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9/10/31 10:11:16
Name   [익명]
Subject   출근시간과 업무시간의 차이로 갈등 아닌 갈등이 있습니다.
저희 회사는 현재 공식적으로는 (근로계약서 상)

09:30 출근
17:30 퇴근

이렇게 되어있습니다.
아마 대표님은 저 시간이 업무시간이라고 생각을 하고 계시는 듯 하고
실제로도 그렇게 계약서를 작성한 상태죠. 그런데 대부분의 직원들은
09:30에 딱 맞춰서 옵니다. 때론 지각도 하죠.
(30분 이하 지각은 별로 터치가 없습니다. 그 이상은 반차로 깐다고 계약서엔 적혀있습니다)

이렇다 보니 09:30에 출근 해서 커피 한잔 타서 담배피러 가거나 화장실에
가서 용무를 해결하고 오면 거의 10:00가 되어야 자리에 앉아 업무를 보는데요,
그게 대표님의 심기를 조금씩 불편하게 하나봅니다. 사실 시간의 절대치로 보면
출근해서 담배피우고 화장실 가는것과 업무중에 하는것이 차이가 없지만
감정적으로 본다면 안좋게 보이는 부분도 있는 것 같습니다.
퇴근시간이 17:30이라 대부분은 17시 정도 되면 루즈해지는게 눈에 보입니다.
전 팀장이라 직원들 관리를 하는 입장입니다.(10인 이하 소규모직장입니다)

대표님은 긍정적인 의미의 워커홀릭이라 늦어도 08:00에는 업무를 시작하시고
18:30 ~ 19:00 정도 퇴근하십니다. 그 다음이 저고요. 전 창립멤버이기도 하고
스타일이 맞아서 비슷하게 출퇴근 합니다. 조용한 시간에 음악 들으며 집중도
높여서 하는 편입니다. 아무튼... 이런걸 강요하고 요구하는건 아닌데 대표님 의견은
빡빡한 출퇴근시간 나름 배려해서 근로시간을 조절했는데 대부분 30분 ~ 1시간정도씩
출퇴근시에 까먹는 시간이 보이는게 좋지 않으니 내년 근로계약서에는 출근시간 퇴근시간
명시하는게 아니라 업무시간 09:30 ~ 17:30 으로 조정하자고 하시는데 이걸 팀원들에게
어떻게 말하면 좋을지 조언 좀 부탁드립니다. 출/퇴근이 아니라 업무시간으로 정하면
한 10분정도라도 먼저 와서 09:30에 업무 시작하게끔 되지 않겠냐고 하시는데
팀원들이 잘 받아들일지 걱정입니다. 가끔 일정이 빡빡해서 저나 대표님이나 야근하고
조기출근해서 일하고 있는데 일정 알고 있는 팀원들이 5~10분 늦게 와서 컴퓨터 켜고 화장실,
담배 등으로 한동안 자리 비우면 사실 제가 봐도 좋게는 안보입니다 ㅎㅎ
이거... 꼰대 인가요 ㅜㅜ 요즘은 자기 생각과 다르면 무족권 꼰대라고 몰아세우는 분위기라
홍차넷에도 쓸까 말까 며칠 생각했었습니다...

제 생각에는 그렇게 출근 해서 한 30분 일하다가 그때 화장실 담배 등을 하는게 요령이 있다고
생각하는데... 제 생각이 100% 옳다고 여기는건 아닙니다;;
혹시 몰라 직종을 정확히 밝히기는 어렵지만 주로 앉아서 컴으로 하는 일이고 그동안 거쳐간 직원들도
사내 분위기는 강요가 없는 자유로운 분위기라고 했습니다. 저야 뭐 필드에서 뛰던 초창기에 비하면
천국이고요. 회식은 없고, 가끔 점심 때 비싸고 맛난거 먹으러 점심시간 두세시간 잡고 다녀옵니다.
술 먹고 싶은 직원들은 저한테 말하면 (저도 술 좋아함) 그럴 때 쓰라고 대표님이 준 카드로
맛난거 먹고 들어가고요. 야근은 없으며 부득이 하게 발생하면 야근비+택시비 나옵니다.

혹시 제가 시야가 좁아져 생각하지 못한 부분이 있다면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출/퇴근시간 -> 업무시간으로 바꾼다면 납득이 될 만한 내용인가요?



0


저는 당연히 출퇴근시간이 업무시간이라 생각하는데 제 기준에선 업무시간으로 바꾸는게 충분히 납득이 된다 생각합니다.

