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9/03/11 09:19:15
Name   곰돌이우유
Subject   내 본래의 성격이란 것이 있을까요?
저는 꽤 오랜시간 고민한 주제가 있어요. "자연스럽게, 나 답게 살고싶다."라구요. 본래의 내 모습에서 나오는 행동과 취미와 특기를 기르면 좀 더 세상을 재미있게 살 수 있을 것 같고, 살아가며 사람과의 관계에서도 덜 스트레스 받으며 살 수 있을거라 생각했거든요. 그런데 최근들어 걱정이 생겼습니다. 내가 그토록 오랫동안 찾던 자연스러운 모습이 내가 기대했던 것과는 달리 부정적인 모습이면 어떡하냐는 것입니다.

저는 자기중심적인 사람이라 생각합니다. 남 신경 안쓰고 나 할거 할 때에 즐거움을 느끼더라구요. 그것이 내 일에 집중하는 능력이 큰 것이라 생각하면 다행이겠지만, 관계에서 다른 사람을 전혀 신경쓰지 않음으로서 타인에게 불쾌감과 스트레스를 주는 때가 오기도 하고, 그러한 모습에 타인으로부터 멀어지거나 소외되는 결과를 많이 봐 오곤 했습니다. 그래서 주변에 사람이 없습니다. 연락하고 관계하는 친구도 많지 않구요. 이것을 사람과의 관계가 좁은 것이다 라고 생각할수도 있겠지만, 제가 볼 때에는 사람과의 관계를 오래 지속하려는 욕구나 생각이 전혀 없는 것 같습니다. 언제나 모든 일과 생각은 혼자서 하기 바쁘죠.

오랫동안 바래왔고 꿈꾸워왔던 나 다운 모습이 이렇게나 외로워지는 모습이라면, 앞으로 저는 어떻게 생각하고 행동해야할지에 대한 고민이 생깁니다. 내가 편하게 느끼고 즐겁다고 느끼는 상황은 다른 사람을 생각치 않고 내맘대로 하는 관계의 모습이라니.. 그런데 웃긴건, 혼자있을 때는 외로움을 탄다는 겁니다. 혼자는 외로워하면서 사람과의 관계에 있을 땐 내맘대로 행동하려 한다니 말이죠.



2


사나남편
애 키우면서 느끼는건데 본성이라는게 분명 존재합니다.
흥차넷
저도 딱 이 글을 쓰려고 했는데 ㅎㅎㅎㅎ
다람쥐
본성이라는게 분명 있지만 본성대로만 살 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말씀하신대로 사람이란 완전히 혼자 살 수는 없고 외로움을 타면서 동시에 자기에게 좋은 것을 끊임없이 추구하니까요
이에 타고난 본성을 왜곡시키지는 않되 다른 사람과의 관계, 사회에서의 나의 역할 등을 고려해 본성을 조정해나가는 것이 “성장”이라고 생각합니다
곰돌이우유
"성장"이라는 단어가 참 마음을 편하게 해 줍니다. 타고난 본성을 왜곡시키지 않되 사람과의 관계와 사회에서 나의 역할들을 고려하라는 말씀을 머릿속에 넣어보려구요 ^-^
잘살자
자신의 모습에 대해서 고민하는 건 당연히 해야할 자아를 찾는 과정이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본성이란 건 존재하고 그에 따른 즐거움을 느끼는, 혹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대처하는 방법도 다를꺼라고 봅니다. 하지만 사회생활을 위해서 본래 성격과는 다른 성향을 개발/발전시켜서 사용할 필요도 있어보입니다.
저 또한 이런 부분을 많이 고민했었고 여전히 노력 중입니다. ^^
곰돌이우유
저는 저의 성향대로 사는 것에만 너무 큰 점수를 줬던 것 같아요. 그리고 내가 잘하거나 자연스럽게 할 수 있는 역할이나 모습을 하는 것은 정말 낮은 점수를 줬구요. 그래서 이러한 고민을 하고 있었던 것은 아닐까? 라는 생각을 해 보게 돼요.
조선일보최고야
본성은 있지만 사회화를 통해 정제가 되었고 이게 지금의 성격이 아닐까이?
곰돌이우유
저는 학창시절 사회화 과정에서 '평범'하지 못했기 때문에 그 사회화된 내 모습을 부정적으로 보았던 것 같아요. 그래서 우선은 다시 본래의 나로 돌아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을 했던 것 같구요. 그 과정에서 본래의 나라는 모습을 이상적으로 그렸던 것 같아요.
파란세포
그래서 사회적가면이 필요한거겠지요 저나 곰돌이님이나 이 가면을 잘쓰지도 못할뿐더러이게 꼭필요한건가 의문도 생기고 자꾸 쓰다보면 이게 원하는 내가 아닌데 전혀 알지못하는 자아가 되가는 기분이 들기도 하고요
가면과 내 본래 자아를 잘 분리하는게 중요한거 같아요 그리고 가면따윈 안써도 절 받아주는 사람들이 정말 고맙고 소중한거구요
곰돌이우유
저는 사회화된 '가면'을 너무 부정적인 것으로만 받아들였던 것 같아요. 내 본래에 다른 사람에게 친절한 사람이 아니더라도, 사람관계에선 때론 친절하게 대할 수도 있는게 상식적인 것인데, 내가 다른 사람에게 친절한 가면을 썼다고 해서 부정적으로 바라볼 필요는 없잖아요.
그렇지만 파란세포님께서 말씀하셨던대로 내 본래의 모습에 가깝더라도 가깝게 지낼 수 있는 사람이 있다면 참 고맙고 소중하다는 생각이 들 것 같아요.
본래의 성격은 기질 같고
거기에 후천적 경험이 더해지면 성격이되는거 같네요.
의료넷이라 추천을 드리기가 민망하고, 태클이 두렵지만
애니어그램 추천드려 봅니다.

