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8/10/04 16:59:06
Name   [익명]
Subject   노무사와의 상담 비용에 관해 문의드립니다.
저희 회사는 5인이하의 영세하고 작은 사업장입니다.
올 해 직원 채용을 할 계획인데요 (그래도 5인이하...)
급여를 많이 주면 상관이야 없겠지만 회사가 어려워 ㅜㅜ
아무래도 최저시급 +a 로 채용을 하게 될 예정입니다.
그래도 근로계약서 작성 및 회사와 직원 모두에게
불리함이나 법을 몰라서 발생하는 안좋은 상황들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노무사와 상담을 할 계획입니다.

그래서 노무사 사무실과 접촉중인데
이런 상담은 당연히 유료로 받으려고 하고있습니다.
그 사무실에서는 저희와 미팅을 한 후
저희 업무에 맞게 근로계약서 양식 작성 및 상담을
해준다고 하고, 그 유료업무의 비용은 50만원이라고 합니다.

유료서비스니까 당연히 그에 맞는 비용을 지불하고 상담 및
원하는 양식을 제공받으면 됩니다만, 이게 혹시라도 과한 청구인지
아닌지 조언을 구할곳이 없어 여기에 익명으로... 글을 남깁니다.

사실은 생각보다 너무 비싸서... 물어보네요.. 그래서 익명...

회사가 상당히 어려운 상황인데 직원을 왜 뽑냐고 말하신다면
좀 복잡하긴 한데, 짧게 말씀드리면 현재는 들어온 일들 처리하는게
업무 부담이 커서 업무 부담을 좀 줄이고 영업을 하기 위함입니다.

이 상태론 그냥 하루살이같은 일상이 될 뿐이라서요





0


다람쥐
전 저거듣고 “우와 되게 싸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50만원이 부담되시면 그냥 인터넷 보고 고용노동부 홈페이지에서 찾아서 쓰시면 어떨까요?
괜히 문제생겨서 노동부 진정들어가는 상황 등을 사전 대비하는 비용으론 싼 편인거같아요
[글쓴이]
그렇군요! 조언 감사합니다. 사실... 수익에 비해서는 비용에 민감하겠지요~ 다만 현재 회사 사정이 어려워 생각이 좁아진 터라 그냥 막연한 부담감에 글을 남겼습니다. 회사 사정은 직원 채용이 아니라 오히려 축소를 해야하는데 이대로는 힘들다 생각이 돼서 대출받아서 억지로 채용을 하려고 하느라 쫄보가 됐습니다 ㅋ
1
다람쥐
넵 부담이 된다면 스스로 노동부 표준안을 상세히 지켜 최대한 안전빵인 계약서를 쓸 수밖에 없을 것 같아요
만약 리스크가 있다면 노동부진정-형사고발까지 고려할 때 오십만원정도 사전비용 지출은 감안을 하셔야겠지요 ㅠㅠ
[글쓴이]
노동부의 표준근로계약서를 봤는데 상여금, 보너스라던지 주휴수당 포괄임금제, 연월차라던지 디테일하게 파고들수록 한계가 느껴지더라고요 ㅎㅎ 그래서 이렇게 시간 들이고 스트레스 받느니 유료서비스를 받자고 결정된 사항인데 헐~ 이리 비싸? 이렇게 된거죠~ 혹시라도 관계업무를 보시는 분들이 아니 이정도의 서비스에 이게 비싸다고? 라고 불쾌하셨다면 죄송하단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저희도 무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종이라 해당 업무를 의뢰하러 온 클라이언트들이 아니 이게 뭐 이리 비싸요? 하면 울화통이 터지거든요~ 그냥 아둥바둥 사는 영세회사... 더 보기
노동부의 표준근로계약서를 봤는데 상여금, 보너스라던지 주휴수당 포괄임금제, 연월차라던지 디테일하게 파고들수록 한계가 느껴지더라고요 ㅎㅎ 그래서 이렇게 시간 들이고 스트레스 받느니 유료서비스를 받자고 결정된 사항인데 헐~ 이리 비싸? 이렇게 된거죠~ 혹시라도 관계업무를 보시는 분들이 아니 이정도의 서비스에 이게 비싸다고? 라고 불쾌하셨다면 죄송하단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저희도 무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종이라 해당 업무를 의뢰하러 온 클라이언트들이 아니 이게 뭐 이리 비싸요? 하면 울화통이 터지거든요~ 그냥 아둥바둥 사는 영세회사의 넋두리라고 여겨주세요~ 사실 이번에 직원을 채용하게 된다면 그 직원이 회사에서 제일 많은 연봉을 받게 된다는... 그런데 뭐하러 회사를 운영하고 그런데서 일하냐 나가서 차라리 알바를 하라는 생각을 하실지도 모르는데 그게 또 쉽지 않네요. 아.. 갑자기 댓글을 쓰다보니 울적해지네요
1
다람쥐
아니에요 그런 디테일 항목을 원하신다면 초반에 컨설팅을 받으시는게 좋을거같아요 ㅠㅠ 에구 잘되시길 바랄게요!!
[글쓴이]
감사합니다람쥐!
1
맥주만땅
금액이 부담되면 지금같이 일하고 있는 세무사 사무소에 물어보시는 것도....