9:30이 출근시간이면 그 시간엔 일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된다고 생각해서요.
[글쓴이]
조마조마한 마음이었는데 동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업무에 상관없는 후배들의 생각과 좀 다른 부분이 있어서 많은 생각에 빠져있습니다~
듣보잡
말씀하신 내용들에 전반적으로 동의하는 편이긴 한데 단순히 업무시간 칼같이 안지키는 것 자체가 거슬리는 거라면 저는 현재대로 유지하겠습니다.
글에 보면 실제 업무 때문에 글쓴 분이랑 대표님이 초과근무한다는 내용이 있는데 이게 부하직원들이 여유있게 근무하면서 생긴 현상이라면 이 부분을 미팅 시간에 직접적으로 따지고 좀 더 제대로 근무할 것을 요청한 뒤에, 그 뒤에도 같은 문제가 반복되면 그걸 명분으로 해서 업무 시간을 더 타이트하게 관리하겠습니다.

요약하면 저라면 현재 직원들의 불성실한 근무 태도가 실제 업무에 차질을 준다는 확인이 서로간에 된 다음에 업무 시간 관리를 할 것 같습니다.
[글쓴이]
말씀하신 부분에 저나 대표님이 야근하는건 팀원들과 직접적인 인과관계는 없습니다. 메인 업무를 둘이 하고 팀원들이 써포트해주는 구조긴 한데 팀원들의 근태로 인해서 초과근무를 하는건 아닙니다. 그리고 굳이 초과근무를 해야하는건 아닌데 둘 다 좀 일을 더 하고 싶어하고 일이 아니더라도 관련 공부등으로 시간을 내는거라 괴롭지 않은 초과근무입니다. 예를 들면 이정도 하면 되지 않았나? 해도 더 파고 들어서 결과물의 퀄을 더 올리려는 습성ㅋ이 둘 다 있어서요. 그리고 업무에 차질의 유무를 떠나서 불성실한 근태는 그것 자체로 문제가 되는게 아닌가 조심스럽게 생각합니다... 말씀하신것처럼 회사가 칼같이 하니 직원도 칼같이 하라는게 대표님의 생각이고 저도 틀리지만은 않다고 생각하는중인데 혹시 제가 놓치는 부분이 있나 싶어서 글을 올렸습니다^^
듣보잡
대부분의 사람들은 글쓰신 분과 비슷하게 생각할 것 같습니다. 저는 업무 흐름만 제 생각보다 늦어지거나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극단적으로는 팀원들 출근 안해도 아무 상관없는 스타일인데 아무래도 저같은 사람이 많지는 않겠죠 ㅋㅋ

다만 별다른 실속없이 근태관리를 위한 변경은 저뿐 아니라 싫어할 사람이 꽤 될 수도 있습니다. 제가 극단적인 스타일일 수는 있어도 근본 사고방식은 저랑 비슷한 사람이 많을 수도...
[글쓴이]
억ㅋ 한때 저희 회사가 운영했던 방식에 맞는 분이시군요 ㅎㅎ 한때는 결과물만 보여주면 된다고 해서 아예 출퇴근 자체를 없앴었습니다. 영업상 대표님과 저는 고정출퇴근 했었고요. 그랬더니 진짜 완성도 떨어지는 결과물에 한 3주만에 출근하질 않나 마감도 다 못지켜서 자유를 누릴 능력이 없다고 하여 대표님이 바꿨거든요. 그리고 그때 보여준 퍼포먼스에 따라 퇴사조치 받은 친구들도 좀 있었고;; 사실 자기 컴 가지고 혼자서 결과물만 보여주는거면 프리랜서 시키거나 자택근무 시키는데 저희 업무가 협업도 해야하고 클라이언트 미팅도 해야하고 해서 어... 더 보기
억ㅋ 한때 저희 회사가 운영했던 방식에 맞는 분이시군요 ㅎㅎ 한때는 결과물만 보여주면 된다고 해서 아예 출퇴근 자체를 없앴었습니다. 영업상 대표님과 저는 고정출퇴근 했었고요. 그랬더니 진짜 완성도 떨어지는 결과물에 한 3주만에 출근하질 않나 마감도 다 못지켜서 자유를 누릴 능력이 없다고 하여 대표님이 바꿨거든요. 그리고 그때 보여준 퍼포먼스에 따라 퇴사조치 받은 친구들도 좀 있었고;; 사실 자기 컴 가지고 혼자서 결과물만 보여주는거면 프리랜서 시키거나 자택근무 시키는데 저희 업무가 협업도 해야하고 클라이언트 미팅도 해야하고 해서 어느정도는 보편화된 메뉴얼 안에서 움직이고 있습니다. 근태관리 자체가 회사의 룰 안에서 이뤄지는 부분이고 근태관리가 별다른 실속 없다고 여겨지는 부분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회사가 갖고있는 합법적인 룰 안에서 근태를 포함한 관리를 받는게 회사생활 아닌가여 ㅜㅜ 제 생각이 '라떼는 말이야' 할 정도는 아니라고 생각하는데 요즘은 아닌가요 ^^;
Azurespace
그냥 매일 9:30에 회의를 잡으세요.
4
[글쓴이]
강려크한 돌직구 느낌입니다 ㅎㅎ 그거야말로 회의를 위한 회의가 되겠군요 ㅎ
Azurespace
제가 제일 싫어하는게 회의를 위한 회읩니다요.. 걍 IT 업계에서 많이 하는 스크럼 같은 거에요

