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6/04/07 10:54:18
Name   모모스
Subject   적록색맹과 Vitamin C 이야기
포유류가 되기 전 훨씬 더 효율적으로 색깔을 구분하는 시신경에 대한 유전자를 가지고 있던 우리 선조 생명체들은 포유류로 진화되면서 초창기 포유류가 공룡의 압박으로 야간 활동만 하게 되고 그에 많은 색깔 구분하는 시신경에 대한 유전자가 기능 잃고 명암을 구분하는 시신경만 더욱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그 후 지상을 지배하게된 포유류는 이 명암을 구분하는 시신경으로부터 다시 색깔을 구분하는 시신경이 분화되어 지금에 이르게 됩니다. ( 그래서 포유류와 조류의 색깔을 구분하는 시신경 기원이 다릅니다. ) 특히 다른 포유류는 보통 2가지 색깔을 구분하는 시신경을 가지고 있지만 영장류는 3가지 색깔을 구분하는 시신경을 가지고 있습니다. 공룡의 후손 종인 조류들 중엔 3가지 색깔뿐만 아니라 자외선을 구분하는 시신경까지 4가지 색깔을 구분해내는 조류도 많습니다. 그래서 일부 극락조는 다른 화려한 무늬의 극락조랑 달리 인간의 눈에는 단순하게 보이는데 실제 자외선 필터를 이용해서 보면 화려한 무늬가 나타납니다. 자외선을 구분하는 조류에게는 인간의 눈에 보이는 것과는 달리 이런 극락조는 화려하게 보이겠죠.

인간은 3가지 원추세포 즉 S-원추세포, M-원추세포, L-원추세포로  노란색, 녹색, 빨간색 3원색을 감지해서 이를 조합하여 여러 가지 색깔을 보게 됩니다.

색맹은 이런 원추세포 중 일부 또는 전부가 기능을 잘하지 못해서 나타납니다. 이 중에 빨간색과 녹색 구분을 잘못하는 적록색맹이 제일 많다고 합니다.
원추세포유전자가 X염색체에 존재해서 남성에서 훨씬 많이 나타납니다. ( 고등학교 때 배우죠? 반성유전 )

그럼 왜 적록색맹이 지금까지 일정비율로 남아있을까요?

현대엔 적록색맹이면 거리의 신호등을 구분하기 힘들어서 운전하는데 상당히 불편합니다. ( 주변에 색맹인 사람 말로는 신호등의 순서로 구분한답니다.) 과거 영장류들은 나무 위에서 생활했고 과일을 많이 섭취했습니다. 일부 영장류들은 대부분의 포유류와 달리 Vitamin C 를 체내에서 합성하지 못합니다. 이는 Vitamin C가 생명 활동에 필수적이지만 체내 합성하는데 많은 에너지가 소비되므로 Vitamin C 합성을 포기하고 과일을 통해 Vitamin C를 섭취하는 전략을 써왔기 때문입니다. 그 영향으로 인간은 Vitamin C를 체내에서 합성이 불가능하여 일정 기간 이상 신선한 채소나 과일을 섭취하지 못하면 Vitamin C 부족으로 인한 괴혈병 등의 질병으로 사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빨간색을 인식하여 잘 익은 과일을 찾아내고 구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입니다. 또 신선한 잎과 오래된 잎을 골라내기 위해 빨간색과 녹색을 구분해서 보는 것도 아주 중요합니다. 이런 이유로 Vitamin C를 섭취하는데 적록색맹은 상당히 불리합니다. 당연히 도태되어야 하는 유전자입니다.

하지만 적록색맹인 사람은 녹색을 일반인보다 훨씬 더 세밀하게 구분해냅니다. 이는 풀숲에 숨어있는 천적이나 사냥감을 찾는데 엄청난 능력을 발휘합니다. 수렵채취시대에 적록색맹인 사람은 천적을 막아내는 파수꾼이나 사냥감을 찾아내는 추적자 역할을 했을 겁니다. ( 2차대전 시 독일에서 일부 적록색맹인 사람들을 이용해 은폐해 숨어있는 적들의 스나이퍼를 찾아냈다고 합니다.) 오히려 도태되지 않고 어떤 면에서는 유리한 유전자이네요. 적록색맹인 사람들은 능력자들입니다.


