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0/04/15 00:07:55 |
Name | [익명] |
Subject | 리눅스를 공부하고 싶습니다. |
이번 학기 운영체제를 공부하게 되었는데요. 리눅스 환경에서 c 프로그래밍을 하면서 진행 됩니다. 그러나 부끄럽게도 제가 리눅스에 대해서 무지해 이 기회에 리눅스 환경에 대해 공부하고 싶습니다. 리눅스 관련된 책이나 공부법이라든가 사이트라던가 추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초보자가 조금이라도 성장 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홍차넷 고수님들 ㅠㅠ 0
|
오 반갑습니다...
c 기초와 유닉스는 사실 공부할땐 크게 상관없지만 뭐든 CLI에서 작업 가능하는건 해보는게 항상 메리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레드햇 계열을 써서, 한국 서적중에는 "이것이 리눅스다" 라는 책을 읽어본 적이 있는데 나쁘진 않았지만, 이쪽은 서버 구축 위주의 얘기라서 조금 핀트가 다를 수 있습니다..
그래도 아주 기초적인 것들과 가상환경을 만들고 vm을 통해 원하는 리눅스를 설치하고 구동해볼수 있도록 잘 설명해주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리눅스 습득법은 서버를 만들어보시는게 제일 좋을것 같아 위... 더 보기
c 기초와 유닉스는 사실 공부할땐 크게 상관없지만 뭐든 CLI에서 작업 가능하는건 해보는게 항상 메리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레드햇 계열을 써서, 한국 서적중에는 "이것이 리눅스다" 라는 책을 읽어본 적이 있는데 나쁘진 않았지만, 이쪽은 서버 구축 위주의 얘기라서 조금 핀트가 다를 수 있습니다..
그래도 아주 기초적인 것들과 가상환경을 만들고 vm을 통해 원하는 리눅스를 설치하고 구동해볼수 있도록 잘 설명해주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리눅스 습득법은 서버를 만들어보시는게 제일 좋을것 같아 위... 더 보기
오 반갑습니다...
c 기초와 유닉스는 사실 공부할땐 크게 상관없지만 뭐든 CLI에서 작업 가능하는건 해보는게 항상 메리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레드햇 계열을 써서, 한국 서적중에는 "이것이 리눅스다" 라는 책을 읽어본 적이 있는데 나쁘진 않았지만, 이쪽은 서버 구축 위주의 얘기라서 조금 핀트가 다를 수 있습니다..
그래도 아주 기초적인 것들과 가상환경을 만들고 vm을 통해 원하는 리눅스를 설치하고 구동해볼수 있도록 잘 설명해주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리눅스 습득법은 서버를 만들어보시는게 제일 좋을것 같아 위와 같은 서적을 추천드립니다.
웹이나 redis같은 간단한 서버를 구축하다보면 데몬이나 cron, 라우팅테이블 같은 리눅스의 핵심 개념들을 실전압축형으로 배우기때문에 (개인적으로) 제일 빠르다고 봅니다.
공룡책 공부하시면서 궁금한거 테스트해가면서 하시면 곱절로 빠를테구요.
c 기초와 유닉스는 사실 공부할땐 크게 상관없지만 뭐든 CLI에서 작업 가능하는건 해보는게 항상 메리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레드햇 계열을 써서, 한국 서적중에는 "이것이 리눅스다" 라는 책을 읽어본 적이 있는데 나쁘진 않았지만, 이쪽은 서버 구축 위주의 얘기라서 조금 핀트가 다를 수 있습니다..
그래도 아주 기초적인 것들과 가상환경을 만들고 vm을 통해 원하는 리눅스를 설치하고 구동해볼수 있도록 잘 설명해주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리눅스 습득법은 서버를 만들어보시는게 제일 좋을것 같아 위와 같은 서적을 추천드립니다.
웹이나 redis같은 간단한 서버를 구축하다보면 데몬이나 cron, 라우팅테이블 같은 리눅스의 핵심 개념들을 실전압축형으로 배우기때문에 (개인적으로) 제일 빠르다고 봅니다.
