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9/10/27 16:01:04
Name   개백정
Subject   서른넷 웹개발자 신입의 공부 방향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올해 7월 말 국비학원을 수료하고 무턱대고 si 업체에 취직했다가

학력위조에 허위경력까지 만들어 파견을 보내는 곳이라

계약서도 쓰기 전에 그만두고 이제야 정상적인 si 회사에 취직한 것 같습니다.

고졸에 학원 출신이라 실력은 스프링으로 게시판정도 짤 수 있는게 다인 것 같고 다른 교육생들과

그나마 차별점이 있다면 다른 분들보다 수업이해가 좀 빨랐고

팀 프로젝트 시에 로그인 처리를 스프링 시큐리티로 다룬 정도인데요.

취직도 이게 어필이 되서 겨우 한 것 같고.. 여튼 자료구조도, 알고리즘 지식도 일천한 상태인지라

무엇부터 공부를 해야 할지 도통 감을 잡기가 힘드네요. 회사는 11월부터 출근이고 야근은 거의 없다기에

퇴근 후에 공부를 하고 싶은데 어느 부분부터 공부를 해야 할 지 로드맵? 을 짜는 데 조언을 구하고 싶어

이렇게 질문을 드려봅니다. 일단 지금은 학원에서 교재로 쓴 웹 개발 워크북 이라는 책을 재독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웹개발자에게 어느 수준의 알고리즘이 필요한지도 궁금하네요.

수포자라 기초 알고리즘 코드만 봐도 현기증이 나지만 공부해야 한다면 해볼 생각입니다.

감사합니다.




0


멍청똑똑이
책 저자가 제가 2개월 단기 학원에서 가르쳐주신 강사분이라 반갑네요 ㅋㅋㅋ
멍청똑똑이
음 si가 야근 없다는건 사실 뻥일 가능성이 농후하고요.
spring을 통해서 게시판을 짤 수 있다는건 RDBMS를 DB로 두고 CRUD를 짜고, 세션과 쿠키를 활용하고, 적당한 자바스크립트를 활용(제이쿼리일수도있고)하는 정도겠죠? 저도 국비학원 끝났을때 그정도였던거 같습니다.
사실 이 수준에서는 공부를 다 해야합니다. 진짜 말 그대로 다 해야해요.. JAVA 디자인 패턴이랑 JAVA OOP의 개념과 활용을 공부해야하고요. 단순히 변수, 반복문, 조건문, 클래스, 상속에서 끝나는게 아니라 생성자, 은닉, 배열, 다형성, 추상클... 더 보기
음 si가 야근 없다는건 사실 뻥일 가능성이 농후하고요.
spring을 통해서 게시판을 짤 수 있다는건 RDBMS를 DB로 두고 CRUD를 짜고, 세션과 쿠키를 활용하고, 적당한 자바스크립트를 활용(제이쿼리일수도있고)하는 정도겠죠? 저도 국비학원 끝났을때 그정도였던거 같습니다.
사실 이 수준에서는 공부를 다 해야합니다. 진짜 말 그대로 다 해야해요.. JAVA 디자인 패턴이랑 JAVA OOP의 개념과 활용을 공부해야하고요. 단순히 변수, 반복문, 조건문, 클래스, 상속에서 끝나는게 아니라 생성자, 은닉, 배열, 다형성, 추상클래스, 인터페이스, 스택, 큐, 맵, 스트림, 예외처리, 쓰레드와 멀티쓰레드 등.. 실무에서 활용하는 자바의 OOP 철학에 대한 활용방식에 대해 익숙해져야합니다. 게다가 지금 Spring버전이 si에서 많이 쓸 전자정부 기준으론 4버전대, 실제 최신버전은 5버전대에 스프링 부트도 2.2 버전 이후가 나오고 그렇죠. 변화가 빼 빠른 프레임워크고 프레임워크의 활용과 개념에 대해 잘 알아야합니다. 빌드도 메이븐과 그래이들을 쓸거고..
아마 톰캣을 비롯한 웹서버와 HTTP통신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도 필요할거구요
그리고 좀 더 지속적으로 개발자로 살아가기 위해서는 결국 컴퓨터 공학이론의 기초를 섭렵해야해요. 컴퓨터구조,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의 이해와 활용,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정도는 이론을 잘 배워둬야 하는거 같아요. 저도 이걸 틈틈이 공부중이고(저도 비전공 국비출신입니다)

그 다음으로 해야하는건 자기가 프론트엔드로 갈건지, 백엔드로 갈건지, AWS 아키텍쳐를 포함한 데브옵스를 할건지 그런걸 선택해야 하는거 같습니다. 솔직히 다 하는건 어려워요.. 자기한테 맞는 쪽을 가는게 좋지않나. 중요도있게 공부해야하는것도 다르고요. 어쨌든 저는 실무들어가기전에 컴공기초나 정보처리기사수준의 이론공부 + 자료구조 알고리즘 공부해보시면 좋을거같아요.