Vitamin C
대항해의 시대에 수많은 유럽의 모험가들이 오랜 항해로 신선한 채소와 과일을 먹지 못해 Vitamin C 부족으로 인한 괴혈병으로 죽어갔습니다. 당시 영국이 세계 각지에 기를 쓰면서 기지를 세우고 텃밭을 만들어 채소나 과일을 키운 건 괴혈병 ( 당시에 정확하게 Vitamin C 부족이란 건 몰랐죠 ) 을 막고 오랜 항해를 유지하기 위해서입니다. 대서양 한가운데 세인트헬레나 섬이 이런 영국의 Vitamin C 함유 식자재 공급기지로 대표적이었습니다. 당시 또 영국 해군은 오랜 항해를 해야만 하는 선원들에게 Vitamin C가 함유된 라임주스를 강제로 먹게 했습니다. 해적들이 영국 해군들이 애들처럼 라임주스를 먹는다고 놀렸죠. 북극해 지역에 사는 이누이트족 ( 에스키모 ) 또한 신선한 채소와 과일을 쉽게 접할 수 없었는데 이들은 일각고래를 사냥해서 껍질 중 특정 부위를 생식으로 먹어 Vitamin C를 보충했다고 합니다. 일각고래를 잡아오다는 소식이 들어오면 부족 사람들이 모두 일각고래 껍질을 생식으로 먹을 기대감에 군침을 흘리면서 기다렸다고 하네요.    

현대엔 Vitamin C만 한정한다면 과잉의 시대입니다. 신선한 채소와 과일을 풍부하게 먹는 요즘, Vitamin C 1000mg 단일제제만 매일 먹는다고 피로가 풀리고 건강해진다는 것은 근거가 많이 부족하다고 봅니다. Vitamin C 1000mg 단일제제는 가격도 싸고 알약도 크며 무엇보다도 비타민이란 이름이 들어가니 플라시보 효과가 뛰어납니다. 여러가지 이유로 꼭 비타민이 섭취해야만 하는 사람이라면 Vitamin C 뿐만 아니라 더 다양한 비타민과 미네날 등을 함께 먹어야합니다. 특히 구내염에는 비타민B군들이 탁월한데 구내염에 비타민을 먹어야한다면서 Vitamin C 1000mg 단일제제만 먹는다면 효과가 미미할 겁니다. Vitamin C 1000mg 단일제제 대한 맹신이 너무 큰 것 같습니다. 비타민에 Vitamin C만 있는게 아니에요.

동물과 식물 각각 Vitamin C 의 생합성경로가 아래와 같이 복잡하고 많은 효소들이 관여하는 에너지가 많이 드는 과정입니다. 시판되는 Vitamin C 제품을 만들기 위한 대량 합성되는 원료 또한 합성하는데 복잡하고 비용이 좀 드는 편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타민이란 이름이 붙는 원료 중 대량 생산으로 인해  Vitamin C가 저렴한 편입니다.) 이라 우리 나라에서 직접 원료를 생산하여 제품을 만들 경우가 거의 없습니다. ( Vitamin C 1000mg 가격이 어마어마하게 싸죠. 단일 제제라 제품 간에 가격으로 승부합니다.) 우리나라 제약회사에서는 직접 Vitamin C 원료를 생산하기보다 값싼 원료를 수입해서 제품을 만들고 있습니다. 심지어 몇몇 Vitamin C 1000mg  단일제제 제품은 의약품이 아닌 건강기능식품으로 허가받아서 다양한 루트로 판매되고 있습니다.
http://aem.asm.org/content/70/10/6086/F1.expansion.html

Schematic representation of the biosynthetic pathways leading from Glc to L-ascorbic acid in plants or animals. The following enzymes are involved (the corresponding steps [letters or numbers] are in parentheses following Enzyme Commission numbers): L-galactono-1,4-lactone dehydrogenase (EC 1.3.2.3) (A), L-galactose dehydrogenase (B), sugar phosphatase (EC 3.1.3.23; putative) (C), hydrolase (putative) (D), GDP-mannose-3,5-epimerase (EC 5.1.3.18) (E), mannose-1-phosphate guanylyltransferase (EC 2.7.7.22) (F), phosphomannomutase (EC 5.4.2.8) (G), mannose-6-phosphate isomerase (EC 5.3.1.8) (H), glucose-6-phosphate isomerase (EC 5.3.1.9) (I), hexokinase (EC 2.7.1.1), (J), L-gulono-1,4-lactone oxidase (EC 1.1.3.8) (1), aldonolactonase (EC 3.1.1.17) (2), glucurono lactone reductase (EC 1.1.1.20) (2a), D-glucuronate reductase (EC 1.1.1.19) (3), uronolactonase (EC 3.1.1.19) or spontaneous (3a), D-glucurono kinase (EC 2.7.1.43) (4), glucuronate-1-phosphate uridylyltransferase (EC 2.7.7.44) (5) UDP-D-glucose dehydrogenase (EC 1.1.1.22) (6), UTP-glucose-1-phosphate uridylyltransferase (EC 2.7.7.9) (7), phosphoglucomutase (EC 5.4.2.2) (8), and hexokinase (EC 2.7.1.1) (9).


