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6/02/12 14:10:38
Name   Obsobs
Subject   산후우울증에 대한 소고
[출처: 중앙일보] 대구 20대 주부, 생후 5개월 아이 창밖으로 던져 사망
http://news.joins.com/article/19527933

기사에 나온 주부는 평소 산후 우울증을 앓고 있었다고 이야기하네요. 산후 우울증으로 인한 영아살해가 기사화되는 일이 종종 있었습니다. 어린아이의 죽음이라는 사실과 사회가 기대하는 모성에 대한 통념이 합해져서 기사를 보는 이에게는 충격, 분노, 안타까움을 자아내는 사건입니다.

DSM-5(정신 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 5판)에서는 주요우울증(Major depressive disorder)의 세부진단으로 산욕기 발병형(peripartum onset, 한글 번역이 맞나 모르겠네요)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이전 DSM-IV에서 명시한 산후 발병형(postpartum onset) 주요우울증 환자들을 보니 50%는 출산 전에 이미 주요우울삽화(major depressive episode)가 있었다고 하여 발병시점을 "임신 기간~출산 후 4주" 로 확대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단어의 익숙함 때문에 산후우울증이라고 적겠지만, 출산전부터 증상이 시작될 수 있음을 생각해주세요.

산후우울증은 일반적인 명칭이며 좀더 세분화 하자면 다음 세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산후우울감(Postpartum blues, Baby blues)
: 출산후 겪는 우울감을 말합니다. 출산 후 85%의 여성들이 경험한다고 합니다. 일시적이며 대부분 2주 이내 호전이 됩니다. 우울감, 불안, 짜증, 기분변화 등이 증상이 있습니다. 하지만 우울증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아주 없다고는 못하겠습니다. 오래 지속된다면 다음의 산후우울증을 생각해봐야겠죠.

2) 산후우울증(Postpartum depression)
: 3~6%(많게는 10~20%)의 여성들이 임신기간 및 출산 후 몇주(개월) 동안 주요우울삽화를 경험한다고 합니다. 우울감 뿐만 아니라 의욕 저하, 신체증상(불면, 식욕저하, 집중력 저하, 피로, 기력저하), 인지증상(부정적 사고, 자살사고) 등을 동반하죠. 몇개월간 지속되다가 소실되기도 하지만, 그 이상으로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가 많아 치료를 받아야 하는 경우입니다. 심하면 자신도 문제지만 아이에게 방임, 학대, 영아살해 등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죠. 

3) 산후정신병(Postpartum psychosis)
: 산후우울증에 정신병적 증상(환각, 망상, 이상행동 등)이 동반된 경우를 이야기합니다. 이전의 우울/조울증 과거력, 조울증의 가족력, 초산부에 많고 총 출산의 1/500~1/1000에서 나타난다고 하는데, 그렇게 많은건가 싶기도 합니다. (우리나라 보건복지부 자료에는 산모의 0.1~0.2%라 하네요) 산후우울증의 증상이 심하게 나타날 뿐만 아니라 정신병적 증상으로 인한 자살, 영아살해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서 대부분은 입원해서 치료를 권장합니다.

산후에 경험하는 우울감을 딱 세가지로 칼같이 분류할 수는 없지만, 이 세가지를 기준으로 스펙트럼 상에 놓여있다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

산후우울증을 보는 여러 시선들

 "예전에 어렵게 살 때는 이런거 없었는데 요즘와서 산후우울증이니 뭐니 하는거 보니 요즘 세대가 나약해서 그런거 아니냐"
: 과거 대가족사회의 경우에는 출산 후 양육에 대한 낮은 부담(돌아가면서 봐주니), 영유아에 대한 낮은 중요도(아이를 많이 낳았던 시절이니... 영유아를 비롯한 어린이를 소중히 여기는 분위기는 현대로 갈수록 높아졌죠),  등의 요인이 일종의 보호요인이 아니었겠나 싶습니다. (여기에다가 정신병 수준이 아닌 우울증은 병으로 취급받지 못하던 사회문화적 분위기까지요) 현대사회의 경우 핵가족화(아이를 오롯이 엄마 혼자 돌보게 되어 양육부담이 가중), 경제적 부담(맞벌이의 부담), 지지체계의 부족 등의 요인 때문에 산후우울증이 더 부각이 되는 거 같습니다. 

