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5/12/16 10:16:15
Name   사나운나비
Subject   .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0


파란아게하
이런 댓글로 옆에서 자세하게 알려드릴 수 없으니
이것저것 생각 안 하고 가장 손쉬운 방법은
외장하드 연결용 케이블을 사용해서
usb 이동식디스크로 연결해보세요.

아니면 시급히 그 안에 자료를 써야한다 하면,
전에 있던 컴퓨터로 다시 꽂아서 코드 다시 꽂아서
임시로 부팅한 다음에
급히 필요한 자료만 네이버 엔드라이브에 올려서 쓰세용.
사나운나비
.
파란아게하
사타케이블로 직접 메인보드에 연결하신 건가요?
아무튼, 일반적인 하드라면 연결부를 보시면 \'전원\'부랑 \'데이타\'부가 있어요. 그걸 둘 다 꽂아주세요. (니은 모양으로 큰 거 작은거)
(나스는 따로 전원공급이 되니까 각각 하드는 데이타만 연결했겠지만, 전원부도 연결해줘야해요.)
전원부는 컴퓨터 본체의 파워에서 나오는 걸 꽂으셔야 하고,
데이타부는 메인보드의 hdd 혹은 sata 라고 써 있는 걸 찾아 꽂아주세요. 여러군데 있으면 돌려보면서 꽂아보시고요.
님이 쓰는 컴이 뭔지는 모르겠으나
나는 아무리 생각해도 잘 꽂은... 더 보기
사타케이블로 직접 메인보드에 연결하신 건가요?
아무튼, 일반적인 하드라면 연결부를 보시면 \'전원\'부랑 \'데이타\'부가 있어요. 그걸 둘 다 꽂아주세요. (니은 모양으로 큰 거 작은거)
(나스는 따로 전원공급이 되니까 각각 하드는 데이타만 연결했겠지만, 전원부도 연결해줘야해요.)
전원부는 컴퓨터 본체의 파워에서 나오는 걸 꽂으셔야 하고,
데이타부는 메인보드의 hdd 혹은 sata 라고 써 있는 걸 찾아 꽂아주세요. 여러군데 있으면 돌려보면서 꽂아보시고요.
님이 쓰는 컴이 뭔지는 모르겠으나
나는 아무리 생각해도 잘 꽂은 것 같은데 이상하다 싶으면
껐다 켜보시고 그래도 안되면
껐다 켤 때 처음 나오는 화면에서 F1 이나 DEL 이나 F10,11,12 중에 ENTER SETUP 이라고 써 있는 걸 찾아 들어가셔서
별도로 하드 연결 옵션이 있나 찾아보세요. (요즘건 아마 없겠지만.)
오, 아래 이브나 님이 쓰신 것도 참고하시고!!!

위에도 썼지만, 외장하드로 연결하는게 제일 간단합니다.
주변에 외장하드 쓰시는 분 있으면 그걸 빌려다 꽂으세요.

그리고 해당 하드 모델 및 꽂는 자리, 케이블의 SATA 버전 (2.0 혹은 3.0)이 서로 맞나 확인해보시고요.

설명이 뭔가 불친절하지만, 해볼 수 있는 건 다 해보셔야하니 알아서 잘 알아들으시리라......
사나운나비
.
파란아게하
그 외장하드가2.5크기 조그만게 아니라
전원을 따로 연결하는
커다란 케이스면
그 뚜껑을 열면 하드가 들어있어요
그걸 빼고 꽂아보세요
딱히 해드릴수있는게 없네요
흐 건투를 빕니다
이브나
원래 윈도우가 깔려 있던 하드를 다른 부팅가능한 컴퓨터에 옮겨 꽂으셨단 말씀이신가요?
내컴퓨터 우클릭 -> 관리 -> 저장소 -> 디스크관리 보시면 오프라인으로 잡혀 있을수도 있습니다
그렇게 되어 있음 오프라인 우클릭 -> 온라인으로 클릭해보세요.
사나운나비
이미 들어가서 확인해봤는데, 정상(주파티션)으로 잡혀있네요.. 그런데 이름도 바꿀 수가 없고 아무것도 해줄 수 있는게 없네요..
댓글 감사합니다.
저는 맥이랑 윈도우랑 번갈아가며 쓰기 때문에 맥용으로 포맷된 하드를 윈도우에서 꼽거나, 윈도우용으로 포맷된 하드를 맥에서 쓰면
위 상황과 정확히 같은 상황(인식은 되는데 쓸수가 없는 상황)이 나오는데,
저의 경우와는 좀 다른 케이스 같은데요.

