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6/01/05 22:22:25
Name   델핑
Subject   무선 공유기의 전자파는 인체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까요?
원래 공유기를 사용하지 않다가,
얼마 전에 종일 일하는 자리와 제 방 PC 옆 에 공유기를 설치했습니다. (몸에서 한 30~50센티 됩니다)

iptime604 제품이고  2.4  와 5 Ghz 두 가지 무선이 잡히구요
그런데 기분 탓인지 심리적인 것인지 공유기를 설치하고 나서
뭔가 피로한 느낌이 더 나고,
공유기에 가까운 쪽  몸이 근질거리거나 저릿저릿한 느낌도 좀 듭니다.
물론 가려운 건 그냥 심리적인 느낌 같습니다.


그래서 검색을 해보니  일상에서야 당연히  스마트폰, PC , 그 외의 온 갖 전자제품 들 때문에
전자파로 뒤덮인 삶을 살고 있기에  고작 공유기 한대  몸 근처에 둔다고 딱히 나빠질 것은 없다고 보이는 게 정설 같습니다만
반대로 공유기의 전자파는 더 해롭다는 얘기들도 보이고 뉴스에도 언급되더라구요.

그냥 심리적인 것인지... 실제로 무선 공유기 자체가  저 처럼 30센티 거리에 종일 있다면
정말로 몸에 해로운 것인지 궁금합니다.



