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6/04/04 11:40:41
Name   잉여의슬픔
Subject   로스쿨 전망이 어떤가요?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0


Beer Inside
일단 모든 전문직에 대한 미래 전망은 암울합니다.

그렇다고, 다른 직종의 전망이 좋은가?

아닙니다.

결국 어느 분야이든 상위권으로 올라갈 수 있느냐가 중요하고....

법학에 적성이 있거나 관심이 있으면 나을 겁니다.
잉여의슬픔
크크 명쾌하시네요. 요즘 경기가 정말 안 좋은 것 같아요.
난커피가더좋아
예전처럼 \'변호사가 돼 돈 많이 번다\', \'출세한다\'는 개념을 갖고 계시다면 당연히 비추입니다. 좀 오랫동안 일할 수 있는 전문직 자격증을 갖고 그럭저럭 중산층 이상으로 살 가능성이 크다는 측면에서는, 그 정도를 원하신다면 괜찮은 선택입니다.
잉여의슬픔
저는 후자에 가깝습니다. 오랫동안 일할 수 있다는 게 큰 메리트인 것 같아요.
Beer Inside
그리고 변호사, 회계사의 문제점은 학벌이지요.

어느 정도 학벌이 되지 못하면 좋은 기회를 얻지 못할 가능성이 있고,
좋은 기회가 없으면 경험이 있고 실력이 있는 전문가가 될 가능성이 적습니다.

이것을 극복하는 분들도 꽤 있지만 쉽지 않은 장벽입니다.
damianhwang
예전엔 전문직이라고 하면 안정적인 수익을 바탕으로 자본을 축적해서 건물을 사서 건물주가 되어 자본가로 거듭나는 테크로 각광받았던 거지만;
지금은.... 일단 건물값이 너무 올라서.....; 건물주로 거듭나기가 불가능해졌,.;;

면허자의 배타성이 수익을 보장해주는 것도 이젠 없어지다시피 해서, 면허 있는데도 스펙은 스펙대로 다 따져야 하는 상황이긴 합니다;
내가 내 업장을 차릴 때는 그나마 덜하겠지만. (물론 영업할 때 보여줄 그럴듯한 무언가가 있으면 플러스 알파는 확실하겠지만요)
어차피 자본에 고용되어야 하는 입장이라면,... 더 보기
예전엔 전문직이라고 하면 안정적인 수익을 바탕으로 자본을 축적해서 건물을 사서 건물주가 되어 자본가로 거듭나는 테크로 각광받았던 거지만;
지금은.... 일단 건물값이 너무 올라서.....; 건물주로 거듭나기가 불가능해졌,.;;

면허자의 배타성이 수익을 보장해주는 것도 이젠 없어지다시피 해서, 면허 있는데도 스펙은 스펙대로 다 따져야 하는 상황이긴 합니다;
내가 내 업장을 차릴 때는 그나마 덜하겠지만. (물론 영업할 때 보여줄 그럴듯한 무언가가 있으면 플러스 알파는 확실하겠지만요)
어차피 자본에 고용되어야 하는 입장이라면, 공급에 모자람이 없다면 결국 내 돈 더 들여 자기계발, 교육훈련을 추가로 받고
입증할 스펙(?)을 높여서 고용받아야 하니까요.;

약사들 중에도 로스쿨 가서 변호사 자격 취득한 사람들이 있는데;
도로 근무약사 하고 있는 사람도 많드라고요...변호사 월급보다 월급쟁이 약사 급여가 더 많다고..-_-;
(그렇다고 월급쟁이 약사가 안정적인 직장도 아닙니다..보건의료쪽이 대개 그렇듯이 초봉은 높지만 경력이 올라도 월급이 별로 안오르거든요...)
Beer Inside
약사가 변호사쪽으로 활약할 분야가 적기는 할 겁니다.

차라리 변리사공부를 했으면 제약회사 임원을 하는 것인데....
damianhwang
변리사도 유행이 지났으요 ;-)
2000년 초반에 변리사쪽으로 간 동문들 몇몇 이후로는 그닥 재미는 못보는걸로..;
제약회사 임원이야 그냥 약사면허 들고 제약공장가서 20년만 버티면 임원 (=공장장)까지 올라가는 편한 테크가 있긴 합니다.
오송이나 화성, 시화 쪽에서 평생 살아야 하는게 문제지만;

약화사고 소송을 부추겨서 박리다매로 푼돈 긁어모으기는 가능하지 않을까 싶긴 하지만;
대체로 저런 테크 타는 친구들이 정작 개업가 바닥 경험이 적어서 그닥 경쟁력도 없으요 ;;
ORIFixation
전문의따고 로스쿨 가면 좀 메리트가 있으려나요
Beer Inside
의료사고 발생시 차트를 파악하기 쉽고 학회 고문 변호사가 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래도 부장판사 승진 후 개업에 비하면
ORIFixation
ㅎㅎ 앞으로 진료하기도 막막하고 해서 이것저것 알아보긴 하는데 다른쪽도 다 어렵긴 마찬기지군요
damianhwang
지금 상황에서 전문의가 막막하다고 하면 다들 눈초리가 따갑습니다!
그러니 맘편히 이민이나 킄킄;-)
ORIFixation
영연방쪽 알아보긴 했는데 차라리 USMLE가 쉽다는 말이 많더군요 ㅎㅎㅎ
Beer Inside
OS가 막막하다고 하면

