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0/04/16 01:29:56
Name   [익명]
Subject   포기할 것은 포기하는 게 맞는 걸까요?
가면 갈수록 사회 전반적으로 수학적 능력, 문제해결능력을 요구하는 것 같습니다.. 컴공, 의약간호계열이 뜨는 것은 물론이고 취업에서도 NCS 가 중요해지고 있는 것 같아요.

컴공,의약간호계열이 뜨고 법,경제분야는 이미 레드오션인데 어디서든 1%는 살아남는다고 하지만, 그래도 뜨는 곳에서의 중간과 지는 곳에서의 중간은 소득 차이가 큰데 어떤 선택이 더 좋을까요? (적성이 맞지 않더라도 커지는 산업에 진입하는 것이 좋을까요? 적성이 맞더라도 이미 레드오션에는 진입하지 않는 것이 좋을까요? 머리로는 당연 블루오션이고 먹고살려면 돈 문제가 중요하니까 그게 맞는데.. 열정, 그리고 극단적으로 내일 죽는다고 생각하면 행복하지 않고 후회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시대에 따라 중요해지는 산업은 바뀔 수도 있구요..)

전자를 선택하면 적성과 흥미를 포기해야하고 후자를 선택하면 돈을 포기하는 것인데 어떤 선택을 하든 포기해야할 것은 있다, 더 우선순위를 선택하자는 마음가짐으로 선택하는 것이 더 좋을까요?



0


Cascade
뭘 포기하던 빨리 포기해야 좋은 것 같긴 합니다.
세인트루이스
제 경험상 어느 전공/진로를 택하든 될놈은 되고 안될놈은 안된다 입니다. 앞으로 어떤 분야가 레드/블루 오션이 될지 예측하기는 쉽지 않고, 그렇다면 일단 본인이 재밌어하고 잘 하는 분야로 가는게 맞다고 봅니다.
3
파란아게하
물론 꿈을 이루기 어렵기 때문에 꿈이지만
젊다면 나중에 포기하더라도
좋아하는 걸 시도해볼 수 있는 기회는
본인한테 줘야죠
돈이 필요한 건
내가 하고 싶은 걸 하고 원하는 대로 사는데 돈이 필요한 거고
돈 없어도 죽지는 않아요
나이 먹으면 꿈을 이뤘던가
꿈을 이루기 위해 최선을 다했던 추억을 먹고 살텐데
해보지도 않고 지레 포기한다면
후회만 하면서 사실지도 몰라요
공기반술이반
개인적으로는 적성/흥미에 한표입니다.
적성이 맞으면 잘하게 되어있고
잘하면 어딜가든 먹고살정도는 되죠..
남은 인생의 반은 회사에서 보낼텐데
일이 그나마의 재미라도없으면.....

현실은 그냥 돈주니까
다니는 그룹이 한 80%될것같고
몰랐던적성을 발견하는케이스도 꽤 되는것같습디다
1
쿠스쿠스
자기 색깔에 맞게 사셔야 합니다.
자기 색깔 안맞게 가봐야 그쪽 맞는사람 한테 치여서 힘들게 삽니다
1
듣보잡
이런 문제에 대한 제 답은 [내가 가장 잘 할 수 있는 것]을 한다입니다. 재밌는 것과 잘 하는 건 다른 얘기이고 저는 적성은 고려 우선순위로 두지 않습니다.
1
ebling mis
돈벌이를 자신이 좋아하는 일로 할 필요는 없습니다. 직장, 직업은 내 수입의 원천일 뿐이고 내가 하고싶은 모든 건 퇴근 후에 있다는 마인드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반대로 자아실현을 직장, 직업에서 하는 마인드도 좋습니다.

내가 어느쪽인지부터 알아야 합니다. 내가 어느쪽인지 알면 일과 일이 아닌 나머지 인생에 대한 주관이 생길 거고, 그 이후엔 남들의 마인드는 알 바 없게 되는 것이죠. 정확히는 남의 마인드에 대한 100%의 존중에서부터 우러나오는 "알 바 없음"이 되는 거라고 생각하지만.

다른건 잘 모르겠는데, 컴퓨터 ... 더 보기
돈벌이를 자신이 좋아하는 일로 할 필요는 없습니다. 직장, 직업은 내 수입의 원천일 뿐이고 내가 하고싶은 모든 건 퇴근 후에 있다는 마인드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반대로 자아실현을 직장, 직업에서 하는 마인드도 좋습니다.

