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0/05/12 15:44:51
Name   [익명]
Subject   퇴사시 연차 수당 관련
안녕하세요.

퇴사에 대해서 문의 드리고 싶습니다.
제가 다니던 회사에서 퇴사하려고 합니다.

퇴사할 때 남아있던 연차에 대해서 수당을 받는게 나은가요? 아니면 연차를 다 쓰고 나오는 게 더 나은가요?
보통은 인사부에서 연차를 다 쓰고 나가라고 하는 것 같은데 어떻게 다른지, 어떤게 더 금전적으로 나은지 궁금합니다.

여러 홍차넷 분들의 의견과 가이드 부탁드립니다.

여러 의견 및 답변 주시는 분들께 미리 감사드립니다.



0


김피곤씨
연차를 쓰면 그 수당은 못 받는거구요.
이직 계획이 타이트해서 쉴 시간이 필요하다 싶으면 쉬시는거고
쉴 시간이 어느정도 확보 되시면 받으시는게 금전적으로는 좋지요
[글쓴이]
수당은 못 받지만 그만큼 근무한 것으로 쳐서 월급을 받는 거 아닌가요?
그럼 결국 똑같은 것인지 아니면 연차수당은 더 비싸게 쳐주는지 싶어서요.
예를들어 월 만근 기준이 월말이라고 하면,

1. 연차 미소진, 월말 까지 만근하고 퇴사 : 월급여 전체 + 연차수당 전액

2. 연차 10일 소진, 월말 퇴사 (출근은 3월 2주차까지만) : 월급여전체 + 10일 소진시킨 나머지 만큼의 연차수당

3. 연차 미소진, 3월 2주차까지만 하고 퇴사 : 월급여 일할지급 (약 1/2?) + 연차수당 전체

입니다.

2번과 3번 중에서 뭐가 이득일진 따져봐야 하긴 하는데.. 저는 건강보험 넘어가는게 귀찮아서 그냥 2번 옵션으로 했습니다.
[글쓴이]
네 저도 말씀하신 3가지 중 하나를 선택할 것 같습니다.
그런데 연차소진하면 회사에서 그 달분의 국민연금도 내주고 그런 차이가 있지 않을까요?
네 그런 차이가 있을거 같습니다.
퇴사 후 다음 직장 출근 까지의 시간이 어느 정도 있으시면 굳이 휴가를 내실 필요까진 없을텐데, 그렇지 않다면 휴가를 내시고 계획을 세우셔서 재충전의 시간을 가지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저같은 경우 전직장 퇴사일이 3/31 이었고 다음 직장 입사일이 4/1 여서 여유가 전혀 없었기 때문에, 부여된 연차 휴가 17일 중에서 10일을 써서 2주간 휴가를 내고, 나머지 7일을 연차보상금으로 지급받았습니다.

만약 제가 4/1 입사가 아니라 4/15일 입사였다면 3/31까지 만근하고 연가보상금을 다 받았을것 같습니다.
[글쓴이]
다음 회사 입사일은 조금 조정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그래서 연차를 사용하고 월급으로 받는 것과 연차수당을 받는 것이 다른지 어떤지가 궁금합니다.
주 40시간 근무 사업장 기준으로 연차수당 산정기준이 통상임금/209 라서 20일 만근 기준, 세전으로 따지면 연차수당 받는거 보다 월급으로 받는게 더 많긴 합니다. 4% 정도? 근데 세후로 따지면 연차수당이 더 많을겁니다.

퇴직금 산정이나 기타 보험 커버 문제는 확실히는 모르겠습니다.
[글쓴이]
그렇다면 연차수당이 세금이 더 적다는 말씀이신지요?
일단 제 연차수당 내역을 보니 그렇습니다. 물론 원천징수 기준으로 소득세 조정을 하니 큰 의미는 없을거 같지만요.

다만 아래 이브나님 글 쓰신거 참조하시면 연차 소진 후 퇴사가 더 유리한게 맞는거 같습니다.
[글쓴이]
넵 감사합니다. 덕분에 생각이 많이 정리되었습니다.
이브나
연차소진해서 월급으로 받는게 연차수당 받는 것 보다 유리합니다.
일단 퇴사일이 늦어지니까 퇴직금이 그만큼 더 발생하거든요.

그리고 통상임금에 연장수당이 포함되어 있어도 연차수당에는 기본급만 줘도 되기 때문에 수당으로 받으시면 그만큼 더 불리합니다.