월급 및 4대보험 계산만 잘하면 노무 문제가 발생할 일은 적으니...
[글쓴이]
세무사 사무소에 물어보기는 했는데 아무래도 급여 외의 여러 복지문제라든지 디테일한 부분에서는 답변을 주시기 어려워합니다. 그래서 다른 방법을 찾고있는중입니다.
싸요. 하지만 단발서비스가 50이면 차라리 노무관리자문 연간계약체결하세요. 근로자 1인당 월 10만원 미만일 겁니다. 4대보험관리까지 해주고요. 골 아픈 일 생겼을 때 너무사에게 세세하게 자문 받을 수 있어요.
단발이든 정기계약이든 무조건 이득입니다.
키티호크
다만 성의있는 노무사가 누군지 알아는 보세요.
어느 직종이든 연락이 잘 안되거나 듣는 귀가 열려있지 않는 사람은 피하셔야 합니다. 누가 누군지 모르니 한 서너 곳 방문하시는 게...
키티호크
아이쿠, 실수 했습니다. 월관리 정기계약이 인당 월 1만원 이하일겁니다.
[글쓴이]
단발서비스인데 비용이 단발치고는 (제 기준에서) 부담스러워서 질문글을 남겼었습니다. 일단 다른 노무사 사무실을 몇군데 더 알아보고 진행 할 계획입니다. 인당 1만원으로 월 관리 서비스도 있던데 기본 셋팅비는 추가로 발생하더라고요. 답변 감사합니다.
저도 노무사고... 최근에 근로계약서 + 급여체계 정비 5인 미만 사업장 50만원으로 해드린 적 있습니다.
근로계약서 쓰는게 언뜻 쉬워보여도 근무시간 및 직급 등을 고려해서 급여체계 자체를 바꿔야하는 상황이 올 수 있기 때문에...
키티호크님 말대로 자문 계약하시는게 속편하실 듯 합니다 ㅎㅎ 이건 단발성이지만 자문은 근로조건 변경시 수반되는 근로계약서 재작성 요청은 물론 인사노무 전체에 대해 언제나 물어볼 수 있으니까요
[글쓴이]
하품님의 답변 감사합니다. 절대 쉬워보이는 서비스인데 너무 비싸다... 라는 의도는 아니었습니다. 다만 막연한 생각보다 부담되는 비용이라 문의를 남겼었습니다. 회사 입장에서는 1인 채용을 위한 노무상담으로 가정했을 때 그 비용은 부담이 크네요 ^^; 내부 검토 후 다시 진행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987 법률종합소득세 질문입니다. 6 [익명] 18/11/29 2409 0
5889 법률회칙작성에 있어서 이사의 권한 문제 3 [익명] 18/11/14 2903 0
5871 법률돈을 못받은 상태에서 상대방이 잠수를 탔습니다. 3 [익명] 18/11/11 2853 0
5841 법률자취방 계약 관련질문. 서류를 뗐는데 계약 해도 될지 조언구합니다. 19 [익명] 18/11/06 4923 0
5809 법률월세 체납 세입자 소송 관련 질문 드립니다. 6 쪼아저씨 18/11/02 3869 0
5761 법률원천징수대상, 프리랜서.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요. 3 [익명] 18/10/28 2534 0
5736 법률피고가 폐문부재로 송달되지 않아 보정명령이 날아왔는데요 10 별빛 18/10/25 7099 0
5729 법률정신분열증이 의심되는데, 현역입영 대상자입니다. 18 [익명] 18/10/24 5129 0
5728 법률사내이사 관련 질문입니다 5 헬리제의우울 18/10/23 4521 0
5725 법률조합원 아파트 해지 방법이 궁금합니다. 4 평택사는사람 18/10/23 5509 0
5686 법률교통사고에 대한 조언 부탁드립니다. 3 [익명] 18/10/18 2387 0
5633 법률이 경우 저작권이 어디에 있을까요? 5 [익명] 18/10/11 2550 0
5592 법률노무사와의 상담 비용에 관해 문의드립니다. 14 [익명] 18/10/04 9458 0
5584 법률손해배상 책임에 대한 질문?? 2 2032.03.26 18/10/03 3409 0
5582 법률재판일정을 확인 할 수 있나요? 4 [익명] 18/10/03 5204 0
5579 법률법률상 부모가 돌아가신 상태에서의 호적정리? 에 대해 여쭙습니다 1 [익명] 18/10/03 4054 0
5574 법률월세 살던 중 이사 가는데 가스렌지 더럽게 썼다고 교체비용 깐다는 주인 6 tannenbaum 18/10/02 6027 0
5516 법률분실/도난 후 신용카드 사용 10 [익명] 18/09/26 2675 0
5514 법률미란다 고지와 관련해서 3 캣리스 18/09/26 4978 2
5448 법률고등교육법 학위취득유예 항목에 관하여 1 [익명] 18/09/14 2482 0
5424 법률태아 성감별 관련 질문(32주? 33주?) 5 [익명] 18/09/10 3095 0
5342 법률동종업계 취업금지 효력 11 인생 18/08/29 4921 0
5321 법률프로그램의 확률적 동작 결과에 대한 법적 검증에 대한 질문입니다. 14 이울 18/08/25 5455 0
5318 법률양육비 관련 문의를 드리고자합니다. 6 [익명] 18/08/24 2839 0
5310 법률아파트 전세 관련 집주인의 해결 범위 질문입니다. 16 메존일각 18/08/23 4178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