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5/12/19 04:41:40 |
Name | 범준 |
Subject | 산소 대신 아르곤을 주입시킨 의료사고에 대해서.. |
http://m.news.naver.com/read.nhn?oid=056&aid=0010263074&sid1=102&backUrl=%2Fhome.nhn 가스 충전업체가 산소통에 아르곤 가스를 넣어놔서 환자가 아르곤을 마시고 중태에 빠졌다는데요. 기사엔 병원 책임도 있다는 투여서 저는 무조건 가스 충전업체 잘못이다. 라고 생각했지만 댓글중엔 그럴싸한 다른 의견도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100% 가스업체 잘못이다. 병원에서 무색무취인 산소와 가스를 어떻게 구분하느냐. 산소 쓸 때마다 일일이 구분하겠느냐는 입장과 병원도 최소한의 확인절차를 거치지 않았다. 병원에서 마취중에 일어난 사건이므로 병원책임도 있다. 환자측은 병원에 책임을 묻고 병원은 가스업체에 보상을 요구하던지, 일에 순서가 있다. 이렇게 댓글 반응이 나뉘네요. 의료넷,법조넷 홍차넷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ps. 경찰은 해당 마취과 의사,가스 충전업체 대표 이렇게 두 명을 입건했다네요. 0
|
아마도 중앙공급식이 아닌 산소통을 마취기에 직결하면서 문제가 발생한 것 같습니다.
일단 의료용과 공업용을 분리해서 생산하지 않은 가스업체의 문제가 큽니다.(의료용 아르곤도 있기는 합니다만 요즘은 쓰는 경우를 거의 못봐서...)
마취기에는 최소 20년 전부터 산소센서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문제는 이것이 고장이 잘 나서 주기적으로 교체해 주어야 합니다.
병원이 귀찮아서 교체하지 않았을 수도 있고, 마취기가 노후해서 부품수급이 되지 않았을 경우도 있습니다.
(새 것을 사면 되지만 대학병원급도 새것 하나 사려면 병원장... 더 보기
일단 의료용과 공업용을 분리해서 생산하지 않은 가스업체의 문제가 큽니다.(의료용 아르곤도 있기는 합니다만 요즘은 쓰는 경우를 거의 못봐서...)
마취기에는 최소 20년 전부터 산소센서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문제는 이것이 고장이 잘 나서 주기적으로 교체해 주어야 합니다.
병원이 귀찮아서 교체하지 않았을 수도 있고, 마취기가 노후해서 부품수급이 되지 않았을 경우도 있습니다.
(새 것을 사면 되지만 대학병원급도 새것 하나 사려면 병원장... 더 보기
아마도 중앙공급식이 아닌 산소통을 마취기에 직결하면서 문제가 발생한 것 같습니다.
일단 의료용과 공업용을 분리해서 생산하지 않은 가스업체의 문제가 큽니다.(의료용 아르곤도 있기는 합니다만 요즘은 쓰는 경우를 거의 못봐서...)
마취기에는 최소 20년 전부터 산소센서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문제는 이것이 고장이 잘 나서 주기적으로 교체해 주어야 합니다.
병원이 귀찮아서 교체하지 않았을 수도 있고, 마취기가 노후해서 부품수급이 되지 않았을 경우도 있습니다.
(새 것을 사면 되지만 대학병원급도 새것 하나 사려면 병원장하고 싸워야 할 정도로 지금 수가하에서 장비하나 교체하기가 쉽지는 않습니다.
교체하면서 부가적인 수익을 창출하지 못한다면말이지요.)
산소센서가 고장나도 21세기에 제작된 환자감시용 모니터에는 가스분석기를 같이 사용합니다.
O2,CO2, 마취가스를 분석해서 농도를 알려주는 기계를 사용합니다.
아마도 저 병원에는 가스분석기도 없었나 봅니다.
마취기에는 Fail-safe device라고 해서 안전을 위한 장치가 있는데, 산소통도 fail-safe device에 포함됩니다.
마취기에 위급시에 사용되는 산소통을 부착할 수 있게 되어있는데,
위급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부착하는 산소통을 국내수입사에서 수입하지를 않습니다.
그래서 과거에 직수를 했던 기억도 있습니다.
안타깝지만 마취과 의사의 직무중에는 human monitor 즉 환자의 상태를 잘 감시하는 것이 포함되어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기계의 실패도 있지만 환자감시의 실패도 있기 때문에 민사적인 문제는 피하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일단 의료용과 공업용을 분리해서 생산하지 않은 가스업체의 문제가 큽니다.(의료용 아르곤도 있기는 합니다만 요즘은 쓰는 경우를 거의 못봐서...)
마취기에는 최소 20년 전부터 산소센서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문제는 이것이 고장이 잘 나서 주기적으로 교체해 주어야 합니다.
병원이 귀찮아서 교체하지 않았을 수도 있고, 마취기가 노후해서 부품수급이 되지 않았을 경우도 있습니다.
(새 것을 사면 되지만 대학병원급도 새것 하나 사려면 병원장하고 싸워야 할 정도로 지금 수가하에서 장비하나 교체하기가 쉽지는 않습니다.
교체하면서 부가적인 수익을 창출하지 못한다면말이지요.)
산소센서가 고장나도 21세기에 제작된 환자감시용 모니터에는 가스분석기를 같이 사용합니다.
O2,CO2, 마취가스를 분석해서 농도를 알려주는 기계를 사용합니다.
아마도 저 병원에는 가스분석기도 없었나 봅니다.
마취기에는 Fail-safe device라고 해서 안전을 위한 장치가 있는데, 산소통도 fail-safe device에 포함됩니다.
마취기에 위급시에 사용되는 산소통을 부착할 수 있게 되어있는데,
위급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부착하는 산소통을 국내수입사에서 수입하지를 않습니다.
그래서 과거에 직수를 했던 기억도 있습니다.
안타깝지만 마취과 의사의 직무중에는 human monitor 즉 환자의 상태를 잘 감시하는 것이 포함되어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기계의 실패도 있지만 환자감시의 실패도 있기 때문에 민사적인 문제는 피하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