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5/12/09 10:32:58 |
Name | Beer Inside |
Subject | UEFI가 무었인가요. |
COMS는 아는데 UEFI는 무언가 어렵군요. COMS와 결정적인 차이는 무었인가요? 컴퓨터 메인보드를 보면 Dual UEFI라고 되어 있는데, 이것이 무엇이 좋은 것인가요? 몰라도 상관은 없겠지만 궁금합니다.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Beer Inside님의 최근 게시물
|
1. COMS가 아니라 CMOS입니다.
2. 여기서 CMOS란 펌웨어를 저장하는 저장장치를 뜻합니다.
3. 펌웨어란 하드웨어를 작동시키기 위해 필수적인 프로그램입니다.
4. 과거 컴퓨터의 펌웨어는 BIOS라고 합니다.
5. BIOS는 굉장히 오래된 규격이기 때문에, 인텔에서 최신 하드웨어에 맞는 UEFI라는 새로운 펌웨어 규격을 내놓았습니다.
6. 일반 사용자가 체감할 수 있는 차이점은 부팅 속도가 빨라진다는 것입니다.
7. 펌웨어는 하드웨어 작동에 꼭 필요한 것인데, 이게 어떠한 이유로 깨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면 ... 더 보기
2. 여기서 CMOS란 펌웨어를 저장하는 저장장치를 뜻합니다.
3. 펌웨어란 하드웨어를 작동시키기 위해 필수적인 프로그램입니다.
4. 과거 컴퓨터의 펌웨어는 BIOS라고 합니다.
5. BIOS는 굉장히 오래된 규격이기 때문에, 인텔에서 최신 하드웨어에 맞는 UEFI라는 새로운 펌웨어 규격을 내놓았습니다.
6. 일반 사용자가 체감할 수 있는 차이점은 부팅 속도가 빨라진다는 것입니다.
7. 펌웨어는 하드웨어 작동에 꼭 필요한 것인데, 이게 어떠한 이유로 깨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면 ... 더 보기
1. COMS가 아니라 CMOS입니다.
2. 여기서 CMOS란 펌웨어를 저장하는 저장장치를 뜻합니다.
3. 펌웨어란 하드웨어를 작동시키기 위해 필수적인 프로그램입니다.
4. 과거 컴퓨터의 펌웨어는 BIOS라고 합니다.
5. BIOS는 굉장히 오래된 규격이기 때문에, 인텔에서 최신 하드웨어에 맞는 UEFI라는 새로운 펌웨어 규격을 내놓았습니다.
6. 일반 사용자가 체감할 수 있는 차이점은 부팅 속도가 빨라진다는 것입니다.
7. 펌웨어는 하드웨어 작동에 꼭 필요한 것인데, 이게 어떠한 이유로 깨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면 부팅이 안 되겠지요. 이 경우 롬라이터라는 장비가 있는 AS센터에 가야만 이걸 고칠 수 있습니다.
8. 예전부터 고급형 컴퓨터 메인보드에는 Dual BIOS 기능이 붙어 있었습니다. 이건 펌웨어를 저장하는 CMOS 칩을 2개 장착하여, A 칩에 저장된 펌웨어에 문제가 생기면 스위치를 전환하는 것만으로 B 칩의 펌웨어를 쓸 수 있게끔 하는 것입니다.
9. Dual BIOS 기능이 있으면, 펌웨어 문제로 메인보드를 AS보내는 일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10. 근래 들어서 Dual BIOS(UEFI) 기능은 점차 보급형 메인보드에도 적용되는 추세입니다.
2. 여기서 CMOS란 펌웨어를 저장하는 저장장치를 뜻합니다.
3. 펌웨어란 하드웨어를 작동시키기 위해 필수적인 프로그램입니다.
4. 과거 컴퓨터의 펌웨어는 BIOS라고 합니다.
5. BIOS는 굉장히 오래된 규격이기 때문에, 인텔에서 최신 하드웨어에 맞는 UEFI라는 새로운 펌웨어 규격을 내놓았습니다.
6. 일반 사용자가 체감할 수 있는 차이점은 부팅 속도가 빨라진다는 것입니다.
7. 펌웨어는 하드웨어 작동에 꼭 필요한 것인데, 이게 어떠한 이유로 깨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면 부팅이 안 되겠지요. 이 경우 롬라이터라는 장비가 있는 AS센터에 가야만 이걸 고칠 수 있습니다.
8. 예전부터 고급형 컴퓨터 메인보드에는 Dual BIOS 기능이 붙어 있었습니다. 이건 펌웨어를 저장하는 CMOS 칩을 2개 장착하여, A 칩에 저장된 펌웨어에 문제가 생기면 스위치를 전환하는 것만으로 B 칩의 펌웨어를 쓸 수 있게끔 하는 것입니다.
9. Dual BIOS 기능이 있으면, 펌웨어 문제로 메인보드를 AS보내는 일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10. 근래 들어서 Dual BIOS(UEFI) 기능은 점차 보급형 메인보드에도 적용되는 추세입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