 먹고 살자라는 분위기였는데 요즘은 빨리 망하고 리셋하자입니다만.... 그리 될 지는 모르겠습니다. 제대로 된 의사 인력 유출 루트만 뚫리면 가능할 거 같긴 한데 세계적 경제위기때문에 아마 앉아서 고사당하겠죠. 이미 산부인과가 앞장서서 수치로 보여주고 있고, 응급실이 작살났으며, 그 담엔 각종 돈안되는 외과들, 내과 등등 줄서 있습니다.

산부인과 현황 ... 더 보기
에이 여기서 하는게 뭐 도움이 되겠습니까 그냥 하소연이죠 킬킬. 기대 안하고 요즘 의사의 트렌드는 '막장의료 가속해서 한국의료 끝장내자' 입니다. 과거에는 어떻게든 이 다운힐로 가는 기차 속도를 늦춰서 먹고 살자라는 분위기였는데 요즘은 빨리 망하고 리셋하자입니다만.... 그리 될 지는 모르겠습니다. 제대로 된 의사 인력 유출 루트만 뚫리면 가능할 거 같긴 한데 세계적 경제위기때문에 아마 앉아서 고사당하겠죠. 이미 산부인과가 앞장서서 수치로 보여주고 있고, 응급실이 작살났으며, 그 담엔 각종 돈안되는 외과들, 내과 등등 줄서 있습니다.

산부인과 현황 http://www.rapportian.com/n_news/news/view.html?page_code=&area_code=&no=23884&code=netfu_44711_17340&s_code=20110711224509_0621&ds_code=
damianhwang
어디 동남아에서 의사도 수입해오는 사태가 생길려나요;;;
일단은 중동이나 미국가는 분위기라 그렇지
여기도 나중되면 뭐..
대표적 막장국가인 아프가니스탄도...부유층 대상으로 하는 미국병원 프랑스 병원 다 들어와 있더라구요;ㄷㄷㄷㄷ
수입해서 조선족 아주머니들 식당에서 일하는 것 처럼 굴릴 수 있을 거 같기도 한데.. 한국 눈높이에 맞는 기준의 동남아 의사라면 한국 안가고 다른데 쉽게 갈 거 같아요. 요즘 제 관심사는 과연 한국이 의사를 '특정업무'에 강제할 수 있느냐 하는건데 빼도박도 못하게 위헌이겠지만 뭐 한국의 위헌이란것도 다 정치적 결정 아니겠습니까 엣헴.
여기 실상 sns에 다 퍼져서 웬만한 동남아 의사들은 안 들어옵니다
그나마 한국행에 적극적인 외국 의사들은 조선족들...
damianhwang
건강보험 와해된 다음에 대놓고 영리병원 운영하게 될 때 말입져 ;-)
비인기과 의사들을 매꿔와야 할 타이밍에 외국에서 싼 의사 수입하게 되는 경우가 생길지도 모른다는 느낌이...
마르코폴로
단순하게 정리하면 신해철법이든 뭐시기법이든 위험에도 불구하고 해당업무를 계속할 정도의 경제적 유인을 지급하거나 -비용보다 편익이 훨씬 높은 수준으로- 위험을 국가가 대신 부담하거나 -의사가 공무원 신분이면 의료소송도 국가소송이 되겠죠- 하는 정도의 방법밖에 없는 것 같아요.
위에도 있지만 '의료 관련 무슨 무슨법'을 개정해서 '산부인과 의사'는 분만을 일년에 몇 건 이상 꼭 해야 한다. 등등 식으로 가지나 않을지.. 말도 안되지만 신해철법을 바라보는 의사대중의 마인드가 이런거나 오십보 백보입니다. 말씀하신 전자/후자 모두 정론이지만 에이 한국에서 이런게 가능할 리가 없잖아요. 앞의 거를 하면 아마 정부 지지율 5% 나올거고, 뒤에거를 하면 국가 재정 빵꾸 납니다.
여기서 함정은 저 시골이 창원과 더불어 한강 이남 지방 도시에서는 제일 경제환경이 좋다는 (저 당시에) 투탑급 지방도시였고, 전원된 곳도 무려 전국의 11개 (비 수도권 3개) 밖에 없는 '중환자실 평가 1등급' 병원이 있던 곳이었다는거죠.. 에필로그로 .. "그 동아시아 국가는 응급실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 '전문의'가 없으면 응급실을 운영하지 못하게 했습니다. 그래서 시골의 응급실들이 없어졌고 불법 당직으로 막대한 돈을 벌던 나쁜 공중보건의들도 없어져서 모두가 행복해 졌습니다. 물론 서울 강남에서 어느 병원가도 줄 안서고 VIP대접을 받던 그분들에겐 애시당초 큰 일도 아니었지만서도요." 도 한 줄 붙여주세요.
Beer Inside
메트로 폴리스에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지요
리틀미
이거 유명한 실화입니다. 근데 이 사건 이후에 대처인 이른바 응급실당직법으로... 그나마 남아 있던 응급실이 더 문을 닫게 되었죠.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도 한 번 다뤘던 것 같아요.

