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8/12/16 09:51:44 |
Name | [익명] |
File #1 | crazy.png (176.4 KB), Download : 5 |
Subject | 환각 증상이 정말로 현실적인(?) 경우가 있나요? |
가끔 여러 드라마나 영화에서, 주인공이 꿈(?)이나 환각을 봤는데...그게 너무 리얼해서 현실하고 구분 못하는 장면이 종종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토탈 리콜하고 웹툰 고수에서 소진홍이 본 환각 등등 정도? 근데 어릴 땐 "그냥 영화니까 저렇게 표현한거지, 실제로 환각같은거 볼 땐 꿈처럼 흐리멍텅하지 않을까?" 라고 의심했었는데...짤 보니까 갑자기 궁금해지네요. 정말로 "현실과 환각을 구분 못하는 경우, 혹은 질병" 등이 있나요? 예를 들어서 만약 제가 외계인을 만났는데 그게 외계인이 아니고 그냥 제가 너무 현실적이게 보이는 환각을 보는 중이라든가? 그래서 그 외계인들(실제로는 환각)을 죽였는데, 실제로는 외계인이 아니라 제 가족이나 친구들일 수도 있을까요? 근데 그러면 만약 환각같은게 보이면 어떻게 조치해야 되죠? 그냥 외계인들이 다가와도 어디 앉아서 가만히 있어야 할까요...? 딱히 급한 질문은 아니고 그냥 궁금해서 물어봅니다... 0
|
'현실적이다'의 의미는 모르겠어요. 다만 우리의 지각이 외부 자극을 내적으로 해석하는 형태(경험이 아니라 체험의 형태)이니 말씀하시는 경우도 가능할 것 같아요.
제 경험을 기반으로 말씀드리자면, 평소에 지니고 있는 세계 인식과 이질감이 큰 환각은 메타인지가 되니 괜찮더라구요. '아 이거 환상이구만' 싶은 거요. 그래서 단기적 대응책도 환상으로 ㅎㅎ 본문에 드신 비유와 연결하자면 외계인들을 날려버리는 상상을 했습니다.
사고실험처럼 누가 내 머리에 전기자극을 주는 상황이 아니라면야, 나에게 다가오는 환상은 내 의식이 외부세... 더 보기
제 경험을 기반으로 말씀드리자면, 평소에 지니고 있는 세계 인식과 이질감이 큰 환각은 메타인지가 되니 괜찮더라구요. '아 이거 환상이구만' 싶은 거요. 그래서 단기적 대응책도 환상으로 ㅎㅎ 본문에 드신 비유와 연결하자면 외계인들을 날려버리는 상상을 했습니다.
사고실험처럼 누가 내 머리에 전기자극을 주는 상황이 아니라면야, 나에게 다가오는 환상은 내 의식이 외부세... 더 보기
'현실적이다'의 의미는 모르겠어요. 다만 우리의 지각이 외부 자극을 내적으로 해석하는 형태(경험이 아니라 체험의 형태)이니 말씀하시는 경우도 가능할 것 같아요.
제 경험을 기반으로 말씀드리자면, 평소에 지니고 있는 세계 인식과 이질감이 큰 환각은 메타인지가 되니 괜찮더라구요. '아 이거 환상이구만' 싶은 거요. 그래서 단기적 대응책도 환상으로 ㅎㅎ 본문에 드신 비유와 연결하자면 외계인들을 날려버리는 상상을 했습니다.
사고실험처럼 누가 내 머리에 전기자극을 주는 상황이 아니라면야, 나에게 다가오는 환상은 내 의식이 외부세계를 잡아내는 역량이 약화되었거나, 내면세계가 비대해졌거나, 두 영역의 불일치가 너무 커졌거나 한거겠지요. 이 점을 고려하면 장기적으로는 자신의 체험과 인지도식을 점검해 나가면 될 듯하옵니다.
제 경험을 기반으로 말씀드리자면, 평소에 지니고 있는 세계 인식과 이질감이 큰 환각은 메타인지가 되니 괜찮더라구요. '아 이거 환상이구만' 싶은 거요. 그래서 단기적 대응책도 환상으로 ㅎㅎ 본문에 드신 비유와 연결하자면 외계인들을 날려버리는 상상을 했습니다.
