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9/08/07 09:23:49
Name   [익명]
Subject   신혼부부 추석 대비 조언 부탁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제 결혼한 지 6개월이 된 신혼 부부 남편 입니다.

약 1달 정도 남은 추석 명절 보내는 것 때문에 고민이 많습니다ㅠ

먼저 와이프 쪽 가는건 아무런 문제가 안됩니다.
와이프네 쪽은 명절때 딱히 대가족이 모이지도 않고
그냥 장인,장모님 댁 가서 처남이랑 같이 식사하면 될 정도로 간단합니다.

그런데 문제는 저희 집입니다.

저희집은 아직 명절을 큰아버지댁에서 보냅니다.

큰아버지댁에 저희 가족, 큰고모, 작은고모 가족, 할머니까지 다 모여서
식사를 하고 명절을 치룹니다.(제사는 안 지냅니다.)

결혼식 전 설날 때 제 와이프를 데리고 가서 모든 친척들에게 먼저 인사를 시켰었는데요.
평소에는 큰고모 작은고모도 큰어머니, 저희 어머니와 함께 같이 정리하고
집안일을 하는데, 그날 따라 고모들이 제 와이프를 구경하느냐 정신이 없던건지,
손 하나 까딱하지 않았습니다.

말그대로 며느리들만 집안일을 하는 모습을 제 와이프가 보게 된거고,
엄청 불편해 했습니다.

하지만 설 명절은 결혼 전이었고 친척들에게는 처음 인사드리는 자리인지라
제 와이프에게는 계속 편하게 앉아 있으라고만 했습니다.

문제는 이번 추석인데, 와이프가 벌써부터 스트레스를 받아 합니다.

일단 대가족이 모이는 것 부터가 불편한데, 거기서 저희 어머니가 집안 일을 하고 있으면
자기가 너무 불편하다는 겁니다.(같이 도와드리려고 액션을 취하면 고모들이 못하게 합니다. 그럼 자기들도 좀 하지...)

이런 상황에서 명절을 가장 현명하게 보내는 방법이 어떻게 될까요?
사실 추석때 해외여행 스케쥴을 잡아서 피해볼까 했는데, 결혼식 후 친척들을
처음 뵙는 자리인지라 이번에는 가서 인사드리려고 합니다.

질문을 간단하게 요약 하면

1. 저희 집(시댁) 은 명절에 대가족이 모입니다.
2. 그런데 집안일을 며느리들만 합니다.(저희 어머니, 큰어머니)
3. 제 와이프가 그 공간에 있으면 너무너무(심적으로) 불편함을 느껴 합니다.
4. 추석 때 큰집에서 어떻게 대처하는게 가장 현명할까요ㅠㅠ

인생 선배님들 조언 부탁 드립니다.



0


소원의항구
뭐든지 처음에 "선"을 잘 그어놓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내분과 다 솔직하게 터놓고 이야기를 하시는게 필요해요.

집안 분위기는 이렇고, 저렇고 남편인 나는 이 부분에 대해 마음에 안들지만 또 어떻게 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결혼 후 첫 행사이니 이번 한번만 일단 가보자. 내가 최선을 다해 커버를 하고 여기서 영 아니다 싶으면 무슨 욕을 먹더라도 앞으로 행사 참석을 안할수 있도록 막아주겠다. (그리고 진짜로 막아주셔야 함..)
3
남편 되는 글쓴님도 같이 도와서 일을 하는 방향으로 가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것 같아요.
요즘은 남자들도 다 하는 추세에요~ 하면서 어른들한테도 살갑게 말씀하시고, 고모부나 또래의 남성 분들을 독려하셔서 같이 해서 빨리 끝내자~ 다들 고생하지 않냐~ 우리 다 치우고 같이 영화나 보러가는 건 어떠냐~ 하면서 새롭게 환기를 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문화는 만들어가는 것이니까요. 누구 하나가 고생하는 것이 당연한 것이 아니니, 배려의 차원에서 같이 하자는 분위기로 간다면 거부감 없을 것 같아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자 어르... 더 보기
남편 되는 글쓴님도 같이 도와서 일을 하는 방향으로 가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것 같아요.
요즘은 남자들도 다 하는 추세에요~ 하면서 어른들한테도 살갑게 말씀하시고, 고모부나 또래의 남성 분들을 독려하셔서 같이 해서 빨리 끝내자~ 다들 고생하지 않냐~ 우리 다 치우고 같이 영화나 보러가는 건 어떠냐~ 하면서 새롭게 환기를 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문화는 만들어가는 것이니까요. 누구 하나가 고생하는 것이 당연한 것이 아니니, 배려의 차원에서 같이 하자는 분위기로 간다면 거부감 없을 것 같아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자 어르신들이 반대하신다는 분위기다? 그럼 당연히 아내분을 보호하셔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럼 그냥 웃으면서 이 번만 참고 다음부턴 가지 마셔요. 아내분의 스트레스받지 않도록 잘 보호해주세요. 여행 일정이 잡혀서요~ 따로 인사드리겠습니다 하는 식으로 연락드리고 피하셔요. 만약에 명절을 피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상황이라면 하다못해 남편분께서는 잘 도와주셔야 할 것 같아요. 가만히 있으라는 말에 가만히 있으면 아내분은 당연히 상처받아요. 부모님과 친척분들은 아무리 지지고 볶아도 가족이지만, 아내는 가족이 아니게 될 수 도 있는 관계잖아요. 소중한 사람일수록 아껴주세요. 같이 의논해서 조율해가실 수 있음 좋겠어요.
8
파란아게하
김건모 님 너에게 가사 생각나네용
소중한 사람일수록 아껴둬야 하는걸
아 그 아껴가 아닌강 헤헤헿
저희집이 큰집입니다. 저는 장손의 장녀로서 초1부터 설거지를 하고 초3부터 과일을 깎았지요.