일단 시도를 해 봐야 답이 있지요

뭐든 시도해 보세요
ORIFixation
넵ㅎㅎ 일년남았다 생각하니 마음이 조급해지나 봅니다
할머니
상위권로스쿨간에도 간극이 큽니다. Ky도 하위권은 월300 못받는거 불가능은 아니에요
제가 잘 몰라서 그러는데요 (법알못입니다)
변시 시험 성적을 공개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하위권인지 구별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내신 같은 것이 있는지...?
할머니
그냥 진로로 줄세우기할 때 하위권이란 이야기였습니다. 컨펌은 대형로펌은 집안이 1순위, 그 뒤 어학능력, 학점, 약간의 외모등 일반대기업 취준과 비슷한 잣대가 반영이 됩니다.
내신이죠.
이력서 낼 때 성적을 요구하는 곳이 대부분입니다.
Beer Inside
기본은 학벌입니다. SKY냐 아니냐.....

비싼 수임료를 지불할 근거가 부장판사 이상의 경력 또는 높은 학벌이니까요....
Realise
그거 위헌나서 이제 공개해야 하지 않나요? 변시시험성적요.
헬리제의우울
2000년 넘어서는 노동시장에 공부만 한 사람들이 바글바글한데
그 안에서 뭘 공부했던간에 꾸준한 경쟁력이 있을리가요 뭐가 잘나간다하면 그거공부하러 몰릴텐데
하니남편
사실...전문직이 어렵다 어렵다해도 다른 일반직보다는 낫지요 예전보다야 물론 엄청 못합니다. 사실...요즘 밖에 일반직업을 가진사람들은 암담하거든요.
damianhwang
월급이 2400만원인가요? ;-)
Beer Inside
월급이 2400이면 부장판사급일겁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89 기타26살 되서야 사회성을 기르려는 사람이 있습니다. 39 [익명] 20/11/22 13831 0
8922 의료/건강닭가슴살 + 현미밥 식단 어떤가요? 12 원영사랑 20/03/08 13808 0
969 진로로스쿨 전망이 어떤가요? 26 잉여의슬픔 16/04/04 13798 0
7009 기타부산 운전 실제로 어렵나요? 39 化神 19/04/26 13683 0
4547 기타직장 연봉정보는 어디가 정확한가요? 12 [익명] 18/04/30 13683 0
6376 의료/건강비행기 닥터콜에 응해보신 의사분 계신가요? 24 녹차김밥 19/01/23 13669 0
3492 의료/건강성병 유레아 플라즈마 문제로 질문이 있습니다 10 [익명] 17/10/11 13659 0
12628 기타바디오일, 바디로션, 바디크림은 서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요...? 10 홍당무 21/11/30 13628 0
828 연애여자가 헌팅?하면 남자들은 어떤 기분인가요? 18 줄리아 16/02/15 13583 0
5874 기타7급 공무원 vs 공기업 중에 뭐가 더 좋을까요? 23 [익명] 18/11/12 13487 0
51 게임[하스스톤] 도적 탈진덱 조언 부탁드립니다. 2 오즈 15/06/06 13436 0
620 기타이 캐릭터가 어디 나오는 캐릭터인지 아시는 분..? 4 얼그레이 15/12/17 13421 0
93 기타형광등 사이즈에 대한 질문입니다 2 쌀이없어요 15/06/21 13421 0
4647 기타이 밈이 어디서 나온거죠? 10 소나기 18/05/16 13407 0
5867 IT/컴퓨터카톡만 진동 끄기... 16 grey 18/11/10 13387 0
2220 IT/컴퓨터동영상 삐- 처리 어떻게 하나요? 11 베누진A 17/02/01 13365 0
4159 진로대학교 5학년을 할만큼 부전공 복수전공이 의미가 있을까요?(컴퓨터공학/심리상담학) 14 보리건빵 18/02/14 13345 0
1012 IT/컴퓨터다운로드한 압축파일 손상 문제 3 NightBAya 16/04/21 13314 0
486 가정/육아햇반으로 숭늉 끓일 수 있나요? 7 삼공파일 15/11/16 13290 0
7707 의료/건강아파트에 귀뚜라미.. 56 문학소녀 19/08/21 13257 1
276 연애교제중인 여친 부모님 추석 선물로 어떤게 더 나을까요? 21 classic 15/09/07 13236 0
965 의료/건강장염이 심하면 몇일까지 가나요? 3 슬레이드 16/04/03 13199 0
3197 의료/건강프로작과 술 절대 병행해서는 안되나요? 7 지와타네호 17/08/12 13165 0
10713 게임FM 시리즈 추천 부탁 드립니다.(추천하는 간단한 이유도요) 6 원스 20/12/26 13159 0
5421 의료/건강이틀에 한번만 잠을 자며 살아도 건강에 무리가 없을까요? 10 스스흐 18/09/10 13147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