사고실험처럼 누가 내 머리에 전기자극을 주는 상황이 아니라면야, 나에게 다가오는 환상은 내 의식이 외부세계를 잡아내는 역량이 약화되었거나, 내면세계가 비대해졌거나, 두 영역의 불일치가 너무 커졌거나 한거겠지요. 이 점을 고려하면 장기적으로는 자신의 체험과 인지도식을 점검해 나가면 될 듯하옵니다.
제 친구 동생이 조현병 환자인데 환각과 망상을 제가 의학적으로는 구별하지 못하겠지만 정말 현실과 같은 망상??환각??을 겪는다고 들었습니다.
신경과학자인 올리버 색스는 소싯적에 직접 마약 등의 향정신성약물을 복용한 적이 있는데, 약물 복용 상태에서 부작용으로 나타나는 생생한 환각에 대해 자신이 쓴 『환각』(알마, 2013)이라는 책에서 증언한 바 있습니다. 예를 들면 평소처럼 친구들이 찾아왔는데, 5분간 주방에 있다 나와보니 거실이 텅 비어 있다던가 하는 것이지요. 친구들이 찾아온 것 자체가 환각이었던 겁니다. 또 다른 사례로는, http://storyis.blogspot.com/2015... 더 보기
신경과학자인 올리버 색스는 소싯적에 직접 마약 등의 향정신성약물을 복용한 적이 있는데, 약물 복용 상태에서 부작용으로 나타나는 생생한 환각에 대해 자신이 쓴 『환각』(알마, 2013)이라는 책에서 증언한 바 있습니다. 예를 들면 평소처럼 친구들이 찾아왔는데, 5분간 주방에 있다 나와보니 거실이 텅 비어 있다던가 하는 것이지요. 친구들이 찾아온 것 자체가 환각이었던 겁니다. 또 다른 사례로는, http://storyis.blogspot.com/2015/03/2ch_32.html 이런 증언도 있습니다.
생생한 환각과 현실을 딱히 구분할 방법은 없는 것으로 압니다. 정신증이 있다면, 외계인들을 만나서 죽였는데 알고 봤더니 그게 외계인이 아니라 가족이나 친구다 이런 사례도 충분히 있을 수 있죠. 이런 경우 때문에 법률적으로 [심신장애]라는 개념이 있는 것입니다. 심지어는 정신이상이 있는 본인 자체가 자신의 정신이상을 인정하지 않는 경우(실은 이런 경우가 더럽게 많습니다.)에도 정신이상이 있다는 객관적인 증거가 있다면 이게 적용될 수도 있지요.
생생한 환각과 현실을 딱히 구분할 방법은 없는 것으로 압니다. 정신증이 있다면, 외계인들을 만나서 죽였는데 알고 봤더니 그게 외계인이 아니라 가족이나 친구다 이런 사례도 충분히 있을 수 있죠. 이런 경우 때문에 법률적으로 [심신장애]라는 개념이 있는 것입니다. 심지어는 정신이상이 있는 본인 자체가 자신의 정신이상을 인정하지 않는 경우(실은 이런 경우가 더럽게 많습니다.)에도 정신이상이 있다는 객관적인 증거가 있다면 이게 적용될 수도 있지요.
현실과 환각을 구분 못하는 대표적인 질환이 조현병이죠. 망상장애도 글에서 쓴 것에 들어갈 것이고.
보통 저런 정신질환의 경우 환자 입장에서 감각 자체가 거짓말을 하는 것이라서 구분을 못하는 것도 있는데, 차근차근 따져보면 논리적 모순이 있고 그걸 이해할 수 있는데 이 판단력 자체도 떨어뜨리는(그래서 감각의 '허접한' 거짓말에도 쉽게 속게 만드는) 것도 증상의 하나로 볼 겁니다.
보통 저런 정신질환의 경우 환자 입장에서 감각 자체가 거짓말을 하는 것이라서 구분을 못하는 것도 있는데, 차근차근 따져보면 논리적 모순이 있고 그걸 이해할 수 있는데 이 판단력 자체도 떨어뜨리는(그래서 감각의 '허접한' 거짓말에도 쉽게 속게 만드는) 것도 증상의 하나로 볼 겁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