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9/10/31 10:11:16 |
Name | [익명] |
Subject | 출근시간과 업무시간의 차이로 갈등 아닌 갈등이 있습니다. |
저희 회사는 현재 공식적으로는 (근로계약서 상) 09:30 출근 17:30 퇴근 이렇게 되어있습니다. 아마 대표님은 저 시간이 업무시간이라고 생각을 하고 계시는 듯 하고 실제로도 그렇게 계약서를 작성한 상태죠. 그런데 대부분의 직원들은 09:30에 딱 맞춰서 옵니다. 때론 지각도 하죠. (30분 이하 지각은 별로 터치가 없습니다. 그 이상은 반차로 깐다고 계약서엔 적혀있습니다) 이렇다 보니 09:30에 출근 해서 커피 한잔 타서 담배피러 가거나 화장실에 가서 용무를 해결하고 오면 거의 10:00가 되어야 자리에 앉아 업무를 보는데요, 그게 대표님의 심기를 조금씩 불편하게 하나봅니다. 사실 시간의 절대치로 보면 출근해서 담배피우고 화장실 가는것과 업무중에 하는것이 차이가 없지만 감정적으로 본다면 안좋게 보이는 부분도 있는 것 같습니다. 퇴근시간이 17:30이라 대부분은 17시 정도 되면 루즈해지는게 눈에 보입니다. 전 팀장이라 직원들 관리를 하는 입장입니다.(10인 이하 소규모직장입니다) 대표님은 긍정적인 의미의 워커홀릭이라 늦어도 08:00에는 업무를 시작하시고 18:30 ~ 19:00 정도 퇴근하십니다. 그 다음이 저고요. 전 창립멤버이기도 하고 스타일이 맞아서 비슷하게 출퇴근 합니다. 조용한 시간에 음악 들으며 집중도 높여서 하는 편입니다. 아무튼... 이런걸 강요하고 요구하는건 아닌데 대표님 의견은 빡빡한 출퇴근시간 나름 배려해서 근로시간을 조절했는데 대부분 30분 ~ 1시간정도씩 출퇴근시에 까먹는 시간이 보이는게 좋지 않으니 내년 근로계약서에는 출근시간 퇴근시간 명시하는게 아니라 업무시간 09:30 ~ 17:30 으로 조정하자고 하시는데 이걸 팀원들에게 어떻게 말하면 좋을지 조언 좀 부탁드립니다. 출/퇴근이 아니라 업무시간으로 정하면 한 10분정도라도 먼저 와서 09:30에 업무 시작하게끔 되지 않겠냐고 하시는데 팀원들이 잘 받아들일지 걱정입니다. 가끔 일정이 빡빡해서 저나 대표님이나 야근하고 조기출근해서 일하고 있는데 일정 알고 있는 팀원들이 5~10분 늦게 와서 컴퓨터 켜고 화장실, 담배 등으로 한동안 자리 비우면 사실 제가 봐도 좋게는 안보입니다 ㅎㅎ 이거... 꼰대 인가요 ㅜㅜ 요즘은 자기 생각과 다르면 무족권 꼰대라고 몰아세우는 분위기라 홍차넷에도 쓸까 말까 며칠 생각했었습니다... 제 생각에는 그렇게 출근 해서 한 30분 일하다가 그때 화장실 담배 등을 하는게 요령이 있다고 생각하는데... 제 생각이 100% 옳다고 여기는건 아닙니다;; 혹시 몰라 직종을 정확히 밝히기는 어렵지만 주로 앉아서 컴으로 하는 일이고 그동안 거쳐간 직원들도 사내 분위기는 강요가 없는 자유로운 분위기라고 했습니다. 저야 뭐 필드에서 뛰던 초창기에 비하면 천국이고요. 회식은 없고, 가끔 점심 때 비싸고 맛난거 먹으러 점심시간 두세시간 잡고 다녀옵니다. 술 먹고 싶은 직원들은 저한테 말하면 (저도 술 좋아함) 그럴 때 쓰라고 대표님이 준 카드로 맛난거 먹고 들어가고요. 야근은 없으며 부득이 하게 발생하면 야근비+택시비 나옵니다. 혹시 제가 시야가 좁아져 생각하지 못한 부분이 있다면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출/퇴근시간 -> 업무시간으로 바꾼다면 납득이 될 만한 내용인가요? 0
|
말씀하신 내용들에 전반적으로 동의하는 편이긴 한데 단순히 업무시간 칼같이 안지키는 것 자체가 거슬리는 거라면 저는 현재대로 유지하겠습니다.
