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9/10/27 16:01:04 |
Name | 개백정 |
Subject | 서른넷 웹개발자 신입의 공부 방향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
올해 7월 말 국비학원을 수료하고 무턱대고 si 업체에 취직했다가 학력위조에 허위경력까지 만들어 파견을 보내는 곳이라 계약서도 쓰기 전에 그만두고 이제야 정상적인 si 회사에 취직한 것 같습니다. 고졸에 학원 출신이라 실력은 스프링으로 게시판정도 짤 수 있는게 다인 것 같고 다른 교육생들과 그나마 차별점이 있다면 다른 분들보다 수업이해가 좀 빨랐고 팀 프로젝트 시에 로그인 처리를 스프링 시큐리티로 다룬 정도인데요. 취직도 이게 어필이 되서 겨우 한 것 같고.. 여튼 자료구조도, 알고리즘 지식도 일천한 상태인지라 무엇부터 공부를 해야 할지 도통 감을 잡기가 힘드네요. 회사는 11월부터 출근이고 야근은 거의 없다기에 퇴근 후에 공부를 하고 싶은데 어느 부분부터 공부를 해야 할 지 로드맵? 을 짜는 데 조언을 구하고 싶어 이렇게 질문을 드려봅니다. 일단 지금은 학원에서 교재로 쓴 웹 개발 워크북 이라는 책을 재독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웹개발자에게 어느 수준의 알고리즘이 필요한지도 궁금하네요. 수포자라 기초 알고리즘 코드만 봐도 현기증이 나지만 공부해야 한다면 해볼 생각입니다. 감사합니다. 0
|
음 si가 야근 없다는건 사실 뻥일 가능성이 농후하고요.
spring을 통해서 게시판을 짤 수 있다는건 RDBMS를 DB로 두고 CRUD를 짜고, 세션과 쿠키를 활용하고, 적당한 자바스크립트를 활용(제이쿼리일수도있고)하는 정도겠죠? 저도 국비학원 끝났을때 그정도였던거 같습니다.
사실 이 수준에서는 공부를 다 해야합니다. 진짜 말 그대로 다 해야해요.. JAVA 디자인 패턴이랑 JAVA OOP의 개념과 활용을 공부해야하고요. 단순히 변수, 반복문, 조건문, 클래스, 상속에서 끝나는게 아니라 생성자, 은닉, 배열, 다형성, 추상클... 더 보기
spring을 통해서 게시판을 짤 수 있다는건 RDBMS를 DB로 두고 CRUD를 짜고, 세션과 쿠키를 활용하고, 적당한 자바스크립트를 활용(제이쿼리일수도있고)하는 정도겠죠? 저도 국비학원 끝났을때 그정도였던거 같습니다.
사실 이 수준에서는 공부를 다 해야합니다. 진짜 말 그대로 다 해야해요.. JAVA 디자인 패턴이랑 JAVA OOP의 개념과 활용을 공부해야하고요. 단순히 변수, 반복문, 조건문, 클래스, 상속에서 끝나는게 아니라 생성자, 은닉, 배열, 다형성, 추상클... 더 보기
음 si가 야근 없다는건 사실 뻥일 가능성이 농후하고요.
spring을 통해서 게시판을 짤 수 있다는건 RDBMS를 DB로 두고 CRUD를 짜고, 세션과 쿠키를 활용하고, 적당한 자바스크립트를 활용(제이쿼리일수도있고)하는 정도겠죠? 저도 국비학원 끝났을때 그정도였던거 같습니다.
사실 이 수준에서는 공부를 다 해야합니다. 진짜 말 그대로 다 해야해요.. JAVA 디자인 패턴이랑 JAVA OOP의 개념과 활용을 공부해야하고요. 단순히 변수, 반복문, 조건문, 클래스, 상속에서 끝나는게 아니라 생성자, 은닉, 배열, 다형성, 추상클래스, 인터페이스, 스택, 큐, 맵, 스트림, 예외처리, 쓰레드와 멀티쓰레드 등.. 실무에서 활용하는 자바의 OOP 철학에 대한 활용방식에 대해 익숙해져야합니다. 게다가 지금 Spring버전이 si에서 많이 쓸 전자정부 기준으론 4버전대, 실제 최신버전은 5버전대에 스프링 부트도 2.2 버전 이후가 나오고 그렇죠. 변화가 빼 빠른 프레임워크고 프레임워크의 활용과 개념에 대해 잘 알아야합니다. 빌드도 메이븐과 그래이들을 쓸거고..
