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 16/05/28 17:01:28 |
Name | Beer Inside |
Subject | 어느 시골 병원 이야기 |
동아시아의 어느나라 시골병원에 배가 아픈 아기가 도착했습니다. 병원에서는 환자를 보고 장중첩증을 의심하여서 검사를 하고 싶은데, 주말이어서 영상의학과 의사가 병원에 없습니다. 거기에 병원 전산망이 멈춰있어서 일의 진행도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가까운 병원에 가서 초음파 검사를 해 보자고 합니다. 문제는 가까운 병원이 시골병원보다 작은 병원이였던 것이지요. 그래서 부모는 병원의 말을 믿지 않고 다른 시골병원으로 갑니다. 다른 시골병원에 가려고 전화를 해 보니 소아외과의사가 없다고 진료를 볼 수 없다는 겁니다. 아기의 부모는 다른 병원에 가면 소아외과 의사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또 다른 병원 또 다른 병원을 찾아 다닙니다. 그리고 결국 아기는 장이 썩어서 사망했습니다. 수술이 아니라 잘하면 간단한 시술로도 치료할 수 있는 병인데, 영상의학과가 없다 소아외과 의사가 없다는 이유로 아이는 병원을 돌아다니다가 사망한 것입니다. 시골은 대도시보다 저소득층이 많기 때문에 비율만 보았을 때는 선천성 기형아가 많이 태어납니다. 그래서 소아외과가 수술할 기회도 적지 않은 편이고 실력도 나쁘지 않은 편입니다. 하지만 선천성기형인 아이들은 사망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수술을 하면 위험은 높은 반면, 돈벌이가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어느 나라나 선천성 기형인 아이들을 위해서 기부도 받고 기금을 모집하고 하지요. 하지만, 이 시골병원에서는 그런 것이 가능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수술이 실패했을 때 환자의 부모들은 소아외과 의사에게 소송을 걸었고, 소송에 패소하면 병원은 소아외과 의사에게 구상권을 청구해서 남들보다 많은 월급도 아닌데, 월급을 차압당하는 신세가 된 것이지요. 그래서 그 소아외과 의사는 소아외과를 하지 않겠다고 했고, 그 동네의 다른 소아외과 의사는 간단한 수술만 하고, 시간이 촉박하거나 위험한 수술은 대도시로 가서 수술받으라고 했습니다. 그래서 위와 같은 사건이 발생한 것이지요. 그 국가에서는 응급환자를 제대로 관리를 못한 시골병원을 처벌하고 싶었지만, 그 병원을 처벌하면 그 지역에서 그 시골병원이 하던 적자만 발생하는 응급센터의 역할을 대신하겠다고 하는 병원이 없었기 때문에 처벌할 수가 없었습니다. 대신 다시는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다는 약속을 받는 것으로 그쳤습니다. 그리고, 위 사건으로 처벌받은 사람도 없었습니다. 위험한 환자를 보지 않으면 처벌받을일도 없으니까요. * 수박이두통에게보린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6-06-06 15:57)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12
|
어... 너무 궁금한 게 있어요. 병원이 소아외과 의사에게 구상권을 청구해서 월급을 차압했다고 하셨잖아요. 이게 법적으로 가능한 일인가요? 이건 뭐 회사는 직원들한테 폰 팔라고 떠맡기고 직원들은 못 팔면 내돈으로 내야 하는 핸드폰 회사도 아니고... 제 상식으로는 그런 일이 도저히 상상이 안 가거든요. 만약 그런 일이 실제로 일어나고 있다면 의사들이 나서서 그런 관행인지 법인지부터 고쳐야 하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는데요.
제가 가진 의문 중 하나가 이런 건데요. 많은 의사분들이 의사(노동자) 입장과 병원(사측)의 입장을 완전히 동일시하고 이야기하는 경우가 너무 많더라고요. 물론 개인병원이면 충분히 그럴 수 있지만 대형병원 의사들은 좀 다르지 않을까 싶은데... 병원의 손익이 그대로 의료인의 손익이 되는 일심동체의 구조일 리는 없을 거라고 생각하거든요.