전파사항 있으면 전파하고 각자 그날 해야할 업무 한번 짚고 전날 하기로 한 업무가 어떻게 진행됐는지 팀원들끼리 구두로 공유하는 정도로 한 십여분만 짧게 하면 무의미한 회의는 아니게 되죠. 이 정도는 느긋하게 커피 내리면서 할 수도 있고
[글쓴이]
아~ 어떤 의미인지 알겠습니다 ㅎㅎ 건의드려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사실 스크럼을 제대로하려면 몇가지 제반사항이 수반되어야해요.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와 업무 프로세스가 스크럼을 하기에 적절한 상태인지 파악해야합니다. 아니면 참여자들은 그냥 회의를 위한 회의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https://brunch.co.kr/@insuk/13
https://medium.com/dteva... 더 보기
사실 스크럼을 제대로하려면 몇가지 제반사항이 수반되어야해요.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와 업무 프로세스가 스크럼을 하기에 적절한 상태인지 파악해야합니다. 아니면 참여자들은 그냥 회의를 위한 회의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https://brunch.co.kr/@insuk/13
https://medium.com/dtevangelist/scrum-dfc6523a3604

딱히 문제 된적이 있는게 아니라면 저는 리드급분들의 인식 변화 혹은 업무 재분배가 이뤄지는게 더 좋은것 같네요.
그리고 혼자 끙끙 앓는것보다 속시원히 풀어내는게 더 좋습니다. 그래서 저는 회고회의를 더 추천드려요.
https://github.com/JaeYeopHan/tip-archive/issues/8

https://spoqa.github.io/2018/08/29/retrospect.html
[글쓴이]
링크까지 걸어주시고... 감사합니다. 실행이 된다면 부정적으로 여겨지지 않도록 해야겠네요.
대표님이 작성자분께 기대가 크실 겁니다.
결국, 대표님의 방향을 이해하시고, 직원들에게 배려함을 팀장님은 느끼시나, 직원들은 잘 모르는 게 문제라 보입니다.

직원들이 어떻게 받아들이고, 해석할 지는 그 다음입니다.
우리의 출근시간이 왜 그런지...?
대표님의 방향성은 뭔지...?
그런 부분을 저녁을 먹든, 점심을 먹든 해서 설명을 해주시는 게 맞습니다.
이에 대한 페널티는 결국, 연봉이나, 인사고과에 자연스레 반영 되는 것이고, 결과물에도 시간 들인 만큼 뻔히 보이는 바
우선, 상황설명을 해주심이 맞습니다.
출근해서 담배피우고 화장실 가는 거?
1도 신경 안쓰실겁니다.
설령 하루종일 자리에 없어도......

오너가 되면, 결과물만 받아봐도, 얼마나 노력했는 지? 다 압니다.
결과물은 엉망진창인데...노력하는 Attitude 조차 없으니, 열불 나서 작은 변화라도 주실려는 것으로 짐작됩니다.
[글쓴이]
감사합니다. 비니님 ㅎㅎ 말씀하신 부분이 상당부분 맞네요. 커뮤니케이션이 제일 중요하네요..
오지랖이라 조심스럽습니다.
'술 먹고 싶은 직원들은 저한테 말하면 (저도 술 좋아함) 그럴 때 쓰라고 대표님이 준 카드로
맛난거 먹고 들어가고요. 야근은 없으며 부득이 하게 발생하면 야근비+택시비 나옵니다.'

대표님의 방향성은
본인은 시간 못 주지만, 꼭 필요하니 직원관리 시간 내주시란 의미입니다.
회식은 팀장님 또한 직원들 위해 귀한시간 빼는 거고, 직원들 하소연 들어주시란 뜻으로 들립니다.
이리 고민하시는 걸 보니, 언젠가 멋진 회사가 되리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
CONTAXND
제 생각에는 집중근무제도를 도입하는건 어떨까 싶어요 대신 9시 30분 출근은 그냥 냅두시되
10시부터 12시까지 집중근무시간 - 회의 없음, 전화 최소화, 담배 못핌, 화장실 극히 예외에만 허용. 으로 못을 박아두시면 어떨까 싶습니다.

