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0/05/09 23:27:15 |
Name | [익명] |
Subject | 새가슴 인데 어떻게하면 강심장 될까요? |
여자한테 고백할때, 싸움 하기 직전, 다수의 사람들이 주목하는 상황 등등 예전부터 심장이 뛰고 어떨때는 다리가 떨리기 까지도 하면서 정신은 멀쩡한데 몸은 그렇게 반응해버리니 그 괴리감 때문에 미치겠습니다. 예전부터 격한 운동을 많이 해왔어서 거친 성격으로 탈바꿈은 되었는데 몸의 반응은 따라주지를 않는데 이러한 문제는 선천적인 거라서 못바꾸는걸까요? 이 문제를 해결할려고 피해도 되는 싸움이나 조금만 충격이 있어도 갈등이 일어날법한 상황에 일부러 달려들어서 제 자신이 그러한 상황에 익숙해지면 나아지겠지 했는데도 심장이 뛰고 하는건 안바뀌네요. 그래서 큰무대에 강하다거나 강심장 이라는 사람들이 부럽습니다. 어렸을때 부터 그렇게 바뀔려고 노력했는데 막상 제 몸의 반응은 안그러네요..... 0
|
부연하자면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동반하는 건데
1) 여자에 대한 고백의 두려움은
내가 저 사람에 비해 잘난게 없다고 생각하거나, 호감에 대한 거절을 나라는 사람의 자체에 대한 비하로 생각하기 때문인데
어필할 수 있는 내 장점을 키우거나, 실패해도 괜찮다고 생각할 정도로 본인의 자존감(능력, 경제력, 외모 등에 기반)을 키우는 게 필요해요
우병우는 다짜고짜 '내가 우병우다. 나 출세할 거니까 너 행복하게 해준다' 했다죠. 아마 거절당했어도 별 개의치 않았을 거예요. 본인은 여전히 잘났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근데 진짜 좋아하... 더 보기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동반하는 건데
1) 여자에 대한 고백의 두려움은
내가 저 사람에 비해 잘난게 없다고 생각하거나, 호감에 대한 거절을 나라는 사람의 자체에 대한 비하로 생각하기 때문인데
어필할 수 있는 내 장점을 키우거나, 실패해도 괜찮다고 생각할 정도로 본인의 자존감(능력, 경제력, 외모 등에 기반)을 키우는 게 필요해요
우병우는 다짜고짜 '내가 우병우다. 나 출세할 거니까 너 행복하게 해준다' 했다죠. 아마 거절당했어도 별 개의치 않았을 거예요. 본인은 여전히 잘났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근데 진짜 좋아하... 더 보기
부연하자면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동반하는 건데
1) 여자에 대한 고백의 두려움은
내가 저 사람에 비해 잘난게 없다고 생각하거나, 호감에 대한 거절을 나라는 사람의 자체에 대한 비하로 생각하기 때문인데
어필할 수 있는 내 장점을 키우거나, 실패해도 괜찮다고 생각할 정도로 본인의 자존감(능력, 경제력, 외모 등에 기반)을 키우는 게 필요해요
우병우는 다짜고짜 '내가 우병우다. 나 출세할 거니까 너 행복하게 해준다' 했다죠. 아마 거절당했어도 별 개의치 않았을 거예요. 본인은 여전히 잘났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근데 진짜 좋아하는 사람에게 고백할 땐 떨릴 수밖에 없습니다 이건 어쩔 수 없어요
2) 싸움은 승리에 대한 확신이 없기 때문에 두려운 겁니다 = 잘 알고 있는 상대, 이길 수 있는 상대랑 싸우면 안 두렵습니다
손자병법에 보면 '이겨놓고 싸운다' 하죠. 내가 이길 수 있는 상황(근력, 체력, 기술 등의 우위)을 만들어놓고 싸우면 결과를 볼 필요도 없습니다
격투기 선수도 챔피언에게 도전할 때엔 두렵겠지만, 일반인이 덤비면 우습겠죠.
