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0/02/11 23:56:44수정됨 |
Name | [익명] |
Subject | 38살에 빅데이터/AI쪽 파트타임 박사 어떨까요? |
이제 곧 마흔이다보니 경력관리가 고민이네요;;; 석사만 하고 취업했는데, IT쪽 차세대 기술 관련 일을 하다보니 연구하는 사람들을 많이 만나는 편입니다. 그러다보니 이제라도 경력상 파트타임 박사를 해보면 어떨까 고민중입니다. BIG DATA나 AI나 아니면 뭐든 컴퓨터쪽 전공으로요. 솔직히 학교에서 무얼 배우기 보다는 그냥 학위와 인간관계를 얻고 싶습니다. 교수 지망할 나이도 아니고;; 괜찮은 대기업 연구소에 근무했고 현재는 차세대 기술 관련 일을 하고 있어서 연구나 최신기술은 좀 친숙한 편입니다. 저희쪽은 학교보다 회사가 더 빠르게 발전하는것 같기도 하고요. 이쪽 탑 컨퍼런스에서 발표한 경력도 있습니다. (혹시 누군지 기억 나신다면 넘어가주세요 ㅎㅎ) 학비는 그냥 자비로 낼것같고, 회사는 어떻게든 시간을 내보려 합니다. 1. 교수님들이 받아주실까요? (젊은 교수님 보다는 데미갓 류의 조금 안정적인 연구실에 지원하려고 합니다.) 2. 저널을 써 본적이 없는데 기술 외적으로 어려운게 있을까요? 3. 파트타임으로 졸업는데 또 어떤 어려움이 있을까요? 문득 떠오른 생각이라 정리가 좀 안되긴 하네요 ^^; 개인적인 고민을 읽어주셔서, 답변 달아주셔서 미리 감사합니다. 0
|
한국에 있는 대학원들 상황을 전혀 모른다는 점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저는 미국에 있는 조그만한 주립대에서 경제학 학위를 했습니다. 학교가 공대여서 주위에 CS/CE 분들과 교제하며 지낼 기회가 있었습니다. 글쓴이님의 글을 보고 알고지내던 CS교수님이 하시던 말이 생각나서 댓글을 남깁니다.
"이곳에선 대학원생을 구할 수가 없어. 학부만 하고 다 취업이 잘되서 다 나가버리거든."
(당연히 한국은 다를겁니다)
고민하시는 바에 대한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1. 교수들이 안받아주실 이유가 있을까요? 나이는 문제가 되지... 더 보기
저는 미국에 있는 조그만한 주립대에서 경제학 학위를 했습니다. 학교가 공대여서 주위에 CS/CE 분들과 교제하며 지낼 기회가 있었습니다. 글쓴이님의 글을 보고 알고지내던 CS교수님이 하시던 말이 생각나서 댓글을 남깁니다.
"이곳에선 대학원생을 구할 수가 없어. 학부만 하고 다 취업이 잘되서 다 나가버리거든."
(당연히 한국은 다를겁니다)
고민하시는 바에 대한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1. 교수들이 안받아주실 이유가 있을까요? 나이는 문제가 되지... 더 보기
한국에 있는 대학원들 상황을 전혀 모른다는 점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저는 미국에 있는 조그만한 주립대에서 경제학 학위를 했습니다. 학교가 공대여서 주위에 CS/CE 분들과 교제하며 지낼 기회가 있었습니다. 글쓴이님의 글을 보고 알고지내던 CS교수님이 하시던 말이 생각나서 댓글을 남깁니다.
"이곳에선 대학원생을 구할 수가 없어. 학부만 하고 다 취업이 잘되서 다 나가버리거든."
(당연히 한국은 다를겁니다)
고민하시는 바에 대한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1. 교수들이 안받아주실 이유가 있을까요? 나이는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또한, 관련 업종에서 그동안 일하셨던 것은 글쓴이님의 큰 장점일 것입니다. 단 한가지 걸리는 것은, 파트타임 대학원생을 welcome 할지는 전 전혀 모르겠습니다.
2. 전혀 문제되지 않습니다. 주위에 보면 논문이건 리포트건 타고난 재능이 있는 분들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이들이 대부분입니다. 그 대부분의 사람들이 대학원에서 와서 "학술적인" 글쓰기를 익히게 됩니다.
3. 이 부분에 대해 정보수집이 필요하겠네요. 국내에서 학위를 하신다면 혹시 파트타임으로 공부하는 대학원생 분들이 계시는지, 저라면 그런 분들을 찾아 개인적으로 연락해서 이런저런 정보를 구해볼 것 같습니다.
제게는 글쓴이님의 이력이 전혀 대학원에 결격사유가 될 것 같아 보이지 않습니다. 열심히 알아보셔요!
저는 미국에 있는 조그만한 주립대에서 경제학 학위를 했습니다. 학교가 공대여서 주위에 CS/CE 분들과 교제하며 지낼 기회가 있었습니다. 글쓴이님의 글을 보고 알고지내던 CS교수님이 하시던 말이 생각나서 댓글을 남깁니다.
"이곳에선 대학원생을 구할 수가 없어. 학부만 하고 다 취업이 잘되서 다 나가버리거든."
(당연히 한국은 다를겁니다)
고민하시는 바에 대한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1. 교수들이 안받아주실 이유가 있을까요? 나이는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또한, 관련 업종에서 그동안 일하셨던 것은 글쓴이님의 큰 장점일 것입니다. 단 한가지 걸리는 것은, 파트타임 대학원생을 welcome 할지는 전 전혀 모르겠습니다.