그래도 한번 하드 포맷상태나 이런걸 체크해보세요.
나스를 제가 잘 몰라서 자세한건 저도 잘 모르니까요.
April_fool
NAS에서 사용하던 파일시스템이 윈도우 운영체제와 호환되지 않는 것(예를 들면 ext4)인 것 같습니다.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할 때는 아무 문제가 없지만, 이렇게 하드디스크를 직접 컴퓨터와 연결시킬 때는 문제가 생길 수 있죠.

아마도 리눅스로 부팅하면 해당 하드디스크의 내용물을 인식할 수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rufus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빈 USB 드라이브를 부팅가능한 USB 드라이브로 바꿀 수 있는데, 이걸 사용해서 리눅스 라이브 부팅(쉽게 말해서, 리눅스를 컴퓨터에 직접 설치하지 않고 사용하는 것)을 하면 그 하드디스크의 내용을 들여다볼 수 있을 겁니다.

아니면, 리눅스 파일시스... 더 보기
NAS에서 사용하던 파일시스템이 윈도우 운영체제와 호환되지 않는 것(예를 들면 ext4)인 것 같습니다.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할 때는 아무 문제가 없지만, 이렇게 하드디스크를 직접 컴퓨터와 연결시킬 때는 문제가 생길 수 있죠.

아마도 리눅스로 부팅하면 해당 하드디스크의 내용물을 인식할 수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rufus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빈 USB 드라이브를 부팅가능한 USB 드라이브로 바꿀 수 있는데, 이걸 사용해서 리눅스 라이브 부팅(쉽게 말해서, 리눅스를 컴퓨터에 직접 설치하지 않고 사용하는 것)을 하면 그 하드디스크의 내용을 들여다볼 수 있을 겁니다.

아니면, 리눅스 파일시스템을 지원하는 하드디스크 복구 프로그램을 사용해도 하드디스크의 내용을 읽어올 수 있을 겁니다. 제가 아는 이런 종류의 프로그램 중 무료 사용이 가능한 것은 recuva(https://www.piriform.com/recuva)가 있습니다. 다만, NAS에서 사용하던 파일시스템이 ext4라고는 단정할 수 없으니, 사용이 가능할지 확실하지는 않습니다.
사나운나비
.
April_fool
어디서 NTFS로 뜬다는 건가요?
일단은 recuva를 시도해보시는 건 어떨까 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2673 기타 화장품 소분해서 보관하는 공병은 유리병이어야 좋은지요..? 2 홍당무 21/12/11 5112 0
5687 의료/건강 흉터 연고 추천 부탁드립니다.. 3 리페이스 18/10/19 4946 0
140 게임- 20 15/07/05 5490 0
154 기타- 4 15/07/13 5237 0
185 진로- 2 15/07/24 5733 0
2667 진로- 15 말하는감자 17/04/16 3931 0
3510 여행- 4 reika 17/10/14 3656 0
6007 문화/예술- 4 reika 18/12/01 4292 0
6089 홍차넷- 1 reika 18/12/15 3949 0
7255 교육- 7 말하는감자 19/06/06 4270 0
11722 기타- 17 even&odds 21/06/13 4695 0
14603 기타- 51 even&odds 23/03/20 4677 0
14612 법률- 12 시간아달려라 23/03/23 3396 0
16355 경제- 10 even&odds 24/12/06 1263 0
16413 연애- 17 [익명] 24/12/28 1335 0
5052 게임-. 13 원스 18/07/15 3669 0
12606 기타-(대쉬, 다시) 가 붙는 버스 환승 6 방사능홍차 21/11/25 5079 0
13659 진로-근로계약 관련 문의- 10 [익명] 22/07/20 4022 0
11509 의료/건강? 6 김영웅 21/05/08 5273 0
11979 의료/건강? 9 김영웅 21/08/01 4838 0
612 IT/컴퓨터. 11 사나운나비 15/12/16 4151 0
623 기타. 2 사나운나비 15/12/18 3199 0
651 의료/건강. 4 사나운나비 15/12/22 5210 0
722 의료/건강. 10 사나운나비 16/01/14 4311 0
935 의료/건강. 18 사나운나비 16/03/22 4763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