비아그라와 시알리스 이야기 https://kongcha.net/?b=3&n=2685
타이레놀과 울트라셋 이야기 https://kongcha.net/?b=3&n=2647
세상에서 가장 놀라운 생물들 https://kongcha.net/?b=3&n=2641
음주에 대한 수학적이고 과학적인 접근 https://kongcha.net/?b=3&n=2617
판피린 3형제 이야기 https://kongcha.net/?b=3&n=2605
게보린 3형제 이야기 https://kongcha.net/?b=3&n=2596
이부프로펜, Cyclooxygenase, 아스피린 이야기  https://kongcha.net/?b=3&n=2592
적록색맹과 Vitamin C 이야기 https://kongcha.net/?b=3&n=2566
보쌈, 면사포, 결혼반지 https://kongcha.net/?b=3&n=2187
육두구 이야기 https://kongcha.net/?b=3&n=2163
각국의 의료보험 https://kongcha.net/?b=3&n=2145
오줌병 이야기 https://kongcha.net/?b=3&n=1519
지헬슈니트 (낫질) 작전 - 1940년 독일-프랑스 전투 https://kongcha.net/?b=3&n=1461
지구의 온난화와 빙하기 https://kongcha.net/?b=3&n=1354
설사병 이야기 https://kongcha.net/?b=3&n=1322
토마토는 과일인가? 채소인가? https://kongcha.net/?b=3&n=1310
쓰레기 유전자 ( Noncoding DNA ) 와 유전자 감식 https://kongcha.net/?b=3&n=1297
생명체의 과밀화 https://kongcha.net/?b=3&n=1269
X 염색체 - 인간의 기본형은 여성? https://kongcha.net/?b=3&n=1259
각인 - 애들은 엄마, 아빠 누구 머리를 닮나? https://kongcha.net/?b=3&n=1252
정자왕 침팬지 https://kongcha.net/?b=3&n=1243
이스터섬 https://kongcha.net/?b=3&n=1234
불멸의 세포 https://kongcha.net/?b=3&n=1215
히스파니올라섬 https://kongcha.net/?b=3&n=1200
천연두 바이러스 https://kongcha.net/?b=3&n=1191
기생충 이야기 https://kongcha.net/?b=3&n=1183
기생충에 대한 또다른 인간의 방어법 IgE https://kongcha.net/?b=3&n=1175
가축화된 포유류는 어떤게 있나? https://kongcha.net/?b=3&n=1161
섹스의 진화 https://kongcha.net/?b=3&n=1147
외계로부터의 생명 전달 https://kongcha.net/?b=3&n=1097
항생제 이야기  https://kongcha.net/?b=3&n=1091
소주 이야기   https://kongcha.net/?b=3&n=1075
콜라 이야기   https://kongcha.net/?b=3&n=1057      
커피 이야기 - Caffeine https://kongcha.net/?b=3&n=1051
보스턴차사건 (Boston Tea Party) - 보스턴홍차사건 https://kongcha.net/?b=3&n=1034
유전자조작식물 (GMO)  https://kongcha.net/?b=3&n=1024
* 수박이두통에게보린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6-04-17 21:08)
* 관리사유 : 추천 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12
  • 눈이 빠지게 기다렸습니다!
  • 오오 걸어다니는 위키
  • 굿굿
  • 재밌어요