지금까지도 큰할머니(제 친할머니)의 기일에 아버지의 사촌들(저에게는 친할아버지의 - 동생의 - 아들, 딸이시므로 오촌 당숙, 당고모)까지 큰어머니 제사다~~ 하면서 들르시는 집에서 자라서(서울입니다..) 결혼을 했는데 저의 시댁은 명절날 일어나면 시부모님과 남편과 저밖에 없더랍니다.. 편하긴 한데 허전하기도 하고...

제 배경은 여기까지 설명드리고 큰집 큰손녀로서 몇 십년 관찰한 바에 따르면, 그나마 가장 나은 해결책은 남편분께서... 더 보기
저희집이 큰집입니다. 저는 장손의 장녀로서 초1부터 설거지를 하고 초3부터 과일을 깎았지요.

지금까지도 큰할머니(제 친할머니)의 기일에 아버지의 사촌들(저에게는 친할아버지의 - 동생의 - 아들, 딸이시므로 오촌 당숙, 당고모)까지 큰어머니 제사다~~ 하면서 들르시는 집에서 자라서(서울입니다..) 결혼을 했는데 저의 시댁은 명절날 일어나면 시부모님과 남편과 저밖에 없더랍니다.. 편하긴 한데 허전하기도 하고...

제 배경은 여기까지 설명드리고 큰집 큰손녀로서 몇 십년 관찰한 바에 따르면, 그나마 가장 나은 해결책은 남편분께서 최대한 집안일에 참여하시는 것이다..에 동의합니다.

집안일 자체를 없애기는 어려워요. 뭐라도 억지로 없앴다가는 시대착오적이지만.. 며느리 잘못 들어와서..라는 이야기를 들을 수도요..ㅠㅠ 그깟 이야기 들으면 그만이다 싶으실 수 있겠지만 아내분으로서는 너무 억울하죠..ㅠㅠ

그냥 남편분이 아내분과 최대한 비슷하게 일하려고 노력하는 것 - 이걸로 아내분의 기분을 달래주는 정도..가 최선이지 싶어요. 큰댁 식구들께서 너는 남자가~~ 이러면서 눈치를 너무 많이 주지는 않는 분들이시길 바라겠습니다 ㅠㅠ