다음회사 입사일을 조정하실수 있다면 연차 소진하고 퇴사하시는게 더 유리합니다.
[글쓴이]
퇴직연금 및 국민연금 등등을 납부해주니까...네 저도 그 부분을 좀 더 계산해봐야겠네요.
인사팀왈 저희는 연차 수당 받는게 더 유리하다던데요. 연차 수당은 1.5배 주니까..
이것도 회사마다, 정책마다 다른건가요.
[글쓴이]
오 1.5배! 그러네요. 그런게 있었군요.
저희 회사도 알아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글쓴이]
찾아보니 연차수당은 통상임금 기준으로 계산한다고 나오는데
혹시 Picard님 회사는 좀 더 특별한 사정(기본급에 고정적으로 붙는 수당이 50%정도 추가되는)이 있으신게 아닌지요? 부럽습니다. ^^
휴일근무하면 1.5배 주는 것처럼 연차수당도 1.5배 주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1
[글쓴이]
우아 짱입니다.
좋은 회사 다니시는군요!
진짜진한다크챠컬릿
금전적으론 당연히 돈으로 연차수당을 받는 게 낫지 않나요? 연차 쓴다고 퇴사일이 늦어지는 것도 아니고요.
[글쓴이]
보통은 퇴사일 이후에 입사가 가능하다고해서요.
어떤 경우는 퇴사 전에도 휴가 처리되고나면 입사가 가능하다고도 듣긴했습니다만
저희도 되는지 잘 모르겠네요. 이 부분도 된다면 좋겠네요.
진짜진한다크챠컬릿
퇴사일 이후에 입사 되는 게 일반적인 거 맞습니다.
이직을 꽤 여러번 한 저의 경우
1) 퇴사 선언을 한 후, 퇴사일을 잡습니다. (대략 퇴사 선언 후 1달 후)
2) 퇴사일 전에 인수인계 합니다. 보통 며칠이 남습니다.
3) 퇴사일까지 남는 시간에 휴가를 쓰거나, 휴가를 안 쓰고 회사에 나갑니다 (본인 결정입니다)

질문이 3)번에서 어떤 결정을 하는 게 금전적으로 좋냐고 이해했습니다.
저 같은 경우 돈을 더 받기 위해 휴가 안 쓰고 회사 나가서 그냥 시간 보내고 왔습니다. 돈은 덜 받고 자신만의 시간을 받으려면 휴... 더 보기
퇴사일 이후에 입사 되는 게 일반적인 거 맞습니다.
이직을 꽤 여러번 한 저의 경우
1) 퇴사 선언을 한 후, 퇴사일을 잡습니다. (대략 퇴사 선언 후 1달 후)
2) 퇴사일 전에 인수인계 합니다. 보통 며칠이 남습니다.
3) 퇴사일까지 남는 시간에 휴가를 쓰거나, 휴가를 안 쓰고 회사에 나갑니다 (본인 결정입니다)

질문이 3)번에서 어떤 결정을 하는 게 금전적으로 좋냐고 이해했습니다.
저 같은 경우 돈을 더 받기 위해 휴가 안 쓰고 회사 나가서 그냥 시간 보내고 왔습니다. 돈은 덜 받고 자신만의 시간을 받으려면 휴가 쓰면 되고요.

글 쓰신 분은 위와 같은 경우, 즉 퇴사일이 확정된 경우가 아닌가 보네요?
[글쓴이]
네 저는 퇴사일을 협의해야하는 상황이구요. 입사일도 그에 따라서 변동될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입사일은 어느정도 유도리 있게 할 수 있을 것 같아서 퇴사를 어떻게하면 효율적?으로 유리하게 할 수 있을까 고민입니다.
지금까지 제가 찾아본 바에 따르면,
연차수당은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계산된다고 하네요.

그렇다면 차이가 날 수 있는 부분은

1. 연차소진 후 퇴사 및 입사하는 경우
-. 국민연금내지과 퇴직연금 등을 회사가 납부해주는 게 플러스 되는 경우이고
: +쉼 +월급(국민연금 및 퇴직연금 등 포함)

2. 연차를 수당으로 받고 빠른 퇴사 후 입사하는 경우
-. 덜 쉬는 만큼 빠른 입사를 해서 이직한 회사에서 오른 월급을 받는 점
: -쉼 +연차수당 +오른 월급... 더 보기
지금까지 제가 찾아본 바에 따르면,
연차수당은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계산된다고 하네요.