 "아이를 키우는게 뭐 그리 힘들다고 그러냐. 애들 너만 키우냐. 모성이 어쩌고 저쩌고..."
: 태어난지 몇주 안된 아이 키워보시면 아시겠지만, 엄마가 먹여주고 재워주는 일도 수시로 자고 깨는 아이에게 맞추어주는 것 자체가 힘든데, 거기다가 집안일까지 해야하니... 게다가 출산 전에 다 자기가 하던 일이 있을텐데 하루종일 아이만 보고 매달려있는 그 역할변화에 적응하기 어렵기도 하구요. 맞벌이가 흔해지는 요즘은 더하겠죠. 그리고 아이도 아이 기질이 있고, 엄마도 엄마 나름의 성격과 기질이 있는데 이게 늘 100% 잘 맞지는 않습니다. 아이 양육하는 것이 편하고 맞는 사람이 있는 반면, 양육하는 일 자체가 힘든 사람도 있습니다. 아이도 잘 자고 잘 먹고 규칙적인 아이가 있는 반면, 잘 먹지도 않고 쉽게 자지 않고 징징거리는게 일상인 아이도 있습니다. 엄마가 잘 맞추어줄 수도 있지만, 모성이라는게 화수분처럼 무한정인 것도 아니죠. 미디어가 '어머니'라는 존재에 부여한 '모성에 대한 기준'도 아이를 키우는 엄마에게는 만만찮은 스트레스일 수도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어머니-자녀 관계가 당연한 관계처럼 보여도 둘 다 생전 처음 보는 관계인데 그거 맞추기가 쉽겠습니까. 어머니들은 이때까지 쉽지 않은 일을 쉬운척 하며 해오신게 아닌가 싶은 생각도 드네요.

산후우울증에 미치는 요인들

신경생리적 변화(호르몬 변화)
: 스트레스에 대한 남자와 여자의 HPA axis response는 다릅니다. 남자는 성취에 대한 스트레스에,  여자는 사회적 관계에서 오는 스트레스에 더 스트레스 호르몬(cortisol)이 잘 분비됩니다.(지속적으로 높은 cortisol은 뇌의 해마(hipoccampus)를 손상시키며, 이는 우울증과도 연관됩니다.) 산후우울증에서 혈중 cortisol level이 높아져있다고 합니다. 성호르몬과의 연관성은 아직까지는 '관련이 있는 것 같다' 정도로 보입니다. 성호르몬(에스트로겐, 프로게르테론)과 세로토닌(우울증과 연관된 신경전달물질)간의 관계로 이야기하기도 하지만, 성호르몬과 관련있는 우울증은 임신, 폐경, 월경전 상태에서도 관찰되기 때문에 일률적인 어떤 관계를 콕 집어서 이야기하지는 않고 있는 실정으로 보입니다.

심리사회적 요인
: 낮은 출산 연령, 불충분한 사회적 지지, 부부관계 불화, 낮은 사회경제적 상태, 친정엄마와의 나쁜 관계, 최근 불운한 인생 사건들, 원치 않은 임신, 임신에 대한 양가감정, 고용 불안정, 많은 수의 자녀 등이 산후우울증의 위험요인이 된다고 합니다. 정신질환을 설명하는데 있어 스트레스-유발 모델은 어떤 소인(유전적 소인, 신경생리적 소인, 심리적 소인 등)을 가진 사람이 스트레스의 유무(혹은 스트레스를 다루는 정도. 탄력성Resilience이라고도 합니다)에 따라서 정신질환이 발병한다고 봅니다. 심리사회적 요인의 유무/이 요인을 다루는 방법의 적절성 여부가 질환과 연관된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치료 및 예방을 위한 노력

질환의 심각도, 위험 요인에 따라서 접근방법이 달라집니다. 심각도에 따라 약물치료를 고려해볼 수 있구요. 여러 심리사회적 요인들을 교정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심리사회적 요인에 대해 접근하자면 환자 개인의 변화/가족 등 지지체계 확립/사회적 제도 개선으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현대사회에서 점점 '가족'이 축소화됨에 따라서 기존 대가족의 기능이었던 양육에 대한 지식 전수, 양육 부담 나누기, 자녀 교육이 점점 사회/국가로 이전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사회나 국가가 이런 기능들을 잘 대체하고 있느냐. 교육에 있어서는 그랬을지 몰라도(사교육문제가 있긴 하지만 어쨌든 공교육이 자리잡긴 했으니깐요) 양육에 있어서는 아직까지 미비한 것 같습니다. 산후우울증 예방을 위해 제도적으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1. 출산휴가의 보장(남/여), 2. 육아휴직 보장(남/여), 3. 공적 보육 서비스의 확충 등이 기본적으로 보장되어야 하지 않나 싶습니다. 지지체계에 관해서는 아무래도 남편의 역할이 제일 중요하지 않겠나 싶습니다. 그리고 친정, 시댁으로 이어지는 가족들, 친한 이웃관계가 있겠네요. 아이 엄마에게 소위 말하는 '친한 언니들'이 주변에 있느냐 없느냐가 꽤 중요한 부분인거 같기도 합니다.