글에 보면 실제 업무 때문에 글쓴 분이랑 대표님이 초과근무한다는 내용이 있는데 이게 부하직원들이 여유있게 근무하면서 생긴 현상이라면 이 부분을 미팅 시간에 직접적으로 따지고 좀 더 제대로 근무할 것을 요청한 뒤에, 그 뒤에도 같은 문제가 반복되면 그걸 명분으로 해서 업무 시간을 더 타이트하게 관리하겠습니다.
요약하면 저라면 현재 직원들의 불성실한 근무 태도가 실제 업무에 차질을 준다는 확인이 서로간에 된 다음에 업무 시간 관리를 할 것 같습니다.
글에 보면 실제 업무 때문에 글쓴 분이랑 대표님이 초과근무한다는 내용이 있는데 이게 부하직원들이 여유있게 근무하면서 생긴 현상이라면 이 부분을 미팅 시간에 직접적으로 따지고 좀 더 제대로 근무할 것을 요청한 뒤에, 그 뒤에도 같은 문제가 반복되면 그걸 명분으로 해서 업무 시간을 더 타이트하게 관리하겠습니다.
요약하면 저라면 현재 직원들의 불성실한 근무 태도가 실제 업무에 차질을 준다는 확인이 서로간에 된 다음에 업무 시간 관리를 할 것 같습니다.
말씀하신 부분에 저나 대표님이 야근하는건 팀원들과 직접적인 인과관계는 없습니다. 메인 업무를 둘이 하고 팀원들이 써포트해주는 구조긴 한데 팀원들의 근태로 인해서 초과근무를 하는건 아닙니다. 그리고 굳이 초과근무를 해야하는건 아닌데 둘 다 좀 일을 더 하고 싶어하고 일이 아니더라도 관련 공부등으로 시간을 내는거라 괴롭지 않은 초과근무입니다. 예를 들면 이정도 하면 되지 않았나? 해도 더 파고 들어서 결과물의 퀄을 더 올리려는 습성ㅋ이 둘 다 있어서요. 그리고 업무에 차질의 유무를 떠나서 불성실한 근태는 그것 자체로 문제가 되는게 아닌가 조심스럽게 생각합니다... 말씀하신것처럼 회사가 칼같이 하니 직원도 칼같이 하라는게 대표님의 생각이고 저도 틀리지만은 않다고 생각하는중인데 혹시 제가 놓치는 부분이 있나 싶어서 글을 올렸습니다^^
억ㅋ 한때 저희 회사가 운영했던 방식에 맞는 분이시군요 ㅎㅎ 한때는 결과물만 보여주면 된다고 해서 아예 출퇴근 자체를 없앴었습니다. 영업상 대표님과 저는 고정출퇴근 했었고요. 그랬더니 진짜 완성도 떨어지는 결과물에 한 3주만에 출근하질 않나 마감도 다 못지켜서 자유를 누릴 능력이 없다고 하여 대표님이 바꿨거든요. 그리고 그때 보여준 퍼포먼스에 따라 퇴사조치 받은 친구들도 좀 있었고;; 사실 자기 컴 가지고 혼자서 결과물만 보여주는거면 프리랜서 시키거나 자택근무 시키는데 저희 업무가 협업도 해야하고 클라이언트 미팅도 해야하고 해서 어... 더 보기
억ㅋ 한때 저희 회사가 운영했던 방식에 맞는 분이시군요 ㅎㅎ 한때는 결과물만 보여주면 된다고 해서 아예 출퇴근 자체를 없앴었습니다. 영업상 대표님과 저는 고정출퇴근 했었고요. 그랬더니 진짜 완성도 떨어지는 결과물에 한 3주만에 출근하질 않나 마감도 다 못지켜서 자유를 누릴 능력이 없다고 하여 대표님이 바꿨거든요. 그리고 그때 보여준 퍼포먼스에 따라 퇴사조치 받은 친구들도 좀 있었고;; 사실 자기 컴 가지고 혼자서 결과물만 보여주는거면 프리랜서 시키거나 자택근무 시키는데 저희 업무가 협업도 해야하고 클라이언트 미팅도 해야하고 해서 어느정도는 보편화된 메뉴얼 안에서 움직이고 있습니다. 근태관리 자체가 회사의 룰 안에서 이뤄지는 부분이고 근태관리가 별다른 실속 없다고 여겨지는 부분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회사가 갖고있는 합법적인 룰 안에서 근태를 포함한 관리를 받는게 회사생활 아닌가여 ㅜㅜ 제 생각이 '라떼는 말이야' 할 정도는 아니라고 생각하는데 요즘은 아닌가요 ^^;
