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5/11/20 13:17:28
Name   언제나봄
Subject   사회학이란 무엇일까요
사회학이 주전공인 4학년 학생입니다. 근데 아직 사회학에 대해 모르겠어요.
사실 요새 여기저기서 4년 전공 배워도 잘 아는사람 없다는 글을 많이 봐서 그걸로 위안삼곤 했는데 졸업을 앞둬서 그런지 이게 옳은건지 의문이 듭니다.

인터넷에서 보이는 사회학을 전공하신 분들을 보면 글도 잘쓰이고 전공지식에 대해도 많이 아시는것같은데 저는 정말 사회학이 뭔지 모르겠습니다.  아는 사회학자라 해봤자 콩트 막스 베버. . 음. . 아 뒤블린도 꼽을 수 있겠네요.

어딜가서 사회학전공이라 선뜻 말하기 힘듭니다. 아는 사회학자들도 거의 없고 뭔지도 잘 모르니. .  그렇다고 여태껏 수업을 열심히 안들은것도 아니거든요.  개론부터 시작해서 갈등론 계층론 산업사회학 등. .  성적도 대부분 비플러스 이상이었는데.  사실 생각해보면 사회학의 이론에 대해서 배운건 사회학사 수업이 거의 유일한것 같기도  하구요.
오히려 이론에 관해 말하라하면 복수전공으로 전공한경영이나 경제학 이론을 더 많이 아는것같아요.

이제 졸업하면 저는 제1전공이 사회학이 되는데 좀 부끄러운생각이 들어 글남깁니다.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많은 의견 부탁드려요!

    



0


천무덕
사이버대 경영학과 4학년이고 1학기까지 평균 4.33점을 받았습니다. 누가 저한테 경영이 뭐냐고 물어보면 대답하기 난감합니다. 뭘 배웠는지 모르겠어요.