P.S.
[출처: 대구MBC] 아이 창밖으로 내던진 20대 엄마 영장

http://www.dgmbc.com/news/view2.do?nav=news&selectedId=193651&class_code1=030000&news_cate=
지역 방송에서 더 자세한 이야기를 해주고 있네요. 초산, 조울증의 과거력, 지지체계 부족... 볼수록 안타까운 사연이네요.

* 수박이두통에게보린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6-02-21 21:39)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7
    이 게시판에 등록된 Obsobs님의 최근 게시물


    애기엄마한테 고맙네요
    저도 늘 그렇게 생각합니다....
    주제와는 조금 다른 얘기지만, 요즘 세대가 나약해서~ 타령은 항상 반쯤은 맞는 말이라고 생각해요. 아무래도 시대가 흐르면서 과학적 문화적 발전은 인간의 편의를 증진시키는 방향으로 흘러왔고 더 편하게 자란 사람들의 감성이 좀 더 물렁한건 어쩔 수 없으니까요. 다만 그런 시대적 차이를 가지고 노오력이 부족해 로 나가면 그때부턴 좀 황당해지는 일이죠.
    1
    \"시대적 차이 ≠ 노오력 부족\" 요걸로 봐서는 안된다는 말씀에 동의합니다. 과거세대의 현실 및 상태와 현재세대의 현실 및 상태는 절대 같지 않으니 비교대상이나 우열여부로 판단할 수는 없으니깐요.
    리틀미
    산과학Obstetrics 교과서 중에 바이블이 Williams인데요. 앞장 끄적이다가 읽었던 내용이 기억에 남았어요. 과거에는 임신 상태를 여성의 자연스러운 생리적physiological 상태로 이해했지만, 지금은 병리적pathological 상태로 본다는 것이죠. 본문 예시가 예전 세대의 편견으로 볼 수도 있지만 의학적으로도 패러다임이 변한 게 그닥 오래되진 않은 듯합니다. 정신의학에서도 마찬가지겠죠. 본문 내용이 최신 견해고 가장 올바른 관점이니 대중적으로 친숙하게 미디어 등에서 경각심을 일깨우는 게 중요할 것 같아요.
    교과서 수준에서 끄적거린거라 최신견해인지는 저도 확신하지는 못하겠네요;;;
    말씀하신 내용은 저도 건너건너 들은 기억이 있긴 합니다. 근데 병리적 상태(임신중독증, 임신성 당뇨)가 있을 때만을 한정해서 병리적 상태로 본다는 것은 아닌가요? 어차피 모체의 면역적인 입장에서는 태아가 일종의 foreign body로 취급되어서 그런건가요?
    리틀미
    의사 선배님이셨네요. DSM-5를 기준으로 쓰셨으니 최신 견지라고 말씀 드렸습니다.

    임신이 유발하는 신체 변화를 항상성을 유지하는 과정으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모체의 건강을 악화시킬 수 있는 상태로 보고 관리한다는 개념 같습니다. Foreign body는 얌전한 표현이고 parasite로 이해하는 것이죠. 임신의 궁극적인 목표는 임신이 아닌 상태가 되는 것이니까요. 대강 제가 이해한 방식입니다.

    아실수도 있는데 미셸 푸코의 스승 격이라는 조르쥬 깡길렘이라는 철학자가 정상과 병리 문제에 대해 연구한 게 있어요. 병리적인 상태란 무엇인가는 꽤 재밌는 문제 같습니다.
    parasite... 자식은 부모의 등골을 출생부터 빼먹는거구나 싶네요. 그래도 제 자식은 귀여운 법이지요. 수련받을 때부터 정상/비정상을 가르는건 도대체 뭔가 하는 의문은 들었는데 스스로 명쾌한 대답은 내놓지 못하고 시간만 지나갔었네요. 말씀해주신 부분은 저도 한번 알아보면 재미있겠네요.
    Beer Inside
    산후우울증이 과거에도 없었던 것은 아니고 과거 영아돌연사의 대부분이 산후우울증의 결과라고 예측하는 사람들이 있을 정도이지요.