제가 가진 의문 중 하나가 이런 건데요. 많은 의사분들이 의사(노동자) 입장과 병원(사측)의 입장을 완전히 동일시하고 이야기하는 경우가 너무 많더라고요. 물론 개인병원이면 충분히 그럴 수 있지만 대형병원 의사들은 좀 다르지 않을까 싶은데... 병원의 손익이 그대로 의료인의 손익이 되는 일심동체의 구조일 리는 없을 거라고 생각하거든요.
국가가 책임회피를 하는데 병원들이야 뭐... 병원이 아무리 막장짓을 해도 의사 입장에선 그나마 이해가는게 정부보다 덜 막장이어서 그렇습니다.
그런걸 보장해주는 병원을 우리는 '빅4'라고 부르고 아닌 병원을 차마 못부르는 무슨무슨대 병원이라고 하죠.
대학병원이 이렇게 망가진건 1.교수자리는 원하는 사람이 자리 수 보다 월등히 많다. 2.의사 입장에서도 수틀리면 나가면 그만 3.애초에 대학병원 자리를 개업해서 돈벌기 위한 환자 풀을 모집하기 위해서 시작 4. 남아 있는 교수들은 비굴하거나 약점잡혀있거나 금수저에 패션교수거나 등... 더 보기
그런걸 보장해주는 병원을 우리는 '빅4'라고 부르고 아닌 병원을 차마 못부르는 무슨무슨대 병원이라고 하죠.
대학병원이 이렇게 망가진건 1.교수자리는 원하는 사람이 자리 수 보다 월등히 많다. 2.의사 입장에서도 수틀리면 나가면 그만 3.애초에 대학병원 자리를 개업해서 돈벌기 위한 환자 풀을 모집하기 위해서 시작 4. 남아 있는 교수들은 비굴하거나 약점잡혀있거나 금수저에 패션교수거나 등... 더 보기
국가가 책임회피를 하는데 병원들이야 뭐... 병원이 아무리 막장짓을 해도 의사 입장에선 그나마 이해가는게 정부보다 덜 막장이어서 그렇습니다.
그런걸 보장해주는 병원을 우리는 '빅4'라고 부르고 아닌 병원을 차마 못부르는 무슨무슨대 병원이라고 하죠.
대학병원이 이렇게 망가진건 1.교수자리는 원하는 사람이 자리 수 보다 월등히 많다. 2.의사 입장에서도 수틀리면 나가면 그만 3.애초에 대학병원 자리를 개업해서 돈벌기 위한 환자 풀을 모집하기 위해서 시작 4. 남아 있는 교수들은 비굴하거나 약점잡혀있거나 금수저에 패션교수거나 등등 해서 바꿀 필요성을 못여긴다. 5.사립병원은 사립학교재단의 연장-이사장의 사유물 같은 존재. 6.저수가로 인한 병원 운영의 어려움 7. 개원입지의 악화로 병원들의 패악질 강화 8. 대학병원도 월급 오르기 전에 잔챙이 조교수들 열정페이로 빼먹고 내보내면 이득 등등 뭐 일반인들은 잘 공감안가지만 기가 막히는 이야기 엄청 많죠.. 여기에 제가 직접 겪었던 일을 그냥 다 쳐도 어디 링크 걸리면 아마 인터넷 폭발할겁니다.
그런걸 보장해주는 병원을 우리는 '빅4'라고 부르고 아닌 병원을 차마 못부르는 무슨무슨대 병원이라고 하죠.