0


April_fool
귀에 딱 붙여서 사용하는 휴대전화의 최대 법적 무선출력이 250mW입니다. 근데 무선랜의 최대 법적 무선출력은 100mW예요. 반도 채 안 되지요.
또, 휴대전화의 경우에는 전자파 흡수율(SAR)이라는 것을 계산합니다. 근데 전자파라는 것은 거리가 멀어지면 힘이 급격히 떨어집니다. 그래서, 전자파 흡수율을 계산하는 것은 인체로부터 20cm 이내에서 사용하는 물건일 경우로 한정됩니다. 그 이상 떨어지면 이 정도 출력의 경우에는 별 의미가 없다 이거죠. 그걸 감안하면, 공유기 전자파가 인체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지 저는 회의적입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
아무래도 강하지만 짧게 쓰는 휴대폰에 비해서
책상 옆에두고 종일 앉아있어야하는 공유기이다보니 신경이 쓰여서요
눈부심
April_fool님께서 무선랜의 최대 법적 무선출력이 휴대전화보다 훨씬 적다고 하시니 한마디 덧붙이면 옛날에 읽은 기사인데요. 영국의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30년에 걸친 핸드폰전자파의 유해성에 대한 연구를 집대성하고 내린 결론이 \'유해하다는 증거가 없다\'는 것이었어요. 연구결과의 객관성을 위해 애를 많이 쓴 듯했구요. 한마디로 유언비어라는 결론이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자파에 대한 염려를 떨칠 수 없는 이들을 위해 빠른 성장을 겪는 아이들에 대한 유해성은 아직은 \'유해성 무\'라는 확정적인 결론보다는 더 심도있는 연구의 길을 열어놓는다 정도로 결론을 내렸었어요.
예 답변 감사합니다.
제가 잔 걱정이 많은 타입이라 예민했나보네요 흐흐
눈부심
그래도 단정짓기 좀 그러니까 제가 좀 더 알아보고 오께요=3
눈부심
http://www.ipsonet.org/proceedings/wp-content/uploads/2012/07/Paper-11-Cell-Phones-Electromagnetic-Radiation-and-Cancer.pdf
핸드폰 전자파의 유해성(암 같은..)을 연구한 사람들의 지원소스와 그 결과를 비교한 건... 더 보기
http://www.ipsonet.org/proceedings/wp-content/uploads/2012/07/Paper-11-Cell-Phones-Electromagnetic-Radiation-and-Cancer.pdf
핸드폰 전자파의 유해성(암 같은..)을 연구한 사람들의 지원소스와 그 결과를 비교한 건데요. 영리회사들이 펀드를 제공해서 이루어진 핸드폰전자파 유해성연구에서는 85.71%가 상관관계가 없다로 나왔고 정부가 펀드를 제공한 연구에서는 81.82%가 상관관계가 없다고 나왔는데 대학, 병원, NGO등의 펀드를 제공받아 이루어진 연구에서는 66.67%가 상관관계가 없다는 결과가 나왔다고 하네요. 나머지 퍼센트는 상관관계가 있거나 결론을 내릴 수 없다는 항목으로 분류되는데 인과관계항목은 없어요. 무선랜은 아니지만....
누가 펀드한 연구냐에 따라 의미있는 차이가 났다고 써놓았긴 해요.
the government found no correlation in 81.82% of the studies; mobile phone companies found no correlation in 85.71% of the studies; and, universities, hospitals, and NGOs did find a correlation in 66.67% of the studies.
번거롭게 해드려서 거듭 죄송하고 감사드립니다.
레지엔
현재 스마트폰이 관련해서 가장 각광받는 연구소재인데, 스마트폰이 \'머리에 붙여서 쓰고\' \'자주 쓴다\'라는 특성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으로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크게 잡히지를 않습니다. 통계적 유의성이 확보된 연구는 꽤 있습니다만... 그 점에서 파워 자체가 낮은 무선공유기 정도로는 가시적인 영향을 측정하는건 거의 무리라고 봅니다. 스마트폰보다 한참 에너지가 높은 고압송전기/전선 근처조차 인간 대상 연구에서는 애매모호한 결과들이 나올 정도라.
아....감사합니다. 역시 제 기우였군요 흐흐; 맘 편히 사용하겠습니다.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87 기타생일선물에 관해 논하고싶습니다. 4 RyLiA 16/01/04 4577 0
688 IT/컴퓨터핸드폰 구매 트렌드가 궁금합니다. 8 kpark 16/01/04 4141 0
689 철학/종교책 추천 부탁드립니다.(라캉 들뢰즈 관련) 20 오렌지플래닛 16/01/04 7951 0
690 기타방청객 소리가 없는 일상 미드 있을까요? 5 새벽 16/01/05 4761 0
691 IT/컴퓨터서피스프로4 & 아이패드프로 펜질문입니다. 15 versa 16/01/05 6377 0
692 진로기계공학과 기계설계 취업할때 같은 기계계열로 되나요?? 4 불꽃늑대 16/01/05 8972 0
693 의료/건강무선 공유기의 전자파는 인체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까요? 9 델핑 16/01/05 26507 0
694 법률회사에서 행사를 1박으로 짰을 때, 반드시 참석해야 하나요? 20 매일이수수께끼상자 16/01/06 5272 0
695 IT/컴퓨터사파리 크로스브라우징 7 얼그레이 16/01/06 7377 0
696 진로내일 갑자기 웹에이전시 면접이 잡혔는데요. 8 얼그레이 16/01/06 8438 0
697 기타[정치]이번 북한 핵실험 관련해서 11 하늘밑푸른초원 16/01/06 3243 0
698 의료/건강카베진이란 약은 어떤 약인가요? 4 에밀리 16/01/07 9765 0
699 게임 와우) 죽기에게 재봉이란? 15 엄마곰도 귀엽다 16/01/07 7936 0
700 IT/컴퓨터노트북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40 레지엔 16/01/07 4968 0
701 기타향좋은 와인 추천 부탁드립니다~ 9 wind03 16/01/07 3649 0
702 의료/건강맥주 vs 탄산음료. 어떤게 더 안좋을까요? 7 리니시아 16/01/09 6674 0
703 의료/건강성인이 소아과 가도 진료해 주나요? 2 류세라 16/01/10 12521 0
704 IT/컴퓨터모니터 hdmi 연결 질문입니다. 6 kpark 16/01/10 5902 0
705 진로PEET준비생/약대생/약사분 계신가요? 9 하얀늑대 16/01/11 10516 0
706 의료/건강하루에 포도주를 반컵씩 마십니다. 2 관대한 개장수 16/01/11 3954 0
707 의료/건강우물물을 마셨는지 물어보는 이유 2 April_fool 16/01/11 3687 0
708 가정/육아오븐을 사려고합니다 6 2막4장 16/01/11 5397 0
709 의료/건강잠을 잘못자서 목이 아파요. 23 눈부심 16/01/12 9952 0
710 의료/건강피지, 제거 안하는게 나을까요? 5 관대한 개장수 16/01/12 3885 0
711 기타제가 진상 구매자인가요?? 17 매직파이 16/01/12 3750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