아마 톰캣을 비롯한 웹서버와 HTTP통신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도 필요할거구요
그리고 좀 더 지속적으로 개발자로 살아가기 위해서는 결국 컴퓨터 공학이론의 기초를 섭렵해야해요. 컴퓨터구조,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의 이해와 활용,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정도는 이론을 잘 배워둬야 하는거 같아요. 저도 이걸 틈틈이 공부중이고(저도 비전공 국비출신입니다)
그 다음으로 해야하는건 자기가 프론트엔드로 갈건지, 백엔드로 갈건지, AWS 아키텍쳐를 포함한 데브옵스를 할건지 그런걸 선택해야 하는거 같습니다. 솔직히 다 하는건 어려워요.. 자기한테 맞는 쪽을 가는게 좋지않나. 중요도있게 공부해야하는것도 다르고요. 어쨌든 저는 실무들어가기전에 컴공기초나 정보처리기사수준의 이론공부 + 자료구조 알고리즘 공부해보시면 좋을거같아요.
개발자가 이런공부해야한다 저래야한다 너무 말이 많고, 뭘 공부해야할지모르겠고 조바심은 엄청 나는데.. 어쨌거나 컴공 기초지식은 무조건 필요하다.. 뭘 공부해도 거기서 출발한다. 이런 느낌입니다.
화이팅입니다
spring을 통해서 게시판을 짤 수 있다는건 RDBMS를 DB로 두고 CRUD를 짜고, 세션과 쿠키를 활용하고, 적당한 자바스크립트를 활용(제이쿼리일수도있고)하는 정도겠죠? 저도 국비학원 끝났을때 그정도였던거 같습니다.
사실 이 수준에서는 공부를 다 해야합니다. 진짜 말 그대로 다 해야해요.. JAVA 디자인 패턴이랑 JAVA OOP의 개념과 활용을 공부해야하고요. 단순히 변수, 반복문, 조건문, 클래스, 상속에서 끝나는게 아니라 생성자, 은닉, 배열, 다형성, 추상클래스, 인터페이스, 스택, 큐, 맵, 스트림, 예외처리, 쓰레드와 멀티쓰레드 등.. 실무에서 활용하는 자바의 OOP 철학에 대한 활용방식에 대해 익숙해져야합니다. 게다가 지금 Spring버전이 si에서 많이 쓸 전자정부 기준으론 4버전대, 실제 최신버전은 5버전대에 스프링 부트도 2.2 버전 이후가 나오고 그렇죠. 변화가 빼 빠른 프레임워크고 프레임워크의 활용과 개념에 대해 잘 알아야합니다. 빌드도 메이븐과 그래이들을 쓸거고..
아마 톰캣을 비롯한 웹서버와 HTTP통신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도 필요할거구요
그리고 좀 더 지속적으로 개발자로 살아가기 위해서는 결국 컴퓨터 공학이론의 기초를 섭렵해야해요. 컴퓨터구조,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의 이해와 활용,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정도는 이론을 잘 배워둬야 하는거 같아요. 저도 이걸 틈틈이 공부중이고(저도 비전공 국비출신입니다)
그 다음으로 해야하는건 자기가 프론트엔드로 갈건지, 백엔드로 갈건지, AWS 아키텍쳐를 포함한 데브옵스를 할건지 그런걸 선택해야 하는거 같습니다. 솔직히 다 하는건 어려워요.. 자기한테 맞는 쪽을 가는게 좋지않나. 중요도있게 공부해야하는것도 다르고요. 어쨌든 저는 실무들어가기전에 컴공기초나 정보처리기사수준의 이론공부 + 자료구조 알고리즘 공부해보시면 좋을거같아요.
개발자가 이런공부해야한다 저래야한다 너무 말이 많고, 뭘 공부해야할지모르겠고 조바심은 엄청 나는데.. 어쨌거나 컴공 기초지식은 무조건 필요하다.. 뭘 공부해도 거기서 출발한다. 이런 느낌입니다.
화이팅입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