    개인적으로 아내의 출산을 경험하면서 느끼는 점은 최근의 세대는 과거의 세대와 달리 출산 전에 육아의 경험이 없는 것이 문제가 되는 것 같더군요.

    과거 대가족시대에는 여성이라면 부분적으로 육아에 참여해서 출산과 육아에 대한 두려움이 적었다면,

    지금은 출산전에는 육아에 대한 경험이 전무한 사회에서 살다보니 출산과 육아에 대한 두려움이 더 커졌고,

    이에 따라서 우울증도 더 증가하는 것 같습니다.
    와 이렇게 볼 수도 있겠네요. 14살 차이 나는 동생을 둬서 거의 아줌마 급 애보기 스킬이 있던 친구가 생각나요.
    말씀하신 부분도 정확한 분석인거 같아요. 아무래도 대가족은 직간접적으로 출산과 육아를 경험할 수 밖에 없으니 그에 대한 두려움도 적어졌겠죠.

    이런저런 점에 있어서 현대세대는 산후우울증에 취약한 세대인건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
    켈로그김
    아이를 대하는 태도에서도 강박적인 경향이 좀 있더라고요.
    \'어차피 애들 말 안듣는건 패시브 스킬이니 기대를 말자\' 라고 경험을 통해 여유를 갖는 것과
    \'우리 애가 말을 안듣는건 내가 잘못 키워서 그런거야.. 내가 몹쓸 어미야..\' 라고 자책하는 경우를 목격했는데,
    Beer Inside님이 말씀하신대로 두려움이 어느정도 지분을 갖고 있지 않나.. 생각할 때가 있습니다.

    전자는 저..고, 후자는 마눌님.. 입니다. 한동안 힘들어했어요 ㅡㅡ;;
    Beer Inside
    말안듣는 애가 커서 된것이 저이니

    패시브 스킬을 가질 수 밖에요
    켈로그김
    그러니 미혼 여성분들은 저같은 남편을 만나시오..
    Beer Inside
    이럴 땐 어떤 표정을 지어야 하지요?
    엄마곰도 귀엽다
    아기가 힘들게 하는건 어떻게든 버틸수있고 또 힘들어도 행복한 순간들이 많아요.
    산모가 우울한건 다른 요인이 많이 작용하는거 같아요.
    경제적인 문제. 상대적 박탈감.
    그리고 무엇보다도 남들 다 애 키우는데 왜 너만 힘드냐고 하면서 정작 육아나 살림에는 기여하지 않는 남편.
    없던 우울증도 생길 수 밖에 없는거 같아요
    생물학적 영향은 기존 정신과적 과거력이나 가족력에 기인하겠지만... 심리적인 요인으로 인해 촉발되는 경우가 많은거 같네요.

    도와주지는 않으면서 말로만 때우려는 사람이 제일 밉긴하죠.
    步いても步いても
    산후 우울증, 이게 은근히 많은 여성들이 겪는 문제인것 같아요. 본인이 모르고 지나가는 경우도 있구요.
    저희 집사람도 출산후 상당기긴 심리적으로 불안했었는데 애가 열살이 넘어가니까 그러더군요, 자기가 산후우울증이 있었던 것 같다고.
    이린 문제에 대해서 미디어에서난 학교에서나 가르쳐야 할 것 같아요. 성교육 같은 시간에요. 남자도 필수로요.
    맞아요. 이런 정보도 많이 알려져야죠. 근데 최근에 학교에서 하는 성교육에도 이런게 포함이 돠어있을려나 모르겠네요. 별로 그런걸 못 받고 자라난 세대라... 아. 했었는데 졸고 있었을 가능성도 있겠네요;;;
    April_fool
    어머니께서 여동생을 낳은 뒤 상당 기간 몸이 안 좋았다는 이야기를 하신 적이 있는데, 어쩌면 그게 우울증의 신체화 증상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문득 스쳐지나가네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85 의료/건강음주에 대한 수학적이고 과학적인 접근 26 모모스 16/04/14 10432 5
    183 의료/건강게보린 3형제 이야기 26 모모스 16/04/12 7215 9
    152 의료/건강산후우울증에 대한 소고 21 Obsobs 16/02/12 6979 7
    127 의료/건강의전은 어떻게 실패했는가 ? 41 Zel 15/12/09 14673 2
    63 의료/건강커피가 건강에 끼치는 영향에 대한 최신 지견 49 레지엔 15/08/26 10558 0
    59 의료/건강젊은 피를 수혈받으면 젊어질까. 39 눈부심 15/08/06 12478 1
    1 의료/건강어느 병원으로 가야 하오 65 레지엔 15/06/01 12596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