내가 어느쪽인지부터 알아야 합니다. 내가 어느쪽인지 알면 일과 일이 아닌 나머지 인생에 대한 주관이 생길 거고, 그 이후엔 남들의 마인드는 알 바 없게 되는 것이죠. 정확히는 남의 마인드에 대한 100%의 존중에서부터 우러나오는 "알 바 없음"이 되는 거라고 생각하지만.

다른건 잘 모르겠는데, 컴퓨터 관련 전공자로서 컴퓨터 분야는 과학, 공학에서 메타몽같은 존재라고 생각합니다. 어디에든 다 들어가고 있고 어떤 형태로든 써먹을 수 있어요. 30년 전에 도로에 컴퓨터가 들어갈 거란 생각 안 했잖아요. 이젠 차량간 통신, 차량과 교통 인프라간의 통신이 진지하게 구현되고 있죠. 컴퓨터가 없던 분야에 컴퓨터가 다 들어가고 있어요.
김삼봉
법과 경제 분야에서도 컴퓨터 지식을 요하는 분야가 있습니다.

경제 모델링은 특히 요즘 머신러닝이니 뭐니 이것저것 할 줄 알아야하고, 필요로 하는 곳도 꽤 되는거 같습니다.

이런 절충안을 찾아보는건 어떨까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487 진로데이터 과학 공부하는 저에게 조언 부탁드립니다. 20 보리건빵 20/05/26 5168 0
9480 진로주거 제외 자산이 어느 정도면 은퇴 가능할까요? 23 [익명] 20/05/25 3968 0
9464 진로물리치료관련 전기 마사지 기계 봐주세요. 3 [익명] 20/05/22 3251 0
9460 진로SAP과 빅데이터 분석 중 뭘 배우는게 좋을까요? 15 [익명] 20/05/21 3869 0
9451 진로주니어 기획자의 이직 고민입니다 8 [익명] 20/05/20 4300 0
9424 진로30대중반 진로고민 4 [익명] 20/05/17 4421 0
9412 진로서류 접수 마감 2주 지난 공고 지원하는 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4 [익명] 20/05/15 3909 0
9383 진로퇴사시 연차 수당 관련 25 [익명] 20/05/12 7966 0
9219 진로인턴 관련 질문 11 쿠팡 20/04/19 3934 0
9195 진로그림이 도저히 안늡니다. 재능이 없나요? 38 [익명] 20/04/16 9081 0
9192 진로포기할 것은 포기하는 게 맞는 걸까요? 8 [익명] 20/04/16 4325 0
9176 진로[개발] 주어진 시간 1년, 어떻게 하면 개발 실력을 기를 수 있을까요. 15 [익명] 20/04/14 4202 0
9093 진로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제출할 때 질문입니다. 5 [익명] 20/03/31 3861 0
9042 진로돈버는데 왕도가 있나? 난 뭘좋아하지? 꿀빨면 안될까? 8 [익명] 20/03/22 3989 0
8978 진로군문제해결 : 통역장교 vs 석사+산업체 6 삐약삐약 20/03/14 4816 0
8930 진로퇴사 욕구 들 때 어떻게 참으시나요? 24 [익명] 20/03/09 8564 0
8925 진로명함 보통 어디서 만드나요? 3 행복한사람 20/03/08 4155 0
8914 진로나이 들고 부모님에게 상처를 받네요 8 [익명] 20/03/07 3371 0
8851 진로교대생 진로 18 [익명] 20/02/25 4083 0
8845 진로30대 중반 코딩 배워서 관련 진로로 가는것 어떤가요? 20 한신 20/02/24 12365 1
8822 진로생물분야 대학원 진로 고민... 6 [익명] 20/02/21 2931 0
8803 진로숙원을 포기해본 경험이 있으신 분 있나요? 17 불타는밀밭 20/02/16 4461 0
8778 진로38살에 빅데이터/AI쪽 파트타임 박사 어떨까요? 16 [익명] 20/02/11 10221 0
8772 진로영문 이력서 첨삭해주실분 모십니다. 6 이슬먹고살죠 20/02/11 3844 0
8769 진로자꾸 비교하여 스스로 열패감을 느끼네요. 26 [익명] 20/02/11 4650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