대학병원이 이렇게 망가진건 1.교수자리는 원하는 사람이 자리 수 보다 월등히 많다. 2.의사 입장에서도 수틀리면 나가면 그만 3.애초에 대학병원 자리를 개업해서 돈벌기 위한 환자 풀을 모집하기 위해서 시작 4. 남아 있는 교수들은 비굴하거나 약점잡혀있거나 금수저에 패션교수거나 등등 해서 바꿀 필요성을 못여긴다. 5.사립병원은 사립학교재단의 연장-이사장의 사유물 같은 존재. 6.저수가로 인한 병원 운영의 어려움 7. 개원입지의 악화로 병원들의 패악질 강화 8. 대학병원도 월급 오르기 전에 잔챙이 조교수들 열정페이로 빼먹고 내보내면 이득 등등 뭐 일반인들은 잘 공감안가지만 기가 막히는 이야기 엄청 많죠.. 여기에 제가 직접 겪었던 일을 그냥 다 쳐도 어디 링크 걸리면 아마 인터넷 폭발할겁니다.
에이 여기서 하는게 뭐 도움이 되겠습니까 그냥 하소연이죠 킬킬. 기대 안하고 요즘 의사의 트렌드는 '막장의료 가속해서 한국의료 끝장내자' 입니다. 과거에는 어떻게든 이 다운힐로 가는 기차 속도를 늦춰서 먹고 살자라는 분위기였는데 요즘은 빨리 망하고 리셋하자입니다만.... 그리 될 지는 모르겠습니다. 제대로 된 의사 인력 유출 루트만 뚫리면 가능할 거 같긴 한데 세계적 경제위기때문에 아마 앉아서 고사당하겠죠. 이미 산부인과가 앞장서서 수치로 보여주고 있고, 응급실이 작살났으며, 그 담엔 각종 돈안되는 외과들, 내과 등등 줄서 있습니다.
산부인과 현황 ... 더 보기
산부인과 현황 ... 더 보기
에이 여기서 하는게 뭐 도움이 되겠습니까 그냥 하소연이죠 킬킬. 기대 안하고 요즘 의사의 트렌드는 '막장의료 가속해서 한국의료 끝장내자' 입니다. 과거에는 어떻게든 이 다운힐로 가는 기차 속도를 늦춰서 먹고 살자라는 분위기였는데 요즘은 빨리 망하고 리셋하자입니다만.... 그리 될 지는 모르겠습니다. 제대로 된 의사 인력 유출 루트만 뚫리면 가능할 거 같긴 한데 세계적 경제위기때문에 아마 앉아서 고사당하겠죠. 이미 산부인과가 앞장서서 수치로 보여주고 있고, 응급실이 작살났으며, 그 담엔 각종 돈안되는 외과들, 내과 등등 줄서 있습니다.
산부인과 현황 http://www.rapportian.com/n_news/news/view.html?page_code=&area_code=&no=23884&code=netfu_44711_17340&s_code=20110711224509_0621&ds_code=
산부인과 현황 http://www.rapportian.com/n_news/news/view.html?page_code=&area_code=&no=23884&code=netfu_44711_17340&s_code=20110711224509_0621&ds_code=
여기서 함정은 저 시골이 창원과 더불어 한강 이남 지방 도시에서는 제일 경제환경이 좋다는 (저 당시에) 투탑급 지방도시였고, 전원된 곳도 무려 전국의 11개 (비 수도권 3개) 밖에 없는 '중환자실 평가 1등급' 병원이 있던 곳이었다는거죠.. 에필로그로 .. "그 동아시아 국가는 응급실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 '전문의'가 없으면 응급실을 운영하지 못하게 했습니다. 그래서 시골의 응급실들이 없어졌고 불법 당직으로 막대한 돈을 벌던 나쁜 공중보건의들도 없어져서 모두가 행복해 졌습니다. 물론 서울 강남에서 어느 병원가도 줄 안서고 VIP대접을 받던 그분들에겐 애시당초 큰 일도 아니었지만서도요." 도 한 줄 붙여주세요.
이거 유명한 실화입니다. 근데 이 사건 이후에 대처인 이른바 응급실당직법으로... 그나마 남아 있던 응급실이 더 문을 닫게 되었죠.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도 한 번 다뤘던 것 같아요.
http://www.rapportian.com/n_news/news/view_.html?no=6968
http://www.rapportian.com/n_news/news/view_.html?no=6968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