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5/12/27 19:17:49 |
Name | Jannaphile |
Subject | 손 통증에 대한 질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의알넷 홍차넷에 질문 올립니다. 손에 통증과 불편함이 있는데요. 1. 손 끝이 아픕니다. 통증이 시작된 건 최소 2013년부터라고 생각합니다. 3년 정도는 됐네요. 마우스와 키보드를 많이 만지기는 하는데, 키보드를 치면서 통증이 느껴지고요. 마우스 클릭할 때도 마찬가지예요. 가장 큰 애로사항은 마우스 휠을 돌릴 때 상당한 고통이 느껴집니다. 주로 손가락의 마지막 마디, 그것도 키보드 칠 때 키가 손에 닿는 부분이 가장 아프고요. 첫 마디엔 통증이 거의 없지만 둘째 마디엔 약간 통증이 느껴집니다. 아픔이 느껴질 땐 해당 부위에 열이 약간 있는 것 같습니다. 꽤 불편해서 병원을 몇 번 가봤는데, 다른 징후가 보이기 전엔 사실상 원인을 알 수 있는 방법이 없다고 하시네요. - 기억을 더듬어 보면, 당시 롤을 너무 열심히 한 나머지(...) 무리해서 손에 이상이 생긴 것 같긴 합니다. ㅠㅠ 그 이전엔 아프지 않았거든요. 당시 쓰던 마우스가 레이저 것이었는데 발열이 제법 있었어요. 그걸 붙잡고 약간 뜨겁다고 느끼면서도 게임을 쉬지 않긴 했죠.;;; 2. 손에 힘이 들어가지 않습니다. 이건 3개월~6개월 정도 된 것 같은데요. 아침에 일어나면 1시간 정도는 손에 힘이 안 들어가다가 서서히 돌아옵니다. 악력이 없다고 해야 하나요? 이런저런 일을 하다 의류일을 시작한지 1년쯤 됐네요. 업종 특성상 무거운 짐을 들고 다닐 일이 많은데 그 때문인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생소한 일이라서인지 몸에 더 무리가 가는 것 같기도 한데, 그래서 홍삼액 등을 복용합니다. 문제는 막 일어날 땐 홍삼액포를 따는 것도 할 수 없을 정도로 손에 힘이 꽉 들어가지 않는다는 거네요. 병원에선 이 역시 모르겠다면서, 정 뭐하면 목 부근 MRI를 찍어보는 방법이 있다고 합니다. 일이 좀 바빠서 새해가 되면 MRI를 찍으러 가볼까 합니다만, 어떤 예상되는 원인 같은 게 없는지 궁금하네요.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Jannaphile님의 최근 게시물
|
사실 이렇게 말만 들어서는 알기가 어렵긴 합니다만.. 류마티스 관절염일 것 같아요. 류마티스 관절염은 손가락 관절 침범하는 경우가 많구요.. 특히 끝에서 두 번째에 있는 손가락 관절. 손에 힘이 안들어가는 것은 류마티스 관절염 때 보일 수 있는 카팔 터널 신드롬일 수도 있겠네요. 아니면 신경염일 수도 있구요. 아니면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염증성 관절염에서 보일 수 있는 조조 강직일 수도 있습니다. 모두 다 류마티스 관절염에서 보일 수 있습니다. 대학병원 류마티스 내과 혹은 개인 병원 중에서더 류마티스 내과가 있으니 방문해 보세요.
손마디가 굵어질 정도 라는 것은 관절 변형이 왔다는 이야기인데요. 아직 그정도로 오래 된게 아니기 때문에 보이지 않을 겁니다.
손가락이 아플 때 아픈 관절을 만져봤을 때 따땃하셨셨다고 하셨죠? 이게 염증성 관절염을 시사하는 소견이고, 이러한 염증성 관절염 중 손가락 침범하는 것 중 대표적인 것이 류마티스 관절염입니다. 거기에 조조 강직(아침에 뻣뻣한 느낌), 카팔 터널 증후군, 단신경염(특히 발목쪽..발등을 제대로 들 수가 없어서, foot drop 이라고 합니다)등은 류마티스 관절염에서 흔히 보이는 합병증입니다.
정형외... 더 보기
손가락이 아플 때 아픈 관절을 만져봤을 때 따땃하셨셨다고 하셨죠? 이게 염증성 관절염을 시사하는 소견이고, 이러한 염증성 관절염 중 손가락 침범하는 것 중 대표적인 것이 류마티스 관절염입니다. 거기에 조조 강직(아침에 뻣뻣한 느낌), 카팔 터널 증후군, 단신경염(특히 발목쪽..발등을 제대로 들 수가 없어서, foot drop 이라고 합니다)등은 류마티스 관절염에서 흔히 보이는 합병증입니다.
정형외... 더 보기
손마디가 굵어질 정도 라는 것은 관절 변형이 왔다는 이야기인데요. 아직 그정도로 오래 된게 아니기 때문에 보이지 않을 겁니다.
손가락이 아플 때 아픈 관절을 만져봤을 때 따땃하셨셨다고 하셨죠? 이게 염증성 관절염을 시사하는 소견이고, 이러한 염증성 관절염 중 손가락 침범하는 것 중 대표적인 것이 류마티스 관절염입니다. 거기에 조조 강직(아침에 뻣뻣한 느낌), 카팔 터널 증후군, 단신경염(특히 발목쪽..발등을 제대로 들 수가 없어서, foot drop 이라고 합니다)등은 류마티스 관절염에서 흔히 보이는 합병증입니다.
정형외과는 류마티스 관절염을 보는 곳이 아닙니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내과에서도 어려운 분야입니다.
목쪽 척추 신경과 연관된 경우 양쪽으로 나타나는 경우는 드뭅니다. 특히 활동하고 좀 좋아지는 것 같다고 하면, 더 이상하구요.
손가락이 아플 때 아픈 관절을 만져봤을 때 따땃하셨셨다고 하셨죠? 이게 염증성 관절염을 시사하는 소견이고, 이러한 염증성 관절염 중 손가락 침범하는 것 중 대표적인 것이 류마티스 관절염입니다. 거기에 조조 강직(아침에 뻣뻣한 느낌), 카팔 터널 증후군, 단신경염(특히 발목쪽..발등을 제대로 들 수가 없어서, foot drop 이라고 합니다)등은 류마티스 관절염에서 흔히 보이는 합병증입니다.
정형외과는 류마티스 관절염을 보는 곳이 아닙니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내과에서도 어려운 분야입니다.
목쪽 척추 신경과 연관된 경우 양쪽으로 나타나는 경우는 드뭅니다. 특히 활동하고 좀 좋아지는 것 같다고 하면, 더 이상하구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