난커피가더좋아
오..모르는 것 없는 아재, 추천먹는 아재 오셨습니까? ㅋㅋㅋㅋ
눈부심
글구낭. 재미있어요 ^ ^
레지엔
괴혈병의 원인에 대해서 근거없는 임상실험들을 많이 했죠 각 국 해군이... 라임 쥬스도 사실 얻어걸린 거...
Beer Inside
네델란드처럼 양배추절임을 먹었어야....
쵸코보
적록색맹에 그런 비밀이!
사나운나비
오.. 신기해요. 재밌습니다.^^
언젠가 적록색맹인 아빠에게, 적록색맹을 교정해주는 선글라스를 선물하는 유튭영상을 본 적 있었는데, 엄청 눈물나더라구요.
바라보는 세상이 다르다는게 저는 잘 상상되진 않지만 풀숲에 있는 천적과 사냥감을 찾을 일이 없는 현대인들은 많이 불편하실 것 같아요.
Event Horizon
아마 이 영상 말씀하시는 것 같네요:
https://www.youtube.com/watch?v=fTpCTDwjHZQ
Colorblind dad experiences true color for the first time with EnChroma glasses

딸 아이의 눈을 처음 본 그 순간에는 저도 심장에 ㅠ

이 안경을 만드는 회사인 EnChroma 웹사이트에 가보면 적록색맹의 원인도 설명이 되어있습니다. 간단히 말해서 적록색맹의 경우 그렇지 않늣 사람에 비교해서 초록색의 M-원추세포가 너무 많은 빨간빛을 흡수하거나, 빨간색의 L-원추세포가 초록빛을 너무 흡수해서 두 색간의 비교가 힘들어지는 것이라고하네요. 실제로 빨간색과 초록색이 주파수가 비슷해서 더 일어나기 쉬운게 아닌가 싶기도하네요.
어른아이
오오 색맹은 아니지만 파랑색과 남색도 잘 구분 못하는 색알못이라 녹색을 더 세밀하게 구분해 낸다는 게 신기하게 들립니다
원추 세포들이 기능은 다 멀쩡한데 조금 둔하면 색알못이 되는 걸까요? (저의 미적 감각 없음을 원추 세포 탓을 하고 싶어요 ㅠ)
색맹이 보는 세상과 모든 색을 세밀하게 구분해 낼 수 있는 사람이 보는 세상은 제가 보는 세상과 완전히 다른 느낌일까요?
damianhwang
vitamine이 처음에는 vita + amine의 합성어로 써서 스펠링 끝에 e가 들어있다가
나중에 아민기가 없는 물질들도 비타민으로 분류하게 되면서 스펠링이 vitamin으로 조정된 걸로 기억이 납니다 ;-)
모모스
그렇군요... 다 고쳐야겠어요. 쓰면서도 살짝 찝찝했는데...감사합니다.
색맹이 단지 구분이 안되는 것인줄 알았는데 장점도 있는 거었네요. 싱기방기합니다.
기아트윈스
독일군 이야기가 엄청 신기하네요. 레퍼런스를 알 수 있을까요?
모모스
지식채널e - 6%가 가진 능력 463편 (08년10월06일)

재미있게 봐서 기억합니다.
기아트윈스
감사합니다. 한 번 찾아봐야겠네요.

그나저나 적록색맹이 수풀 속의 천적을 잘 포착해낸다는 이야기를 들으니 예전에 영어 시험 공부하다가 읽은 지문 하나가 생각나요. 어떤 원숭이 이야기였는데 이 원숭이들은 신기하게 수컷들의 과반이 색맹이고 (완전 색맹, 흑백티비에요) 암컷들은 대다수가 적록을 구분한다는 거에요. 그 이유를 진화론으로 설명하려다보니 나온 가장 설득력 있는 가설이 바로 먹이채집 문제였어요. 해당 원숭이들은 암컷이 과일 같은 것들을 따고 수컷이 작은 동물이나 벌레를 사냥한대요. 과일을 따야하니 당연히 적록 구분이 매우 ... 더 보기
감사합니다. 한 번 찾아봐야겠네요.

그나저나 적록색맹이 수풀 속의 천적을 잘 포착해낸다는 이야기를 들으니 예전에 영어 시험 공부하다가 읽은 지문 하나가 생각나요. 어떤 원숭이 이야기였는데 이 원숭이들은 신기하게 수컷들의 과반이 색맹이고 (완전 색맹, 흑백티비에요) 암컷들은 대다수가 적록을 구분한다는 거에요. 그 이유를 진화론으로 설명하려다보니 나온 가장 설득력 있는 가설이 바로 먹이채집 문제였어요. 해당 원숭이들은 암컷이 과일 같은 것들을 따고 수컷이 작은 동물이나 벌레를 사냥한대요. 과일을 따야하니 당연히 적록 구분이 매우 중요하니까 암컷들은 그게 되는 거고 작은 동물이나 벌레를 사냥할 때는 오히려 흑백시야가 유리해서(!!) 수컷들은 그렇게 된 거라는 거에요.