개발자가 이런공부해야한다 저래야한다 너무 말이 많고, 뭘 공부해야할지모르겠고 조바심은 엄청 나는데.. 어쨌거나 컴공 기초지식은 무조건 필요하다.. 뭘 공부해도 거기서 출발한다. 이런 느낌입니다.

화이팅입니다
5
개백정
아이고..감사합니다. 예전에도 질문드렸었는데 답변 주신게 굉장히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지금 욕심으로는 풀스택을 지향하고 싶긴 한데 겉핥기 아니면 단기간 내엔 힘들 것 같네요. 일단 말씀해주신 것들이 자바 입문서에 대략이나마 나와있는 것 같아 다시 한번 봐야겠네요. 지금 보면 그래도 이해가 좀 되겠죠? ㅋㅋ 학점은행제라도 해서 학사학위를 따야하나 고민도 되구요.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멍청똑똑이
아닙니다 화이팅하십시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557 진로연구주제를 찾는데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6 대왕소 19/12/29 3930 1
8536 진로지방국립대 의대편입 vs. 모 의전원 37 열한시육분 19/12/26 7753 0
8502 진로제가 지금 알바를 해야 할까요? 6 [익명] 19/12/18 2700 0
8481 진로입사할 회사를 고민하고 있습니다. 17 [익명] 19/12/15 2856 0
8460 진로취업 조언부탁드려요 14 [익명] 19/12/13 3032 0
8432 진로영어 시험 1 [익명] 19/12/07 3079 0
8415 진로저녁있는 삶을 살고싶은데요... 5 활활태워라 19/12/05 4306 0
8395 진로세상 모든 나라에서 일해보고 싶네요 ㅋㅋ 12 오늘로도 19/12/02 3651 0
8369 진로회사선택) 통근시간 얼마나 되시나요? 31 [익명] 19/11/28 3509 0
8328 진로군생활이후 트라우마 이겨내신분들 계신가요? 6 [익명] 19/11/23 3456 0
8233 진로오답노트나 일상메모장이 공부에 중요한 포인트가 되나요?;; 12 크리스토퍼 19/11/11 3830 0
8232 진로기획업무 초심자에게 책 추천부탁드립니다 1 [익명] 19/11/11 2579 0
8186 진로인생 터진 사람 진로 질문 하나 할게요오 32 크리스토퍼 19/11/04 4800 0
8161 진로퇴사 후에도 여전한 무기력증/ 우울감이 있습니다. 7 [익명] 19/10/31 4415 0
8160 진로시험 또 봐야 하나요? [익명] 19/10/31 2556 0
8128 진로서비스기획, 이라는 직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3 [익명] 19/10/28 3544 0
8124 진로이런 경우 전 회사에서 이상하게 생각할까요? 5 [익명] 19/10/27 2988 0
8119 진로서른넷 웹개발자 신입의 공부 방향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4 개백정 19/10/27 4139 0
8072 진로회계사...해도 될까요? 19 덕후나이트 19/10/20 5068 0
8059 진로35세 인생 갈 길을 잃었습니다 8 [익명] 19/10/17 3899 0
8050 진로기혼여성분들 면접때 기혼이라고 밝히시나요...? 6 [익명] 19/10/15 4482 0
8031 진로박사수료 후 진로 상담 부탁드려요 (본문 삭제) 12 별다섯그랑호텔 19/10/13 3727 0
8012 진로벌과 파리가 빠져죽은 고깃국물을 먹어도 될까요? 22 바나나코우 19/10/11 8616 0
7987 진로선사에서는 무엇을 하나요? [익명] 19/10/05 2776 0
7941 진로이직에 관하여 4 듀공 19/09/28 3006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