사실 스크럼을 제대로하려면 몇가지 제반사항이 수반되어야해요.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와 업무 프로세스가 스크럼을 하기에 적절한 상태인지 파악해야합니다. 아니면 참여자들은 그냥 회의를 위한 회의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https://brunch.co.kr/@insuk/13
https://medium.com/dteva... 더 보기
https://brunch.co.kr/@insuk/13
https://medium.com/dteva... 더 보기
사실 스크럼을 제대로하려면 몇가지 제반사항이 수반되어야해요.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와 업무 프로세스가 스크럼을 하기에 적절한 상태인지 파악해야합니다. 아니면 참여자들은 그냥 회의를 위한 회의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https://brunch.co.kr/@insuk/13
https://medium.com/dtevangelist/scrum-dfc6523a3604
딱히 문제 된적이 있는게 아니라면 저는 리드급분들의 인식 변화 혹은 업무 재분배가 이뤄지는게 더 좋은것 같네요.
그리고 혼자 끙끙 앓는것보다 속시원히 풀어내는게 더 좋습니다. 그래서 저는 회고회의를 더 추천드려요.
https://github.com/JaeYeopHan/tip-archive/issues/8
https://spoqa.github.io/2018/08/29/retrospect.html
https://brunch.co.kr/@insuk/13
https://medium.com/dtevangelist/scrum-dfc6523a3604
딱히 문제 된적이 있는게 아니라면 저는 리드급분들의 인식 변화 혹은 업무 재분배가 이뤄지는게 더 좋은것 같네요.
그리고 혼자 끙끙 앓는것보다 속시원히 풀어내는게 더 좋습니다. 그래서 저는 회고회의를 더 추천드려요.
https://github.com/JaeYeopHan/tip-archive/issues/8
https://spoqa.github.io/2018/08/29/retrospect.html
제 생각에는 집중근무제도를 도입하는건 어떨까 싶어요 대신 9시 30분 출근은 그냥 냅두시되
10시부터 12시까지 집중근무시간 - 회의 없음, 전화 최소화, 담배 못핌, 화장실 극히 예외에만 허용. 으로 못을 박아두시면 어떨까 싶습니다.
예전에 SK건설 건물에서 일할 때 갸들이 두번인가 집중근무를 하는데
진짜 아무도 없는 1층 카페에서 한적하게 시간 죽이기 좋았다는 ㅎㅎㅎ
그리고 이런건 한번에 터뜨리시면 안되고
팀원 중에 최소 3명 정도와는 미리 이야기를 해두셔야 할 것 같습니다. 그래야 빵 터뜨리셨을 때 동조자들이 도와준다는.
10시부터 12시까지 집중근무시간 - 회의 없음, 전화 최소화, 담배 못핌, 화장실 극히 예외에만 허용. 으로 못을 박아두시면 어떨까 싶습니다.
예전에 SK건설 건물에서 일할 때 갸들이 두번인가 집중근무를 하는데
진짜 아무도 없는 1층 카페에서 한적하게 시간 죽이기 좋았다는 ㅎㅎㅎ
그리고 이런건 한번에 터뜨리시면 안되고
팀원 중에 최소 3명 정도와는 미리 이야기를 해두셔야 할 것 같습니다. 그래야 빵 터뜨리셨을 때 동조자들이 도와준다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