본래의 성격을 파악하고, 이 성격이 불온전하면 어떠한 성격이 발현되는지,
긍정적으로 발현되면 어떠한 성격이 되는지,
본래의 성격에 어떠한 날개를 가지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어서요.
곰돌이우유
예전에 애니어그램을 해본 적이 있는데 결과가 기억이 나지 않는군요. 침착하고 논리적인 사람 정도로 해석되었던 것 같아요.
본래의 성격은 기질 같고, 거기에 후천적 경험이 더해지면 성격이 된다는 해석이 쉽게 와닿아요. 제가 질문해서 얻고자 했던 정보들 중에 하나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아마, 저는 본래의 나를 찾고있는 이유는 현재의 성격이 삐뚤어진 후천적 경험에 의해 발현되었다고 가정하고, 다시 본래의 기질로 돌아가 다시 성격을 만들어내고싶다는 생각을 했었던 것 같아요.
어 저 이거 읽던 책 하나 추천드리고 싶네요.
히라노 게이치로가 쓴 [나란 무엇인가]란 건데 비슷한 고민에서 나온글 같습니다
곰돌이우유
책 구입 목록에 올려뒀어요 ㅎㅅㅎ
본성이 있느냐 없느냐를 물으신다면 타고난 성격은 누구나 존재한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그 본래 성격대로 사는 것이 본인에게 편한가, 본인에게 좋은가 두가지를 생각해보면 꽤 편할 수는 있지만 생각보다 불편한 일이 자주 생길 것이고, 그다지 좋지 않을 것이다 라고 생각합니다. 바로 지금과 같이 다양한 사람과의 관계에서 본성과 본성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갈등, 이끌림 등등의 반응 때문일것입니다.
이러한 관계는 많은 경우 선택할 수 있지만, 우리가 선택하기 어려운 관계도 있습니다. 그리고 그런 관계에서 내 마음이 편안하려면 결국... 더 보기
본성이 있느냐 없느냐를 물으신다면 타고난 성격은 누구나 존재한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그 본래 성격대로 사는 것이 본인에게 편한가, 본인에게 좋은가 두가지를 생각해보면 꽤 편할 수는 있지만 생각보다 불편한 일이 자주 생길 것이고, 그다지 좋지 않을 것이다 라고 생각합니다. 바로 지금과 같이 다양한 사람과의 관계에서 본성과 본성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갈등, 이끌림 등등의 반응 때문일것입니다.
이러한 관계는 많은 경우 선택할 수 있지만, 우리가 선택하기 어려운 관계도 있습니다. 그리고 그런 관계에서 내 마음이 편안하려면 결국 본성 외에 다른 것을 따라야 할 경우가 생깁니다. 그렇다고 해서 본성을 따르지 못했다는 것을 자책할 것은 아니지요. 그 선택 또한 나의 마음이 편하기 위한 것이었다면.
다만 그 관계에 있어서는 상대성이 있는 것이니만큼 서로 조금씩 배려하는 성숙한 관계를 유지하면 더 좋지 않을까요? 배려할 수 없는 미성숙한 상대인데 그 관계를 끊을 수 없다면 이 쪽에서 더 많이 배려해야 할테고요.
곰돌이우유
"본래 성격대로 사는 것이 본인에게 편한가, 본인에게 좋은가"라는 물음이 참 좋은 것 같아요. 제가 고민했던 지점이 바로 이것이 아닐까요? 본래대로 살려고 했더니 편하긴 한데 좋진 않더라, 본래대로 살아야하나? 라는 질문으로 줄일 수 있잖아요. 길게 늘어진 글을 짧고 명쾌하게 답해주셔서 감사..
제로스
내맘대로 하는게 싫은 사람은 없죠. 외로움 전혀 안타는 사람도 없고요.
남들한테 맞춰주는게 좋은 사람도 없습니다. 그 사람들도 그거 싫어하지만, 내맘대로 하는것보다 다른사람과 함께하는게 더 좋거나, 내 맘대로 하지못하는것보다 외로운게 더 싫거나 한 것뿐입니다. 그 선을 어디긋는지가 자기 성격인 셈이죠.