2. 전혀 문제되지 않습니다. 주위에 보면 논문이건 리포트건 타고난 재능이 있는 분들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이들이 대부분입니다. 그 대부분의 사람들이 대학원에서 와서 "학술적인" 글쓰기를 익히게 됩니다.
3. 이 부분에 대해 정보수집이 필요하겠네요. 국내에서 학위를 하신다면 혹시 파트타임으로 공부하는 대학원생 분들이 계시는지, 저라면 그런 분들을 찾아 개인적으로 연락해서 이런저런 정보를 구해볼 것 같습니다.
제게는 글쓴이님의 이력이 전혀 대학원에 결격사유가 될 것 같아 보이지 않습니다. 열심히 알아보셔요!
1,2는 케바케라 부딪혀보셔야 알것 같고...
3이 문젠데, CS 중 AI관련이 그나마 대학원 중 제일 지원자가 많은 분야인데, 이걸 파트타임으로 돌리는 대학교가 있을까요?
그리고 전 한국에서 파트타임 석사는 봤어도 파트타임 박사를 필드에서 본 적 없네요. 해외는 둘다 없고요. 박사 졸업 진짜 고되요.
3이 문젠데, CS 중 AI관련이 그나마 대학원 중 제일 지원자가 많은 분야인데, 이걸 파트타임으로 돌리는 대학교가 있을까요?
그리고 전 한국에서 파트타임 석사는 봤어도 파트타임 박사를 필드에서 본 적 없네요. 해외는 둘다 없고요. 박사 졸업 진짜 고되요.
우선은 무엇보다도 데미갓 교수들에게 남은 (파트타임) 박사 티오가 있을지를 확인해보셔야 할 것 같고 보통 데미갓들에겐 병특 때문에 박사과정에 제때 진학해야하는 대학원생들이 있기 때문에 억지로 비집고 들어가긴 힘듭니다.
다만 데미갓들은 여러 과에 걸쳐있을 수 있으니 컴공이 아니라 새로 생긴 인공지능 학과나 시스템 어쩌고 바이오 어쩌고 같은 학과라도 겸임하고 있는지 보시고 그 쪽 티오로라도 들어가실 마음이 있으신지 미리 생각해 보세요.
그리고 박사 기간을 어느 정도로 생각하시는 지도 이야기가 되셔야 좋을 것 같읍니다. 아시다... 더 보기
다만 데미갓들은 여러 과에 걸쳐있을 수 있으니 컴공이 아니라 새로 생긴 인공지능 학과나 시스템 어쩌고 바이오 어쩌고 같은 학과라도 겸임하고 있는지 보시고 그 쪽 티오로라도 들어가실 마음이 있으신지 미리 생각해 보세요.
그리고 박사 기간을 어느 정도로 생각하시는 지도 이야기가 되셔야 좋을 것 같읍니다. 아시다... 더 보기
우선은 무엇보다도 데미갓 교수들에게 남은 (파트타임) 박사 티오가 있을지를 확인해보셔야 할 것 같고 보통 데미갓들에겐 병특 때문에 박사과정에 제때 진학해야하는 대학원생들이 있기 때문에 억지로 비집고 들어가긴 힘듭니다.
다만 데미갓들은 여러 과에 걸쳐있을 수 있으니 컴공이 아니라 새로 생긴 인공지능 학과나 시스템 어쩌고 바이오 어쩌고 같은 학과라도 겸임하고 있는지 보시고 그 쪽 티오로라도 들어가실 마음이 있으신지 미리 생각해 보세요.
그리고 박사 기간을 어느 정도로 생각하시는 지도 이야기가 되셔야 좋을 것 같읍니다. 아시다시피 지원하시는 분야 특성상 기술 발전이 매우 빠르고 연구 인원이 극히 많은 편에 속하므로 파트타임이라 해서 학위 기간이 길게 늘어지는 경우 학위논문을 중도에 갈아엎어야 할 경우가 생길 수 있으므로 가능한 자원을 집중해서 빠르게 끝낼 수 있으면 여러모로 베스트일 것 같읍니다.
그 외에는 현재 소속되신 연구소에 따라 대학원에서 같이 과제할 수 있는 경우 장점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 같읍니다.
다만 데미갓들은 여러 과에 걸쳐있을 수 있으니 컴공이 아니라 새로 생긴 인공지능 학과나 시스템 어쩌고 바이오 어쩌고 같은 학과라도 겸임하고 있는지 보시고 그 쪽 티오로라도 들어가실 마음이 있으신지 미리 생각해 보세요.
그리고 박사 기간을 어느 정도로 생각하시는 지도 이야기가 되셔야 좋을 것 같읍니다. 아시다시피 지원하시는 분야 특성상 기술 발전이 매우 빠르고 연구 인원이 극히 많은 편에 속하므로 파트타임이라 해서 학위 기간이 길게 늘어지는 경우 학위논문을 중도에 갈아엎어야 할 경우가 생길 수 있으므로 가능한 자원을 집중해서 빠르게 끝낼 수 있으면 여러모로 베스트일 것 같읍니다.
그 외에는 현재 소속되신 연구소에 따라 대학원에서 같이 과제할 수 있는 경우 장점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 같읍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