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21/12/14 20:07:42
Name   샨르우르파
File #1   헌혈.jpg (160.7 KB), Download : 23
Subject   헌혈하는 것의 의미


방금 헌혈하고 돌어왔습니다.
올해 다섯번째, 제 생애 23번째 헌혈입니다.
제 올해 마지막 헌혈이 되겠네요.

처음부터 헌혈을 즐겼던 건 아닙니다.
학창시절에 학교로 헌혈차량이 와서, 선생님이 헌혈 할 거면 해볼래? 해서 시작했습니다.
수업중이라 합법적으로 수업 쨀 수 있었기에 올 때마다 했습니다.
구급차 안에서 헌혈하는 느낌도 재미있었고, 사은품도 짭짤했습니다.
쿠키와 쥬스는 맛있었고, 고등학생 신분으로 문상 쓸 일은 별로 없었지만 도움이 됐네요.  

대학 올라와서도 헌혈하는 버릇은 이어졌습니다. .
시간이 많아서 심심할 때 할 수 있었고,
헌혈 사은품인 영화관람권, 문화상품권, 까페 쿠폰을 쓸 일이 훨씬 많아졌고
대학 봉사활동 시간으로도 (한 번뿐이지만) 인정받았거든요.  

사회복무요원 시절에도 자주 했습니다.
사은품은 물론에 헌혈 한 번에 두시간 공가라 개꿀이었고,
4.19 이벤트시기엔 헌혈자에게 하루 공가를 주는 짭짤함을 누렸습니다, 하 추억돋네. 
지금도 관성처럼 헌혈을 합니다. 정기적 참여하면서 사은품을 받으면 더 좋겠지? 같은 마인드로.
적어도 두 달 전까진 그랬습니다.
갑자기 이런 생각이 들 때까진. 

"제 삶의 터전을 갑작스럽게 잃게 된다면, 어떤 게 남아 제 위안이 되어줄까?"

이런저런 고민을 하다가, 제 생각이 미쳤던 건 헌혈이었습니다.
헌혈을 버릇처럼 해서 의식하지 않았지만, 헌혈은 응급상황에 환자에게 수혈해서 생명을 살리는 봉사활동이지요.

제가 돈, 명예, 권력, 직업, 가족, 친척, 친구, 지인, 취미생활처럼 삶의 모든 걸 잃어버린다 해도,  
헌혈을 통해 위급한 사람의 목숨을 살았다는 성과는 없어지지 않을 겁니다.
그렇게 헌혈은 제 인생 성취의 최소한으로 남아있겠지요.
절대 잃을 수 없는 인생의 유일한 성취... 헌혈은 위기 상황에서 제 삶의 마지막 활력소로 남아있을 겁니다.

그런 결론에 도달하니, 헌혈 참여 의지가 더 높아졌습니다.
요즘같은 불안한 세상에서 삶의 정신적 보루를 만들기에 헌혈만큼 쉬운 게 없거든요. 

갑자기 헌혈 관련 사은품을 모두 중단한다고 해도 저는 꾸준히 헌혈을 할 겁니다.
이번이 23번째고, 헌혈이 만 69세까지 가능하니 죽기 전에 200번을 채우는 게 목표입니다. 

여러분, 헌혈하세요.
헌혈바늘이 들어갈 때 따끔한 거 말고는 힘들지도 않고, 
오래 걸리지도 않으면서,
사람을 직접 구할 수 있는 가성비 좋은 봉사활동입니다.
물론 대한적십자사가 개선할 게 많은 조직이고, 나이 많으신 분들에겐 매혈의 나쁜 이미지가 남아있는 건 압니다.
그럼에도 저는 헌혈하면서 많은 것을 얻었습니다. 
사회에 공헌하고 사은품 받는 걸 넘어, 스스로의 삶에 대한 의미를 만들 수 있었습니다.
삶이 무료하고 왜 사는지 모르겠다는 분들은 꼭 헌혈을 해보셨으면 합니다.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1-12-28 09:39)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24
  • 춫천
  • 추천
  • 훌륭한 생각, 훌륭한 태도, 훌륭한 글귀
  • 헌혈추
  • 좋은청년이구먼
  • 잘 읽었어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87 의료/건강어떻게 의사는 사고하는가 - 2. 진단=사후확률Up & 진단의 두 축 3 세란마구리 19/04/03 5280 10
783 의료/건강어떻게 의사는 사고하는가 - 번외. ROC와 카파통계량 9 세란마구리 19/03/22 5991 11
782 의료/건강어떻게 의사는 사고하는가 - 1. 단어 정의 21 세란마구리 19/03/21 7830 15
431 일상/생각가끔은 말이죠 1 성의준 17/05/14 4130 9
317 일상/생각이것은 실화다. 10 성의준 16/12/06 5309 11
254 일상/생각온수가 나오는구만, 수고했네 6 성의준 16/08/23 4965 5
608 여행청와대 관람을 했습니다. 15 성공의날을기쁘게 18/03/30 6584 14
234 일상/생각백윤식을 용납하기 위해서 40 선비 16/07/23 7150 19
1374 기타민자사업의 진행에 관해 6 서포트벡터 24/03/06 1215 8
1365 기타자율주행차와 트롤리 딜레마 9 서포트벡터 24/02/06 1509 7
1328 과학체계화된 통빡의 기술 - 메타 휴리스틱 13 서포트벡터 23/09/14 2335 26
1291 문화/예술천사소녀 네티 덕질 백서 - 2. 샐리의 짝사랑 14 서포트벡터 23/04/05 2295 12
1289 문화/예술천사소녀 네티 덕질 백서 - 1. 원작 만화처럼 로맨스 즐기기 16 서포트벡터 23/04/03 2360 9
1307 과학유고시 대처능력은 어떻게 평가가 될까? - 위험 대응성 지표들 18 서포트벡터 23/06/26 2524 31
1306 문화/예술애니메이션을 상징하는 반복 대사들 22 서포트벡터 23/06/14 3282 8
1152 일상/생각헌혈하는 것의 의미 9 샨르우르파 21/12/14 3391 24
1116 정치/사회동북아에서 급증하는 무자녀 현상 (부제: 초저출산이 비혼'만'의 문제인가?) 23 샨르우르파 21/08/13 5491 24
1070 일상/생각대학원생으로서의 나, 현대의 사제로서의 나 5 샨르우르파 21/03/15 4156 17
1065 정치/사회수준이하 언론에 지친 분들을 위해 추천하는 대안언론들 19 샨르우르파 21/03/03 7529 24
1064 문학지난 두달동안 읽은 책들 간단리뷰 5 샨르우르파 21/02/28 4750 22
58 음악Jolene/Miriam - 상간녀를 대하는 두가지 태도 10 새의선물 15/08/05 9129 0
712 일상/생각고해성사 19 새벽하늘 18/10/12 4870 46
686 문학시집 책갈피 10 새벽유성 18/08/20 5713 16
639 일상/생각나의 사춘기에게 6 새벽유성 18/05/30 6165 25
599 일상/생각#metoo 2017년 11월 30일의 일기 41 새벽3시 18/02/28 6570 54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