http://www.rapportian.com/n_news/news/view_.html?no=6968
Beer Inside
금시 초문입니다만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60 일상/생각내가 사회를 바라보는 눈 9 다시갑시다 17/12/08 7738 20
518 일상/생각평등 31 알료사 17/09/26 7748 27
899 영화시카리오 - 현실에서 눈을 돌리다 29 코리몬테아스 19/12/18 7751 15
197 역사유게에 올라온 유재흥 글에 대해 67 눈시 16/04/29 7760 34
836 역사고려청자의 위상은 어느 정도였을까? 17 메존일각 19/07/24 7761 31
404 의료/건강성중독에 관하여 몇마디 하고 싶어 적습니다. 12 민지 17/04/04 7767 19
765 일상/생각돈이 없는 것보다 더 부끄러운 것 10 The xian 19/01/31 7769 24
395 정치/사회화장실을 엿본 그는 왜 무죄판결을 받았나 13 烏鳳 17/03/24 7781 29
226 역사"동북아 역사지도 프로젝트 폐기"에 부쳐 140 기아트윈스 16/07/01 7795 6
494 문학제가 하는 일에 대한 이야기를 조금 해 보려 합니다. 33 그리부예 17/08/16 7798 12
516 일상/생각애 키우다 운 썰 풉니다.txt 21 Homo_Skeptic 17/09/23 7802 20
1198 정치/사회윤석열을 맞이하며: 진보 담론의 시대는 끝났다 76 카르스 22/05/08 7805 50
727 IT/컴퓨터인터넷 뱅킹, 공인인증서를 사용하지 않아도 안전할까? 31 T.Robin 18/11/07 7814 10
48 요리/음식콩국수, 서민음식과 양반음식의 하이브리드 33 마르코폴로 15/07/21 7821 0
138 기타젠더와 명칭 39 눈부심 16/01/06 7823 4
743 정치/사회한 전직 논술강사의 숙대 총학의 선언문 감상 40 烏鳳 18/12/11 7833 35
951 일상/생각돈으로 헌신에 감사 표하기 28 구밀복검 20/04/22 7833 25
392 경제약간만 양심을 내려 놓으면 댓가는 달콤하다. 하지만... 51 tannenbaum 17/03/20 7835 15
242 기타홍차넷 자게 메타분석 45 기아트윈스 16/08/01 7848 16
66 체육/스포츠[스탯] 세이브 조작단을 검거해보자 - WPA 8 kpark 15/08/31 7856 3
74 꿀팁/강좌imgur로 게시판에 이미지 올리기 5 Toby 15/09/23 7860 5
623 일상/생각선배님의 참교육 12 하얀 18/04/29 7860 24
605 철학/종교감동(感動) 23 기아트윈스 18/03/22 7861 31
189 역사일본 창작물 내에서의 임진왜란 16 눈시 16/04/22 7863 7
234 일상/생각백윤식을 용납하기 위해서 40 선비 16/07/23 7872 19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