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9/10/01 15:45:59
Name   고파파
Subject   개인은 디플레이션에 어떻게 대응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오늘 홍차넷에 올라온 이 글을 보고 많은 생각이 들어 질문 드립니다.
https://kongcha.net/pb/pb.php?id=free&no=9746


제 주변 자영업자들 체감하는 것도 그렇고, 저 지표들도 그렇고... 솔직히 정말 심상치 않다고 느끼고 있는데요.


디플레이션을 피할 수 없다면... 개인은 어떻게 행동하거나 재테크 방향을 잡는게 좋을까요?


요새 재테크에 관심이 있어서 이것저것 챙겨보고 있고.. 원래 이과 전공이라서 대학교 때도 경제 경영 쪽은

교양과목 하나 수강하지 못하고 전공만 들입다 파서 경제 경영은 하나도 모르는 경알못입니다.

최근에 맨큐의 경제학 읽기 시작하는데 만만치 않네요;



여튼, 디플레이션을 피할 수 없을때 개인은 지출이라든지, 특히 재테크 쪽은 어떻게 방향을 잡고 해 나가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개인은 어떻게 행동해야 하고, 재테크 방향은 어떻게 해나가는 것이 현명할 것인지... 많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고파파님의 최근 게시물


불타는밀밭
신규 투자나 자산구입을 접고, 현금 보유량을 늘리는 것이 개인차원으로는 올바른 대응책입니다.

근데 문제는 다 이러면 사회적으로 디플레를 심화시키죠...
3
AGuyWithGlasses
거시적 차원에서 큰 변화가 와버리면 개인으로는 안타깝게도 방법이 없읍니다. 뭘 해도 파도에 쓸려나가서... 다만 확률론적인 방법이라면 그냥 최대한 현금과 같은 유동자산으로 들고 계시라는 이야기밖에...
개인적 차원에서는 돈좀 모아두다 환율이 좋을때(개인적으로 장기적으로 1100원내외 정도) 달러예금에 넣어두는정도를 생각해보는게 어떠신지요.

자산시장에 대한 공부를 하셨다면, 본인의 시장판단하에 미국 지수나 금, 구리, 백금과 같은 원자재에 투자하는게 전업이 아닌 개인수준에서 한계가아닌가 싶습니다.
하우두유두
근데 조금 애매한게 예전 디플레이션때는 양적완화라는개념이 없었어요. 요즘은 일본 미국 유럽 중국이런데서 몇백조씩 양적완화 때려버리니까 소비자물가는 낮은데 부동산등 재화는 가격이 오르는 기현상이 벌어집니다.
저는 그래서 이번에도 여차저차 일본 미국이 양적완화로 돈을 찍어내서 자산가치를 올려 내리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결론은 디플레이션때문에 집을 팔고 현금보유하자는 조금 너무 가신거 같고.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해서 자산을 보유하시는게 좋겠네요.
물론 저는 집 올인이지만:
1
소노다 우미
해외투자가 답입니다 미국이 최고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666 경제연말정산 시즌 ㅡ 작년에 얼마나 소비하셨나요? 5 호타루 20/01/23 5029 0
8640 경제운전자보험 질문입니다 3 헬리제의우울 20/01/17 3516 0
8628 경제중국 부채 폭탄 터질까요? 5 흥차넷 20/01/13 4365 0
8599 경제서울에 부동산 투자 vs 계속 오르는 공룡기업의 주식 사기 16 [익명] 20/01/08 3698 0
8565 경제대포통장 관련 연락이 왔는데 금융관련해서 잘 아시는분 계신가요? 28 [익명] 19/12/31 5100 0
8458 경제차량 블랙박스 보조배터리 설치 vs 순정 배터리 교체 3 세나개 19/12/12 5135 0
8422 경제돌 선물 질문입니다 2 헬리제의우울 19/12/06 3586 0
8416 경제중국이 잘살게 된 이유가 뭔가요? 10 [익명] 19/12/05 3598 0
8400 경제청약저축 비과세한도로 인한 이체 지연 3 침묵의공처가 19/12/03 4785 0
8382 경제강남 오피스텔 전세에 관하여.... 3 [익명] 19/11/30 3124 0
8381 경제2탄) 집문제 질문드립니다 !!! 7 [익명] 19/11/29 3252 0
8343 경제집문제. 여러분들이라면 어떻게? 19 [익명] 19/11/25 4107 0
8331 경제적금을 잘 들어보려고 합니다!! 11 [익명] 19/11/23 3474 0
8268 경제국민연금 추가 납부 관련 5 [익명] 19/11/14 3138 0
8211 경제대출과 투자 질문좀 드려요 7 [익명] 19/11/07 3442 0
8167 경제수지구청역 vs 죽전역 아파트? 13 [익명] 19/11/01 6759 0
8162 경제종잣돈 굴리는 방법에 대한 질문입니다 12 [익명] 19/10/31 3512 0
8132 경제전세계약 관련 질문.. 2 [익명] 19/10/28 2721 0
8130 경제전세대출로 집 계약하려고 하는 해당 집이 매매계약이 된다고 합니다 6 뒹굴이 19/10/28 3577 0
8129 경제주택 청약을 한번 해보고 싶습니다. 5 [익명] 19/10/28 3279 0
8127 경제결혼하고 같이 살 집을 마련하려고 합니다.. 34 [익명] 19/10/28 4552 0
8021 경제대학생 신분 부모동의 없이 대출 받을 경로 있을까요? 1 [익명] 19/10/12 2788 0
8020 경제대학생 신카쓰면 신용등급 도움되나요 13 [익명] 19/10/12 3177 0
8007 경제차량 다이렉트 보험 질문드립니다. 2 눈팅중 19/10/10 3461 0
7999 경제은행 OPT 발급관련 문의입니다. 12 켈로그김 19/10/08 5345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