공룡책 공부하시면서 궁금한거 테스트해가면서 하시면 곱절로 빠를테구요.
만일 이왕 하시는 김에 리눅스의 내부 구조까지 파악하고 싶으시다면 젠투 리눅스로 GUI 환경까지 설치해 보시는걸 추천합니다. 진정한 하드코어를 느끼실 수 있습니다.
* 젠투 리눅스는 커널부터 직접 컴파일해서 넣습니다
* USE flag 조정하시면서 이것저것 해보세요
* 젠투 리눅스는 커널부터 직접 컴파일해서 넣습니다
* USE flag 조정하시면서 이것저것 해보세요
개인적으로 리눅스에 관심이 있어서 공부를 하느냐, 학교에서 수업하는데 리눅스 환경에서 프로그래밍을 하는게 불편해서 리눅스를 공부하면 나을까?라는 소극적인 접근이냐 이 두가지에 따라 하셔야하는 공부가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전자의 경우셔서 리눅스가 너무 아름답고, 이것이 돌아가는 것에 대해 알아보고 싶다-> 위에 있는 어떤 방법으로 공부를 하셔도 상관이 없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후자의 경우다 -> 그냥 우분투 깔고 vscode 설치해서 과제하시다가, 프로젝트 관리하기 힘들다는 생각이 드실 때 쯤 ide 깔고 쓰시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심지어 vscode는 마소가 만든건데 윈도우에서 쓰는 것보다 리눅스에서 쓰는게 더 편해요-_-;;
전자의 경우셔서 리눅스가 너무 아름답고, 이것이 돌아가는 것에 대해 알아보고 싶다-> 위에 있는 어떤 방법으로 공부를 하셔도 상관이 없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후자의 경우다 -> 그냥 우분투 깔고 vscode 설치해서 과제하시다가, 프로젝트 관리하기 힘들다는 생각이 드실 때 쯤 ide 깔고 쓰시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심지어 vscode는 마소가 만든건데 윈도우에서 쓰는 것보다 리눅스에서 쓰는게 더 편해요-_-;;
제 생각에는 리눅스를 제대로 알고 싶으시면 버철머신 말고 진짜 깡 컴터 하나 가져다놓고 리눅스 설치해서 써보시길 추천합니다
no gui로요
ubuntu나 centos 서버 버전 같은 거....
막히는 거 나오면 모두 구글링하면 되요
no gui로요
ubuntu나 centos 서버 버전 같은 거....
막히는 거 나오면 모두 구글링하면 되요
GUI버전도 좋으니 그냥 리얼머신에 우분투 데스크탑 버전을 깔고 시작하는걸 추천합니다. 그냥 그걸 메인 컴퓨터로 쓰시고, 어떤 게 불만이거나 뭐가 좀 안되는게 있을 때마다 검색해서 배우는게 흥미유발엔 가장 좋다고 생각합니다. 마침 운영체제 수업도 들으시니 시기는 정말 좋네요.
CLI 사용에 대해선 크게 집착할 필요가 없는게 어차피 리눅스 GUI가 얼마나 좋든 리눅스를 쓰는 이상 CLI를 쓸 일이 생기고, 배우게 되고 쓰게 됩니다.
*이건 반론의 여지가 많을 수 있지만, 2020년에 컴퓨터를 배우는데 굳이 vim같은 에디터를 능숙하게 쓰려고 노력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쓰다보면 편하고 추가기능도 많다곤 하지만, 그냥 VS Code를 쓰고 그걸 익힐 시간에 다른걸 연습하는게...
CLI 사용에 대해선 크게 집착할 필요가 없는게 어차피 리눅스 GUI가 얼마나 좋든 리눅스를 쓰는 이상 CLI를 쓸 일이 생기고, 배우게 되고 쓰게 됩니다.
*이건 반론의 여지가 많을 수 있지만, 2020년에 컴퓨터를 배우는데 굳이 vim같은 에디터를 능숙하게 쓰려고 노력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쓰다보면 편하고 추가기능도 많다곤 하지만, 그냥 VS Code를 쓰고 그걸 익힐 시간에 다른걸 연습하는게...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