곰돌이우유
오늘 이 글을 올려놓고 제로스님과 같은 생각이 들더라구요. 생각해보면 사람들은 내맘대로 사는 것을 더 좋아하는 경우가 많을텐데 말이죠. 제가 제맘대로 하는게 좋았다고 하는게, 마치 제가 대단히 이기적인 본성을 가진 사람이라고 규정짓는게 참 바보같은 생각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던 하루였어요.
본래 성격이라는게 있긴 있는 것 같아요.
그런데 그걸 자신이 객관적으로 파악하는 건 어렵거나 불가능한 것 같습니다.
일례로 가족을 포함해서 내 주변인이 내 성격에 대해 파악하고 있는 건 또 천차만별이거든요.
결국 내 성격이라는게 내 안에 있다기 보다는 주변인들과의 관계 그 사이 어딘가에 다양하게 병존하는 것 같아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991 기타보드게임 추천... 10 윤지호 20/03/16 3879 2
8856 교육공부에서 요령을 터득하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26 Algomás 20/02/25 4620 2
8762 연애썸, 어장 등 고민 31 라이너혼 20/02/09 5074 2
8310 IT/컴퓨터그래픽카드 ti 와 super 접미사의 의미는 뭔가요 6 파란세포 19/11/20 15306 2
8296 문화/예술기타소리 좋은 노래 추천 부탁드립니다! 67 벚문 19/11/18 8261 2
7976 의료/건강정신과 방문 및 검색 관련 11 치유 19/10/04 3141 2
7533 체육/스포츠[부산] 춤을 추고 싶습니다. 7 세인트 19/07/25 4255 2
7434 기타추천 코멘트 2 구르릉 19/07/05 3454 2
7411 IT/컴퓨터네이버 인턴 면접 준비 어떻게 해야될까요? 23 kaestro 19/07/01 9134 2
7361 IT/컴퓨터중국가는데 무료 VPN 뭐가 좋을까요 6 기아트윈스 19/06/22 5313 2
7159 문화/예술홍차넷 아재아짐분들 MT때 재밌는 게임 추천해주세요 17 집정관 19/05/20 4674 2
7098 체육/스포츠아침 출근 전에 수영하시는 분들께 드리는 질문 6 化神 19/05/11 6642 2
7005 기타여러분 삶의 낙은 뭐에요? 89 그럼에도불구하고 19/04/25 8413 2
6947 과학[생존주의] 백두산이 분화한다면? 6 CONTAXS2 19/04/14 4787 2
6788 기타질문글을 굳이 익명으로 올리는 이유가 있나요? 13 라싸 19/03/17 5152 2
6741 기타 내 본래의 성격이란 것이 있을까요? 19 곰돌이우유 19/03/11 5405 2
6235 게임닌텐도 스위치 컴퓨터 모니터에 연결하는 법 7 아침 19/01/05 39449 2
5514 법률미란다 고지와 관련해서 3 캣리스 18/09/26 4434 2
5509 홍차넷차를 마셔보려 하는데, 텀블러 추천부탁드립니다 25 kaestro 18/09/24 5694 2
5401 기타손을 비비는 행위에 대하여.. 3 리비닌 18/09/07 3631 2
5249 기타안경테 디자인 예쁜 가게 찾습니다. 6 지금여기 18/08/13 4692 2
5064 기타한남동 맛집 몽땅 알려주세오 8 지금여기 18/07/17 4755 2
4131 기타쇠푸른팽귄을 볼 수 있는 곳이 있나요? 10 naru 18/02/09 3794 2
3788 진로무엇을 어떻게 해야할까요.. (취업관련) 20 이초파 17/12/03 4819 2
2772 기타정치인 관련 질문입니다 9 헬리제의우울 17/05/13 3773 2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