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0/05/02 21:12:11수정됨 |
Name | [익명] |
Subject | 사업을 하면 돈을 많이 버는지요...? |
보통 많은 돈을 벌고 싶으면 사업을 하라고 하는데요.. @@ 사업을 하면 왜 돈을 많이 버는지요...? 예컨대 직장인은 일정 범위 내에서는 노력하는 정도에 따라서 급여차이가 나지 않는 반면 사업을 하면 자기가 노력하는 정도에 따라 수입 차이가 커지기 때문이기 때문이라고 보면 될지요...? 아니면 직장인은 누릴 수 있는 지대(rent)가 적지만, 사업가는 본질적으로 혹은 국가정책에 의해 지대가 많은 것일까요...? 혹은 직장인은 구매자가 정해져있는 1차 생산자인 반면, 사업가는 1차 생산자와 최종소비자 중간에서 차익을 챙기는 구조이기 때문인지요...? 사업의 어떤 점이 큰 돈을 벌 수 있게 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 0
|
High Risk High Return
직장은 빚 내가면서 다녀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간혹 그런 직장도 있기는 한 것으로 압니다. --;;), 사업은 자기의 시간, 노동력 외에 투자금도 필요하고, 그게 모자라면 빚도 져야 합니다. 빚을 져서 다 갚지 못하고 사업도 망하면....
결과적으로 위험성도 높고, 책임도 많이 져야 하죠.
*물론 사업도 규모와 상황에 따라 일반론이 통하지 않는 경우들도 있습니다만, 기본적으로 고위험이지만, 고수익이 기대되기에 사람들이 뛰어드는 것이죠. 안 그러면 아무도 사업을 하려고 ... 더 보기
직장은 빚 내가면서 다녀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간혹 그런 직장도 있기는 한 것으로 압니다. --;;), 사업은 자기의 시간, 노동력 외에 투자금도 필요하고, 그게 모자라면 빚도 져야 합니다. 빚을 져서 다 갚지 못하고 사업도 망하면....
결과적으로 위험성도 높고, 책임도 많이 져야 하죠.
*물론 사업도 규모와 상황에 따라 일반론이 통하지 않는 경우들도 있습니다만, 기본적으로 고위험이지만, 고수익이 기대되기에 사람들이 뛰어드는 것이죠. 안 그러면 아무도 사업을 하려고 ... 더 보기
High Risk High Return
직장은 빚 내가면서 다녀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간혹 그런 직장도 있기는 한 것으로 압니다. --;;), 사업은 자기의 시간, 노동력 외에 투자금도 필요하고, 그게 모자라면 빚도 져야 합니다. 빚을 져서 다 갚지 못하고 사업도 망하면....
결과적으로 위험성도 높고, 책임도 많이 져야 하죠.
*물론 사업도 규모와 상황에 따라 일반론이 통하지 않는 경우들도 있습니다만, 기본적으로 고위험이지만, 고수익이 기대되기에 사람들이 뛰어드는 것이죠. 안 그러면 아무도 사업을 하려고 하지 않겠죠? 어쩔 수 없이 창업에 몰리는 영세자영업이라든지,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는 사회적 기업 같은 경우들도 있습니다. 그런 경우들을 얘기하는 것은 아닙니다.
직장은 빚 내가면서 다녀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간혹 그런 직장도 있기는 한 것으로 압니다. --;;), 사업은 자기의 시간, 노동력 외에 투자금도 필요하고, 그게 모자라면 빚도 져야 합니다. 빚을 져서 다 갚지 못하고 사업도 망하면....
결과적으로 위험성도 높고, 책임도 많이 져야 하죠.
*물론 사업도 규모와 상황에 따라 일반론이 통하지 않는 경우들도 있습니다만, 기본적으로 고위험이지만, 고수익이 기대되기에 사람들이 뛰어드는 것이죠. 안 그러면 아무도 사업을 하려고 하지 않겠죠? 어쩔 수 없이 창업에 몰리는 영세자영업이라든지,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는 사회적 기업 같은 경우들도 있습니다. 그런 경우들을 얘기하는 것은 아닙니다.