그렇다면 차이가 날 수 있는 부분은

1. 연차소진 후 퇴사 및 입사하는 경우
-. 국민연금내지과 퇴직연금 등을 회사가 납부해주는 게 플러스 되는 경우이고
: +쉼 +월급(국민연금 및 퇴직연금 등 포함)

2. 연차를 수당으로 받고 빠른 퇴사 후 입사하는 경우
-. 덜 쉬는 만큼 빠른 입사를 해서 이직한 회사에서 오른 월급을 받는 점
: -쉼 +연차수당 +오른 월급 (국민연금 및 퇴직연금 등 포함)

3. 연차 수당을 받고 퇴사 후 좀 쉬다가 입사 하는 경우
-. 1번의 경우와 비슷하나 국민연금을 내가 내야하고 퇴직연금 1개월 분이 차이가 남
: +쉼 +연차수당 -국민연금 및 퇴직연금

비교를 해보니 큰 차이가 있다기 보단
제가 얼마나 쉴 것인지가 가장 큰 차이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공기반술이반
저같은 경우는 어떻게 하다보니 퇴사일과 입사일이 겹친적도 있는데요 한 2주정도.
연차도 어차피 유급휴가라 월급은 올라오니까

초반에 4대보험이슈같은거 회계팀에서 처리해주면 아무 상관 없습니다.
이직받아주는 회사에서 OK만 하면 회계팀에서 그거 다 처리 가능해요.
[글쓴이]
아 그렇군요! 이런 경우 있다고 얘기만 들었었는데...
감사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383 진로퇴사시 연차 수당 관련 25 [익명] 20/05/12 7757 0
9219 진로인턴 관련 질문 11 쿠팡 20/04/19 3627 0
9195 진로그림이 도저히 안늡니다. 재능이 없나요? 38 [익명] 20/04/16 8763 0
9192 진로포기할 것은 포기하는 게 맞는 걸까요? 8 [익명] 20/04/16 3993 0
9176 진로[개발] 주어진 시간 1년, 어떻게 하면 개발 실력을 기를 수 있을까요. 15 [익명] 20/04/14 3879 0
9093 진로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제출할 때 질문입니다. 5 [익명] 20/03/31 3492 0
9042 진로돈버는데 왕도가 있나? 난 뭘좋아하지? 꿀빨면 안될까? 8 [익명] 20/03/22 3687 0
8978 진로군문제해결 : 통역장교 vs 석사+산업체 6 삐약삐약 20/03/14 4382 0
8930 진로퇴사 욕구 들 때 어떻게 참으시나요? 24 [익명] 20/03/09 8251 0
8925 진로명함 보통 어디서 만드나요? 3 행복한사람 20/03/08 3849 0
8914 진로나이 들고 부모님에게 상처를 받네요 8 [익명] 20/03/07 3108 0
8851 진로교대생 진로 18 [익명] 20/02/25 3691 0
8845 진로30대 중반 코딩 배워서 관련 진로로 가는것 어떤가요? 20 한신 20/02/24 12037 1
8822 진로생물분야 대학원 진로 고민... 6 [익명] 20/02/21 2732 0
8803 진로숙원을 포기해본 경험이 있으신 분 있나요? 17 불타는밀밭 20/02/16 4157 0
8778 진로38살에 빅데이터/AI쪽 파트타임 박사 어떨까요? 16 [익명] 20/02/11 9730 0
8772 진로영문 이력서 첨삭해주실분 모십니다. 6 이슬먹고살죠 20/02/11 3539 0
8769 진로자꾸 비교하여 스스로 열패감을 느끼네요. 26 [익명] 20/02/11 4265 0
8748 진로왜 제대로 된 조언을 해주는 사람이 없을까요? 28 덕후나이트 20/02/08 5568 0
8732 진로여자 친구 할머님께서 돌아가셨습니다 4 [익명] 20/02/04 3048 0
8662 진로진로 상담입니다. 16 [익명] 20/01/22 3288 0
8646 진로개발자를 목표로 하는데 공부해야 할게 뭐가 있을까요? 16 aquarosa 20/01/18 5080 0
8636 진로30 중반이 사람 많이 만나는 직종에서 어려보인단 소리 들으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22 [익명] 20/01/16 3839 0
8570 진로이런 경우 어떻게 해야할까요? 10 거소 20/01/01 3663 1
8567 진로병원행정직, 원무과에 재직중이신 분들 계신지요? 취직 관련.. 4 12seconds 20/01/01 4520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