그냥 묵묵히 감내해나가야 하지 싶어요. 남편분도 아내분도요.
1
다람쥐
어쩔수 없더라고요 저희 시댁도 할머니가 살아계셔서 큰집에서 모여요. 그 집에선 그런 문화로구나 하고 이해하고 있어요. 며느리들만 일하고요 ㅋㅋㅋ큰어머니도 며느리들 엄청 잡는 분이시라 ㅋㅋㅋ
남편이 일하는것도 어르신들이 안받쳐주니 안되더라고요 다른 며느리들도 다 똑같이 하는데 우리 부부만 뭐 다르게 한다고 바뀔리도 없고요
저같이 손자며느리찌끄레기가 뭘 할 수 있겠어요 걍 일년에 두번이니 제가 맞춰드려야죠
냉정하게 말해서 시댁도 아닌 큰집 명절 문화는 손자와 손자며느리가 그 윗 대를 바꿀 수는 없는 것 같습니다. 앞으로는 괜찮을거라는 기대감을 심어주는게 공치사가 될 수 있어요
아내분께도 할머니 돌아가시면 안만날 분들이니 몇년만 지나면 된다는걸 인지시켜주세요
2
다람쥐
그러니까 뭐 대판 싸워서 뒤집어엎는다 앞으로 큰집식구들 얼굴안본다 이런건 현실적인 대안이 아니고
생각해보면 어머님들도 할머니 밑에서 며느리로서 시집살이를 묵묵히 하신거잖아요 고모들(시누이들) 손놓고 있는거 몇십년동안 보신거고요
글쓴님 부부로 인해 어머님들까지 해방되는건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인터넷에선 있을 수 있지만 주변에 직접 본 적 없는- 일이고, 고모들이 집에와서 일하는것도 지금와서 기대하기 어려운 일이에요....
제일 현실적인건 명절을 요리조리 피해서 글쓴님과 그 아내분만 대소사에서 다 빠지고 일을 안하는건데
그럼... 더 보기
그러니까 뭐 대판 싸워서 뒤집어엎는다 앞으로 큰집식구들 얼굴안본다 이런건 현실적인 대안이 아니고
생각해보면 어머님들도 할머니 밑에서 며느리로서 시집살이를 묵묵히 하신거잖아요 고모들(시누이들) 손놓고 있는거 몇십년동안 보신거고요
글쓴님 부부로 인해 어머님들까지 해방되는건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인터넷에선 있을 수 있지만 주변에 직접 본 적 없는- 일이고, 고모들이 집에와서 일하는것도 지금와서 기대하기 어려운 일이에요....
제일 현실적인건 명절을 요리조리 피해서 글쓴님과 그 아내분만 대소사에서 다 빠지고 일을 안하는건데
그럼 시댁에서 더욱 고립되는건 글쓴님 아내분입니다. 다른 며느리들(어머님들 및 손자며느리들)이 정말 일하는게 기분좋고 아무생각없어 하는게 아니거든요 불합리하다고 생각하지만 어쩔 수 없는겁니다. 글쓴님 아내분이 일을 안하시면 그 부담이 다 다른 며느리들에게로 전가되니, 며느리들간 사이는 더 나빠져요.
저는 고모님들이랑은 사이 나빠도 되지만 동기인 손자며느리들끼리는 척지면 안되고 뭉쳐야된다고 생각합니다. 그게 결국 큰집에서 며느리의 위세에 보탬이 됩니다.
사나남편
현실적으로 어쩔수 없고요. 그냥 1년에 두번인데요뭐...그냥하면됩니다. 시간지나면 그것도 안하게되니 시간지나면 없어질거에요.
1
언제까지 대가족이 다 모일것도 아니니
이번 기회에 명절에는 질문자님 가족끼리만 모이는게 어떠신지.
아내분입장에서는 남편 부모님댁이 시댁이지 다른 친척 분들은 사실상 남이나 마찬가지일거라
1
'며느라기'라는 웹툰 생각이 나네요. 저라면 제가 할래요. 아예 정면으로 이런 부당하다며 부딪히는 혁명은 저 같은 소심이에겐 어렵고 ㅋㅋㅋ 그냥 제가 해버리겠습니다. 남자가 그런 거 하는 거 아니다 같은 낡은 소리 정도에는 그래도 맞설 수 있어요. 실제로도 결혼은 안 했지만, 이미 제가 하고 있고.
1
키티호크
불편하다고 남편에게 불평만 하면 답안나옵니다. 저쪽도 이쪽 또한 불편한 것을 이해하고 존중할 지대를 잘 만드시길
1

위에 ‘며느라기’ 벌써 말씀해주셨네요. 그럼 전 최근 논란 속에 종영 된 ‘이상한 나라의 며느리’ 추천드립니다.

프로그램 속에 나오는 남편 분들도 본인이 부인 열심히 일할 때 소파에만 앉아있는 줄 모르고 있다가, 부인 힘빠지는 소리 본인이 하는 줄도 모르고 있다가, 카메라에 찍힌 본인 모습을 보더니 놀라서 “제가 왜 저러고 있지요?” 하더라구요.