예전에 SK건설 건물에서 일할 때 갸들이 두번인가 집중근무를 하는데
진짜 아무도 없는 1층 카페에서 한적하게 시간 죽이기 좋았다는 ㅎㅎㅎ


그리고 이런건 한번에 터뜨리시면 안되고
팀원 중에 최소 3명 정도와는 미리 이야기를 해두셔야 할 것 같습니다. 그래야 빵 터뜨리셨을 때 동조자들이 도와준다는.
1
[글쓴이]
집중근무시간은 저희 업무랑 조금 맞지 않는 부분이 있어서 못하는 것 중 하나입니다ㅎㅎ 여러 방법을 놓고 대표님이랑 상의 해야겠어요~
로냐프
법적으로 업무시작시간과 출근시간이 차이가 있나요? 출근은 했지만 업무시작은 아니다? 이게 되는건가요?
[글쓴이]
좀 애매한 부분이 있죠? ㅎㅎ 다른 입장에서 오는 미묘한 생각 차이가 있는 것 같습니다. 대표님은 09:00~18:00를 출/퇴근 30분씩 배려해준다고 생각하고 직원들은 또 그게 아니라서 그런것 같아요 ^^
봉다리소녀
남자들 나이먹으면 갱년기 와서 그런다는데 말도 안되는걸로 시비걸거나 아님 담배 금연하다 금단현상으로 짜증내고 사장님이 혹시 그런케이스가 아닌지 잘봐두세요
[글쓴이]
음... 어떤 뉘앙스로 하시는 말씀인지 감이 잘 안옵니다 ㅎㅎ 남자들 나이먹으면 갱년기 와서 말도 안되는걸로 시비를 건다고 보이는게 제가 말한 부분에 있는지요 ^^; 금연중은 아니신데 금연을 한다고 해도 금단현상으로 이런식으로 회사에서 짜증을 내는 오너는 짧지 않은 사회생활중에 잘 못본 것 같습니다 ㅎㅎ 함정은 갱년기가 올 정도로 나이를 먹지는 않았습니다;; 대표님도 저도요..ㅜㅜ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528 여행전북 부안 잘 아시는 분 계시나요? 10 [익명] 20/11/30 4275 0
11581 IT/컴퓨터컴퓨터 관련 자격증이요. 3 치토스순한맛 21/05/21 4275 0
12002 기타카톡 선물하기 18 reika 21/08/05 4275 0
12443 IT/컴퓨터웹사이트 이미지 다운로드 4 OshiN 21/10/21 4275 0
12879 경제외국돈으로 직접 주식 구매가 가능한곳? 4 혼돈의2022년 22/01/25 4275 0
14819 경제이런 옛날지폐는 교환가능한가요? 5 쉬군 23/05/16 4275 0
789 의료/건강소변이 자주 마렵다면...? 8 가령말하자면 16/01/28 4276 0
3646 의료/건강수원-보톡스 괜찮은 피부과? T.Robin 17/11/07 4276 0
4194 여행도쿄 여행 조언 구합니다. 9 naru 18/02/21 4276 0
7710 진로저는 앞으로 취업을 어디로 하는 게 좋을까요? 17 [익명] 19/08/22 4276 0
9308 기타자동차보험 명의이전 vs 운전자범위 추가 질문입니다! 1 [익명] 20/05/01 4276 0
10118 의료/건강여성 탈모 관련 병원 추천 혹은 선택방법 부탁드려요. 4 아재 20/09/14 4276 0
10516 의료/건강헬스 pt 받아보신 분 계신가요? 3 LSY231 20/11/27 4276 0
11061 경제투기과열지구 조정지역 질문입니다. 4 [익명] 21/02/18 4276 0
571 기타이런 크라우드 펀딩 서비스는 나올 수 없을까요? 2 전크리넥스만써요 15/12/04 4277 0
1240 의료/건강의료 시설 관련 취업에 대한 질문입니다. 10 관대한 개장수 16/06/28 4277 0
3825 IT/컴퓨터보조용 듀얼OS 노트북 골랐는데 괜찮을지..., 4 조선전자오락단 17/12/11 4277 0
5189 IT/컴퓨터작업표시줄 이거 없애고 싶습니다. 2 오즈 18/08/04 4277 0
6764 문화/예술추리소설 추천해주세요! 1 Velma Kelly 19/03/14 4277 0
10043 기타안경 코받침 부분 도금이 벗겨졌습니다 2 swear 20/09/01 4277 0
10536 기타전담 태우시는분 있읍니까?? 12 Groot 20/12/01 4277 0
12110 기타벨트 긴 거 살 데가 있을까요? 5 [익명] 21/08/23 4277 0
897 IT/컴퓨터혹시 해외에서 법원 싸이트를 이용해보신분 계세요? 2 외노자 16/03/10 4278 0
1665 IT/컴퓨터휴대폰 구입하기 딱 좋은 날씨인가요? 7 오리꽥 16/10/19 4278 0
2667 진로- 15 말하는감자 17/04/16 4278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