사업자가 노동자보다 돈을 많이 버는 것이 가능한 이유는
누군가가 내는 돈을 받아서 돈을 버는 겁니다. 누군가가 내는 돈을 받을 수 있는 이유는 (경쟁/대체제보다 우월한)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이고, 그 상품이나 서비스를 만들고 제공하는 일련의 행위를 수행하는 조직이 사업체입니다. 그 사업체는 창출한 가치를 사업체의 참여자들에게 배분합니다. 사업체에 참여하는 방법은 사업체를 소유하는 것(주주가 되는 등)과, 사업체에 고용되는 것이 있습니다. 사업체를 소유할 경우 수입을 보장받지 못합니다. 반면 사업체에 고용될 경우(=직장인... 더 보기
누군가가 내는 돈을 받아서 돈을 버는 겁니다. 누군가가 내는 돈을 받을 수 있는 이유는 (경쟁/대체제보다 우월한)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이고, 그 상품이나 서비스를 만들고 제공하는 일련의 행위를 수행하는 조직이 사업체입니다. 그 사업체는 창출한 가치를 사업체의 참여자들에게 배분합니다. 사업체에 참여하는 방법은 사업체를 소유하는 것(주주가 되는 등)과, 사업체에 고용되는 것이 있습니다. 사업체를 소유할 경우 수입을 보장받지 못합니다. 반면 사업체에 고용될 경우(=직장인... 더 보기
사업자가 노동자보다 돈을 많이 버는 것이 가능한 이유는
누군가가 내는 돈을 받아서 돈을 버는 겁니다. 누군가가 내는 돈을 받을 수 있는 이유는 (경쟁/대체제보다 우월한)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이고, 그 상품이나 서비스를 만들고 제공하는 일련의 행위를 수행하는 조직이 사업체입니다. 그 사업체는 창출한 가치를 사업체의 참여자들에게 배분합니다. 사업체에 참여하는 방법은 사업체를 소유하는 것(주주가 되는 등)과, 사업체에 고용되는 것이 있습니다. 사업체를 소유할 경우 수입을 보장받지 못합니다. 반면 사업체에 고용될 경우(=직장인) 사업의 성패와 무관한 수입을 보장받습니다. 전자가 후자보다 위험하기 때문에, (대체로) 더 많은 창출 가치를 배분 받습니다. 한마디로 정리하면 리스크 프리미엄입니다. 물론 리스크 프리미엄만이 가치배분율의 전부는 아닙니다. 내가 메시면 구단보다 위대해질 수도 있고, 리스크 프리미엄도 압도할 수 있습니다.
누군가가 내는 돈을 받아서 돈을 버는 겁니다. 누군가가 내는 돈을 받을 수 있는 이유는 (경쟁/대체제보다 우월한)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이고, 그 상품이나 서비스를 만들고 제공하는 일련의 행위를 수행하는 조직이 사업체입니다. 그 사업체는 창출한 가치를 사업체의 참여자들에게 배분합니다. 사업체에 참여하는 방법은 사업체를 소유하는 것(주주가 되는 등)과, 사업체에 고용되는 것이 있습니다. 사업체를 소유할 경우 수입을 보장받지 못합니다. 반면 사업체에 고용될 경우(=직장인) 사업의 성패와 무관한 수입을 보장받습니다. 전자가 후자보다 위험하기 때문에, (대체로) 더 많은 창출 가치를 배분 받습니다. 한마디로 정리하면 리스크 프리미엄입니다. 물론 리스크 프리미엄만이 가치배분율의 전부는 아닙니다. 내가 메시면 구단보다 위대해질 수도 있고, 리스크 프리미엄도 압도할 수 있습니다.
한편 사업이 노동보다 돈을 많이 버는 것이 가능한 이유는
개인이 이뤄낼 수 있는 일 보다 다수의 인원이 협려적으로 일해서 창출할 수 있는 가치에 승수효과가 있기 때문입니다. 업무를 분업화하고, 시스템을 만들면 더 높은 생산성이 발생 가능합니다. 100명이 일할 때 1명이 일하는 것의 100배가 아닌 1만배를 창출해 낼 수 있습니다(단 이것은 사업/아이템마다 다릅니다).
개인이 이뤄낼 수 있는 일 보다 다수의 인원이 협려적으로 일해서 창출할 수 있는 가치에 승수효과가 있기 때문입니다. 업무를 분업화하고, 시스템을 만들면 더 높은 생산성이 발생 가능합니다. 100명이 일할 때 1명이 일하는 것의 100배가 아닌 1만배를 창출해 낼 수 있습니다(단 이것은 사업/아이템마다 다릅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