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9/01/07 17:29:50
Name   먹이
Subject   이직할 때 사직서 문제
일단 제 이야기는 아닙니다 -> 인터넷 밈이 아니라 진짜 제 이야기는 아닙니다 ㅎ

관공서나 공기업은 아니고 공공기관 비슷한 곳에 다니는 지인인데, 계약 기간이 2년 가까이 남았음에도 (이것만 봐도 제가 아닙니다 다년계약 개부럽) 직장 내부에서의 갈등으로 결국 퇴사를 하게 되었습니다
제가 지금까지 계약직만 하면서 계약 중간에 정식으로 사직서를 써 본 적이 없어서 조언을 줄 수가 없기에 여쭤봅니다

1. 미사용 년차는 12일이 남았다고 하더라구요 (거봐요 저 아니라니까요 1년에 1주일 쓰기도 힘든데). 년차를 다 쓰고 퇴사하는게 문제가 되나요? 아니면 회사마다 케바케인가요?
2. 오늘 남은 년차 다 긁어서 휴가도 내고, 사직서도 (사직 일자를 휴가 끝나는 다음날로 적어서) 같이 내면 휴가 끝나는 날 퇴사 처리가 가능한 건가요?
검색해보니 사직서 내고 1개월까지는 일해주는 것이 법으로 정해져 있다고 하는데 이게 사실인지요?
3. 어떻게 보면 나가라고 은근히 압박 줘서 나가는 건데 사직서를 수리 안 해주면 회사 입장에서 얼마나 질질 끌 수 있나요? 만약 1개월이라고 치면, 휴가 끝나고 인수인계 하고 남은 기간에 아예 안 나오거나 아님 나와서 월급도둑 모드로 일 안 하면 무단 결근인가요? (이건 진짜 회사마다 케바케 같긴 합니다만...)

답변에 미리 감사드립니다



0


회사마다 케바케가 좀 있긴 합니다만 공식적으로 가능한 범위 내에서 답변 드리면
1, 미사용연차 다 쓰고 나가는게 가능합니다. 안쓰면 퇴직금 정산할때 미사용연차에 대한 연차보상금을 얹어줘야 합니다.
저같은 경우 연차 15일이 남은 시점에서 이중 10일을 쓰고 남은 5일을 연차보상금으로 받았습니다.
2. 사직서내고 1개월 후까지 일해주는건 아니고, 사직의사를 실제 사직 시점에서 1개월 전에 고지하여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근로기준법은 아니고 민법 660조에서 기한의 정함없는 고용계약의 경우 해지 통지 후 1개월이 지나면 효... 더 보기
회사마다 케바케가 좀 있긴 합니다만 공식적으로 가능한 범위 내에서 답변 드리면
1, 미사용연차 다 쓰고 나가는게 가능합니다. 안쓰면 퇴직금 정산할때 미사용연차에 대한 연차보상금을 얹어줘야 합니다.
저같은 경우 연차 15일이 남은 시점에서 이중 10일을 쓰고 남은 5일을 연차보상금으로 받았습니다.
2. 사직서내고 1개월 후까지 일해주는건 아니고, 사직의사를 실제 사직 시점에서 1개월 전에 고지하여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근로기준법은 아니고 민법 660조에서 기한의 정함없는 고용계약의 경우 해지 통지 후 1개월이 지나면 효력 발생한다는 점을 들어서...)
당연히 회사와 합의만 한다면 당일퇴직(...) 도 불가능하진 않지만 대부분 여러가지 퇴직 절차 (인사팀 면담, 이용했던 PC에 대한 감사, 그동안 시스템 사용 기록 파악, 퇴직금 정산 등등등) 때문에 보통 업무처리절차가 1주일 정도 이상은 걸리는 편입니다. 저는 두 번의 회사 퇴직 모두 실제 퇴직일로부터 1개월 전에 통보하였고, 첫 회사는 연차가 남은게 없어서 퇴직 당일까지 일하고 퇴직했고, 다음 회사는 한 달 중에서 2주는 일하고 2주는 휴가내고 퇴직했습니다. 사직서 제출 시점은 인사팀과 협의하시면 됩니다.
3. 사직서를 수리해주지 않더라도 사직 의사를 표하고 1개월이 지나면 퇴직이 가능하고, 그 때 부터는 출근하지 않아도 직무유기나 무단결근이 아닙니다. 단 퇴사 의사를 밝히는 시점을 증명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니 구두로 이야기 하기 보다 메일이나 내용증명(...) 등 고지 시점을 명확히 알 수 있는 방식으로 고지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결국 회사와의 합의가 중요하군요
감사합니다
제로스
1달의 기간을 주지 않으면 회사가 손해배상청구가 일단 가능하긴 한데..그렇게 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공공기관이라면 그런 걱정은 안하셔도 될거임..