남자들끼리만 있는 상황에서는 운동을 통해 체격을 키우는 것도 좋습니다
물론 격투기 선수가 아니라면 안 싸우는게 제일 좋졍. 헤헤헿
3) 다수의 사람들이 주목하는 상황
그 다수의 사람 중에 그 상황을 내가 제일 잘 알면 두려움이 사라집니다
혹은 몰입하면 두려움이 사라집니다
발표를 예로 들면, 거의 '누가 우습게 보면 어떡하지, 내가 모르는 걸 물어보면 어떡하지' 싶어서 두려운 건데
모르는 게 없어지면 두려움도 없어집니다 - '이 주제에 대해서는 내가 제일 잘 안다, 누가 와도 최소한 꿇리지는 않는다 비빌 정도는 된다' 등
각각의 상황에서 이런 경험이 쌓이면 그 비슷한 상황에서는 두려움이 없어집니다
만약 모두가 공평하게 준비하기 어려운 긴급상황의 발생이라면
그 상황 자체에 대해 공유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아 예 누구누구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제가 이렇게 중요한 역할을 갑자기 맡게 될 줄은 몰랐는데요 그래서 솔직히 좀 떨립니다' 라고 말을 하면 누구나 그런 떨리는 자리에 대한 두려움을 갖고 있기 때문에 청중의 공감도 얻게 되고 응원도 얻을 수 있게 됩니다
만약 준비시간이 1분이라도, 30초라도 있다면 그 짧지만, 귀중한 시간에는 대략의 큰 그림을 세우고 가야 합니다
(혹은 '잠시만요'라고 말하고 그 정도의 시간을 벌어도 됩니다)
처음에 간단한 소개 한다 - 현재 발생한 상황에 대해 공유한다(잘 모를시 '말해주실 분?'라고 질문하면서 진행만 해도 된다) - 이후 대처나 방향에 대해 내 의견을 제시한다 - 다른 사람의 의견을 듣는다 - 결정할 것이 있으면 결정한다(만장일치 혹은 거수) - 마무리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동반하는 건데
1) 여자에 대한 고백의 두려움은
내가 저 사람에 비해 잘난게 없다고 생각하거나, 호감에 대한 거절을 나라는 사람의 자체에 대한 비하로 생각하기 때문인데
어필할 수 있는 내 장점을 키우거나, 실패해도 괜찮다고 생각할 정도로 본인의 자존감(능력, 경제력, 외모 등에 기반)을 키우는 게 필요해요
우병우는 다짜고짜 '내가 우병우다. 나 출세할 거니까 너 행복하게 해준다' 했다죠. 아마 거절당했어도 별 개의치 않았을 거예요. 본인은 여전히 잘났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근데 진짜 좋아하는 사람에게 고백할 땐 떨릴 수밖에 없습니다 이건 어쩔 수 없어요
2) 싸움은 승리에 대한 확신이 없기 때문에 두려운 겁니다 = 잘 알고 있는 상대, 이길 수 있는 상대랑 싸우면 안 두렵습니다
손자병법에 보면 '이겨놓고 싸운다' 하죠. 내가 이길 수 있는 상황(근력, 체력, 기술 등의 우위)을 만들어놓고 싸우면 결과를 볼 필요도 없습니다
격투기 선수도 챔피언에게 도전할 때엔 두렵겠지만, 일반인이 덤비면 우습겠죠.
남자들끼리만 있는 상황에서는 운동을 통해 체격을 키우는 것도 좋습니다
물론 격투기 선수가 아니라면 안 싸우는게 제일 좋졍. 헤헤헿
3) 다수의 사람들이 주목하는 상황
그 다수의 사람 중에 그 상황을 내가 제일 잘 알면 두려움이 사라집니다
혹은 몰입하면 두려움이 사라집니다
발표를 예로 들면, 거의 '누가 우습게 보면 어떡하지, 내가 모르는 걸 물어보면 어떡하지' 싶어서 두려운 건데
모르는 게 없어지면 두려움도 없어집니다 - '이 주제에 대해서는 내가 제일 잘 안다, 누가 와도 최소한 꿇리지는 않는다 비빌 정도는 된다' 등
각각의 상황에서 이런 경험이 쌓이면 그 비슷한 상황에서는 두려움이 없어집니다
만약 모두가 공평하게 준비하기 어려운 긴급상황의 발생이라면
그 상황 자체에 대해 공유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아 예 누구누구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제가 이렇게 중요한 역할을 갑자기 맡게 될 줄은 몰랐는데요 그래서 솔직히 좀 떨립니다' 라고 말을 하면 누구나 그런 떨리는 자리에 대한 두려움을 갖고 있기 때문에 청중의 공감도 얻게 되고 응원도 얻을 수 있게 됩니다
만약 준비시간이 1분이라도, 30초라도 있다면 그 짧지만, 귀중한 시간에는 대략의 큰 그림을 세우고 가야 합니다
(혹은 '잠시만요'라고 말하고 그 정도의 시간을 벌어도 됩니다)
처음에 간단한 소개 한다 - 현재 발생한 상황에 대해 공유한다(잘 모를시 '말해주실 분?'라고 질문하면서 진행만 해도 된다) - 이후 대처나 방향에 대해 내 의견을 제시한다 - 다른 사람의 의견을 듣는다 - 결정할 것이 있으면 결정한다(만장일치 혹은 거수) - 마무리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