힘내세요. 두 분 다요. 결국 가정의 중심은 부부니까요. 두 분이 모두 행복한 길을 찾아나가시길.
하우두유두
대신 보상차원에서라도 남편분이 명절전 집안일 올인 이런건 어떨까요?
못하게 해서 못한다 그런거 없습니다.
저희는 거꾸로 시댁에서는 가족이 안 모여서 시어머니가 미리 싹 만들어 놓고 그냥 이벤트 삼아 송편이나 만두 정도 같이 모여 이야기 하면서 빚는 정도만 하는데, 처가에 가면 음식 장난 아니게 합니다.
장모님이랑 처남댁, 제 아내만 열심히 하는거 제가 끼어서 하기 시작하니까 처음에는 장인어른이 아니 왜 남의 귀한 장손에게 이런거 시켜.. 라고 하셨는데, '저희는 원래 같이 해요' 라면서 (실력은 없지만) 같이 하는 시늉이라도 하니까 장인어른도 주섬주섬 같이 옆에서 같이 하는 시늉 하십니다. (그... 더 보기
못하게 해서 못한다 그런거 없습니다.
저희는 거꾸로 시댁에서는 가족이 안 모여서 시어머니가 미리 싹 만들어 놓고 그냥 이벤트 삼아 송편이나 만두 정도 같이 모여 이야기 하면서 빚는 정도만 하는데, 처가에 가면 음식 장난 아니게 합니다.
장모님이랑 처남댁, 제 아내만 열심히 하는거 제가 끼어서 하기 시작하니까 처음에는 장인어른이 아니 왜 남의 귀한 장손에게 이런거 시켜.. 라고 하셨는데, '저희는 원래 같이 해요' 라면서 (실력은 없지만) 같이 하는 시늉이라도 하니까 장인어른도 주섬주섬 같이 옆에서 같이 하는 시늉 하십니다. (그래도 처남은 안합니다. TV만 보고 있음.)

명절 음식 차리는거 줄어들긴 하지만 어쩔 수 없는 한국 문화이고, 이게 싫으면 본인이 그걸 깨던가 아니면 이민을 가던데 하는 수 밖에 없죠.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786 가정/육아생모를 찾으려면 어떻게 하나요?? 5 [익명] 19/09/01 3414 0
7756 가정/육아친동생이랑 사이가 어색합니다. 조언부탁드립니다. 2 쌈장 19/08/28 5878 0
7752 가정/육아웅진 플레이도시 추석 연휴에 사람 많을까요 8 토비 19/08/27 4985 0
7743 가정/육아부모님을 어떻게 설득시켜야 할까요? 11 [익명] 19/08/26 3477 0
7670 가정/육아비비큐 메뉴 추천 부탁드립니다 6 토비 19/08/17 3742 0
7657 가정/육아레고 기본 블럭을 중고로 살 수 있을까요? 6 토비 19/08/16 5488 1
7636 가정/육아주방의 혁명을 맛보고 싶습니다. 27 [익명] 19/08/11 4512 0
7614 가정/육아핸드폰 연락처 이름이 덮어씌어지는 경우가 있나요? 5 [익명] 19/08/07 3256 0
7607 가정/육아신혼부부 추석 대비 조언 부탁 드립니다. 13 [익명] 19/08/07 4725 0
7583 가정/육아모바일 청첩장용 사진 보정 어디에 맡기면 좋을까요? 7 TheORem 19/08/03 3808 0
7542 가정/육아유아용 세발자전거에 대하여 문의 드립니다. 5 arch 19/07/27 5252 0
7527 가정/육아슬로우쿠커 요리할 때 재료를 내열그릇 안에 담아서 넣어두 되나요 3 무적의청솔모 19/07/25 4511 0
7469 가정/육아상가 다녀와서 소금 뿌리시는 집 계신가요? 44 메존일각 19/07/14 4552 0
7414 가정/육아스테인리스 티스푼 첫 사용 전 관리 치유 19/07/02 3264 0
7376 가정/육아화장실 습기 제거에는 뭐가 좋나요? 6 [익명] 19/06/25 4528 0
7373 가정/육아돌 지난 아기용 아기띠/힙시트 추천 부탁드려요. 13 [익명] 19/06/24 3886 0
7370 가정/육아차를 알지 못합니다. 가르침을 주십시오. 119 문학소녀 19/06/24 9739 3
7328 가정/육아진지하게... 퇴사해야 할까요 견뎌야 할까요? 18 [익명] 19/06/17 4115 0
7294 가정/육아24개월 카시트 문의드립니다. 15 메디앙 19/06/12 5235 0
7283 가정/육아자녀 교육에 대해서 제가 좀 느긋한가요? 26 [익명] 19/06/11 4702 0
7273 가정/육아어른들이 결혼을 빨리 하라는 질문에는 뭐라고 대답하는게 맞나요? 19 [익명] 19/06/09 3750 0
7246 가정/육아가구(책장) 필름(껍질) 벗겨짐 해결 방법 12 토비 19/06/05 12471 0
7245 가정/육아닌텐도 스위치를 돌려받아야할거같은데요.... 8 [익명] 19/06/05 2934 0
7204 가정/육아화장실 청소가 너무 싫습니다. 간편한 방법 없을까요? 21 [익명] 19/05/29 5520 0
7198 가정/육아휘슬러 압력밥솥, 여러분의 선택은? 28 문학소녀 19/05/27 6676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