연차는 그 사이에 다 쓰셔도 됩니다.

왠만하면 나 내일부터 안나올 거임이나 나 연차12일이후부터 안나올 거임 이렇게 하는 건 모양새가 너무 안좋고..

한달뒤부터 안나올거임 하고 그 사이에 연차를 다 쓰시는게 여러모로 모양새가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모양새 따지기에는 양쪽 다 감정이 상할대로 상한 상태이긴 합니다만, 웬만하면 그렇게 하라고 이야기 하겠습니다
사나남편
공공기관이면 나가라고 해서 나간다고 고용노동부에 이야기 하겠다라고 말을하고 시작하는게 유리합니다.
노동청 고발은 이와 별개로 고려 중입니다
맥주만땅
1. 연차는 다 쓸 수 있습니다.

2. 계약기간 다 채울 때 까지 나가지 않아도 무방합니다.

3. 심지어 계약기간 다 채우고 계속 있을 수도 있습니다. 그동안 묵시적으로 계약연장이 되었기 때문에 법적투쟁으로 가면 정규직으로 볼수 있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이 경우 버티는게 문제가 아니라 - 저도 버틸 수 있음 정도는 이야기해줬는데, 장고 끝에 버티지 말고 그냥 나가기로 한 것 같더라구요 - 나가려는데 질질 끌릴까봐 걱정인 듯 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755 법률전세계약 해지통보 방법에 대한 질문 5 [익명] 19/03/13 3918 0
6734 법률외국 교재는 pdf 구하기가 왜 이렇게 쉽나요...? 8 경제학도123 19/03/10 8675 0
6722 법률의료 전후 사진 무단사용 관련 손해배상청구가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3 [익명] 19/03/08 2717 0
6702 법률보호자의 범위는 어디까지...? 24 먹이 19/03/05 11623 0
6566 법률전세 나간다고 내용증명을 보내려 합니다. 3 미스터주 19/02/16 4706 0
6548 법률2차 창작물에 관련한 질문 드리고자 합니다. 3 말해뭐해 19/02/14 3961 0
6536 법률인사청문회 참관 1 [익명] 19/02/13 3035 0
6491 법률실무에 적용하기 좋은 노동법 책이 있을까요? 4 [익명] 19/02/08 2838 0
6457 법률임금 관련 질문입니다. 4 [익명] 19/02/03 2937 0
6454 법률실직급여 관련 질문입니다 2 leiru 19/02/03 3581 0
6434 법률어머니께서 위증죄로 고소 당했습니다. 9 [익명] 19/01/30 4082 0
6413 법률중소기업 청년 소득공제 문의입니다. 2 쿠바왕 19/01/29 4505 0
6380 법률변호사 실무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14 돌고래조련사 19/01/24 4316 0
6372 법률범퍼 파손후 조치에 대해서 5 [익명] 19/01/22 2399 0
6355 법률연말정산 - 주택마련저축 소득공제 문의 2 흥차넷 19/01/21 4532 0
6347 법률법률적 조언을 받고 싶습니다. 11 April_fool 19/01/21 4747 0
6255 법률원룸 계약 급 질문입니다. 1 칸나바롱 19/01/08 3391 0
6248 법률이직할 때 사직서 문제 8 먹이 19/01/07 4781 0
6204 법률탄원서에 대해 궁금합니다 4 먹이 19/01/02 3031 0
6200 법률상품 반송 문제 2 [익명] 19/01/01 2464 0
6135 법률성추행 당한 사람 대하기 8 [익명] 18/12/22 2872 0
6109 법률변호사와 상담은 비용을 얼마나 생각해야하나요? 4 [익명] 18/12/18 2796 0
6039 법률자.살도 합법화하는 세상이 올 수 있을까요...? 14 [익명] 18/12/07 3115 0
6030 법률근로기준법-주휴수당 관련 의문입니다. 17 [익명] 18/12/05 3710 0
6020 법률이런 경우 못 받은 월급을 받아낼 방법이 있을까요??(노동청??) 6 [익명] 18/12/04 3372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