실제로 실험을 해보면 색 구분이 전혀 안되는 흑백 상황에선 정지된 물체들을 구분해내는 데는 어려움이 있지만 정지된 물체 사이에 움직이는 물체를 포착하는 데는 오히려 색맹인게 더 유리하다고 해요. 해당 원숭이 수컷들은 사냥감이 다 [움직이는] 것들이니까 자연스럽게 흑백 시야를 채택하는 쪽이 사냥 성공률이 더 높고 어쩌구 저쩌구..
비용이 좀 들긴 하겠지만 점진적으로 신호등 색깔을 바꾸는게 좋겠네요.
April_fool
다른 이야기인데, 어쩌면 미래에는 유전자 조작으로 조류의 시각 유전자를 가져온 인간이 탄생할지도 모르겠다 싶네요.
재미있게 잘 읽었어요. <동물들은 어떻게 세상을 볼까요>라는 책이 생각나네요. 여러 가지 동물의 얼굴을 그려놓고 눈 주위를 덮어둔 종이를 펼치면 그 동물이 보는 세상의 색깔과 형체가 나타나도록 만든 그림책입니다. 개 고양이 전반적으로 굉장히 흐릿한데 몇몇 새들의 시야는 눈이 부시도록 찬란했어요.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8955823053
세상의빛
잘 읽었습니다. 무슨 일 하시는지 궁금하네요. 혹시 의사이신지...
교대근무
와....정말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모모스
재미있게 읽으셨다니 보람을 느끼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잘 읽었습니다. 아직도 논란 중이지만 저도 vit C 단독 megadose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1인입니다.
그나저나 대학원 이후로 저 pathway를 또 보게 될 줄이야.... ㅠㅠㅠㅠㅠㅠ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12 과학음수X음수는 왜 양수인가요? 62 캡틴아메리카 17/04/15 15399 14
397 과학명왕성이 행성 지위를 상실한 이유와 복귀 가능성 16 곰곰이 17/03/24 9549 15
380 과학외계 행성 중 ‘지구형 행성’ AKA 골디락스 행성 구별법 8 곰곰이 17/03/04 9157 13
375 과학외계 행성을 (진지하게) 발견하는 방법 11 곰곰이 17/02/24 8353 12
291 과학신내림 약물과 무당, 주술가, 버서커 8 모모스 16/10/25 8908 15
269 과학양자역학 의식의 흐름: 월급 D 루팡 31 Event Horizon 16/09/22 9496 12
241 과학도핑테스트와 질량분석기 10 모모스 16/07/30 9721 9
214 과학Re : Re : 국내의 에너지 산업 혹은 태양광산업 동향은 어떤가요? 29 고양이카페 16/06/06 8146 10
202 과학배틀크루저와 자연선택 12 모모스 16/05/07 7284 5
201 과학쌀, 보리, 밀 이야기 (자화수분-자웅동주식물) 3 모모스 16/05/06 8155 5
180 과학적록색맹과 Vitamin C 이야기 22 모모스 16/04/07 6885 12
158 과학. 26 리틀미 16/02/18 8251 16
156 과학알파고vs이세돌 대국을 기대하며.... 34 커피최고 16/02/16 7857 4
153 과학왜 최근에 빌 게이츠, 엘론 머스크, 스티븐 호킹 등 많은 유명인들이 인공지능을 경계하라고 호소하는가? 47 절름발이이리 16/02/12 9874 7
101 과학지구의 온난화와 빙하기 4 모모스 15/10/27 9639 8
91 과학쓰레기 유전자 ( Noncoding DNA ) 와 유전자 감식 23 모모스 15/10/20 7575 9
85 과학불멸의 세포 17 모모스 15/10/09 8151 10
62 과학쇠똥구리곤충의 GPS, 밀키웨이 13 눈부심 15/08/26 8196 0
35 과학확신이 아집이 아니라 멋있을 때... 26 Neandertal 15/06/29 9913 0
30 과학쥬라기 월드흥행에 적어보는 공룡이야기(3)-모든걸 새로쓰게한 공룡 9 개평3냥 15/06/20 8005 0
28 과학쥬라기월드흥행에 적어보는 공룡이야기(2)-공룡은 파충류가 아니다 20 개평3냥 15/06/17 9217 0
17 과학음, 그러니까 이게 특수 상대성 이론이라 말이지?... 12 neandertal 15/06/10 8419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