학사 수준이라면 다 똑같지 않을까요?
언제나봄
학사 수준이라면 다 똑같겠지 뭐!! 라는 생각으로 여태껏 버텼는데.. 졸업을 앞둬서 그런가 회의감이 드네요 크크ㅠㅠ
비익조
음.. 저는 정치학과 졸업생이고, 사회학에 흥미가 있어서, 사회학을 부전공 만큼 많이 들었습니다만, 두 학문에 대해 말해달라고 하면 저 또한 멍때리게 됩니다.
그냥 제가 느끼기에 사회학은 사회를 실험실로 끌어들여서 무언가 법칙을 발견하려고 하는, 일종의 물리학식 문과라는 느낌이 들더군요.
물리가 과학을 발전시키는 가장 빠른 학문이라면, 사회학은 사회의 현상이 나타나면 그것을 종합해서 규칙적으로 만들려고 하는, 가장 느린 학문이라는 표현을 교수님께서 하셨는데
저 또한 공부하면서 그것을 가장 크게 느꼈다고 말씀드릴 수 있네요. 그리고 또한 사회 현상을 과학적으로 계량화 하려고 하다 보니까, 당연히 약점도 많이 생기고... 그래서 신뢰도 라는 지표도 생기고.. 그것이 사회학의 고민이라는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언제나봄
맞습니다. 잘생각해보면 예전 수업시간때 관련되서 몇가지 말씀을 들었던 기억이 나긴..나네요
제 생각에도 뭔가 계량화 하려고 하면서 사회학의 본질에 대해 의문이 들기 시작하더라구요. 계량화하고 통계 건드리고 있으면 괜시리 이건 사회학이 아니라 통계나 다른쪽 영영 같다는 생각이 들었던 기억이 나네요 흐흐. 답변 감사합니다.
눈부심
생물이 고도의 지능을 가졌다는 건 미래를 예측하는 능력이 있는 거래요. 과학의 목적이 바로 미래를 예측가능하게 하는 것인데 그런 특징을 염두에 두고 인간본성의 집단적인 발현을 과학적으로 풀어내려고 노력하는 학문이 사회학인 것 같아요.
언제나봄
쓸데없이 사회학 관련해서 생각만 많아지고 했는데, 한줄요약으로 답변 달아주셨네요. 명쾌하면서도 내공에 감탄합니다!! 감사합니다 흐흐
하니남편
통계아닌가요??? 통계적으로 데이터 뽑아서 현제상황을 판단하거나 미래를 예측거나 하는거죠. 이상 이공계열 출신이 샹각하는 사회학이란거네요
언제나봄
크크 그래서 통계배우면서 내가 통계학과인가 라는 생각도 했었네요. 실제로 통계학이면 좀 더 엄청나고 복잡한걸 통계 돌리겠지만요(...)
어부박씨
전공자도 뭐도 아닙니다만.. 어떠한 현상이나 문제에 대해 개인적 속성으로 접근하면 심리학이 되고, 사회 구조의 속성에서 접근하게 되면 사회학이다. 라는 구분을 본적이 있어요.
언제나봄
아, 그 말도 맞는것 같아요. 사실 제가 원래는 심리학을 전공하려다 사회학을 전공하게되서(...) 그런식으로 볼 수도 있겠네요. 감사합니다.
오로지
사회학 석사과정입니다. 사회학은 이론이 없는 것에 가까울 정도로 갈길이 먼 학문인게 맞는 것 같습니다. ...정신승리같긴 하지만 장점은 거꾸로 이것 저것 건드려도 허용된다는 거구요.
오로지
진짜진짜 거칠게 말하자면 사회학은 계몽주의의 산물인 경제학(과 마르크스주의)을 공격하기위해 나온 반계몽주의의 적자이기 때문에...이론화에 태생적인 한계가 있다고 봅니다.
언제나봄
답변 감사합니다. 저도 사회학은 이것저것 다 건드려도 된다는걸 장점삼고 정신승리 하곤 했었는데(..)
그런데 사회학이 경제학을 공격하기 위해.. 그리고 마르크스주의를 공격하기 위해 나왔나요?? 좀 더 자세히좀 설명 부탁드려도 될까요?
제가 복수전공을 경제학으로 택한것도 경제학 까려고 택하기도 한거여서 그런지(..) 흥미 돋네요 크크
오로지
답변이 늦었네요. 베버와 마르크스의 관계야 유명하니까 넘어갈게요. 콩트에서 뒤르켐으로 이어지는 사회학의 전통은 혁명의 혼란 속에서 \'(사회)질서\'를 탐구하고 구축하는 것이 목표였습니다. 이들은 <사회의 이성적 조직화>를 추구하는 계몽주의적 프로젝트에 반발해서 사회의 이성적 조직화가 불가능한 이유, 즉 관습, 전통, 종교, 감정의 문제를 탐구했습니다. 뒤르켐식으로 말하자면 보이지 않는 손이 돌아가는 이유도 보이지 않는 손에 적합한 윤리적 질서가 존재하니까 가능하다는 거죠. 이들 초기 사회학자들이 말년에 종교를 창시하고 ... 더 보기
답변이 늦었네요. 베버와 마르크스의 관계야 유명하니까 넘어갈게요. 콩트에서 뒤르켐으로 이어지는 사회학의 전통은 혁명의 혼란 속에서 \'(사회)질서\'를 탐구하고 구축하는 것이 목표였습니다. 이들은 <사회의 이성적 조직화>를 추구하는 계몽주의적 프로젝트에 반발해서 사회의 이성적 조직화가 불가능한 이유, 즉 관습, 전통, 종교, 감정의 문제를 탐구했습니다. 뒤르켐식으로 말하자면 보이지 않는 손이 돌아가는 이유도 보이지 않는 손에 적합한 윤리적 질서가 존재하니까 가능하다는 거죠. 이들 초기 사회학자들이 말년에 종교를 창시하고 그런건 이들이 자신의 프로젝트에서 일탈해서라기보다 오히려 이론적으로 당연한 결론에 이른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만 말하면 완전 반동주의자같긴 하지만 꼭 그런건 아닌데요, 제가 사회학을 반계몽주의의 산물이라고는 했지만 초기 사회학자들은 종교나 정념같은 요소들의 긍정적인 면을 \'이성적으로 설명\'하려고 했다는 점에서 계몽주의의 자장 속에 속한 이들이기도 했습니다. 또 심하게 말하자면... 계몽주의의 반동적 분파쯤 되는 거죠;; 여하간 그러다보니 사회학자들은 자신이 진보적이든 보수적이든 경제학을 보면 \'세상이 그것만으로 돌아가나 친구야\'라고 외치게 되는 겁니다 크크. 사회학자들이 흔히 하는 이론은 좋지만 현실에는 적용이 안된다는 식의, 또는 세상을 경제라는 한가지 요소로만 설명할 수 없다는 한심한 마르크스주의 비판도 결국 그런 맥락이구요. 세상이 \'그것만으로는 설명 안된다\'는 사회학의 주장은 사실 이미 설명된 것 바깥의 요소들을 끊임없이 발굴하려는 지향을 가지는데 이런 것들은 사실 본인도 설명 못하거든요. 사회학의 이론화가 부족한 어떤 무의식적 지향이 여기에 있습니다. 사회학의 대상은 \'사회\'이어야 하는데, 사회학은 반대로 \'그것만으로는 사회가 설명안된다\'고 계속 외치고 따라서 시지프스의 여정스러운 학문적 여행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08 기타이거 머가 문제일까요??.jpg 2 김치찌개 15/11/19 5038 0
509 진로주말 대구 ktx 문의드립니다. 6 개발자 15/11/19 5109 0
510 의료/건강채혈 및 헌혈 시 항상 피멍이 듭니다. 4 와우 15/11/19 6653 0
511 기타사회학이란 무엇일까요 14 언제나봄 15/11/20 3976 0
512 가정/육아초등학교4학년, 1학년 책선물 뭐가 좋을까요? 5 가이브러시 15/11/20 6750 0
513 IT/컴퓨터레이저 프린터에 정품토너? 3 바코드 15/11/20 4416 0
514 의료/건강귀를 파도 되는 건가요? 12 니생각내생각b 15/11/21 5371 0
515 기타멜데스 노래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8 Lionel Messi 15/11/21 5376 0
516 기타imgur 이거 머가 문제일까요??.jpg 2 김치찌개 15/11/21 4100 0
517 체육/스포츠한국 프로야구 수준에 대해서. 18 선비 15/11/22 6318 0
518 연애어떻게 하는 게 가장 좋을까요? 9 헤칼트 15/11/22 5035 0
519 기타운전면허를 따려고 합니다. 4 아이유 15/11/22 4097 0
520 기타현대카드 엠포인트 질문입니다. 7 ORIFixation 15/11/22 5760 0
521 IT/컴퓨터css2 질문입니다. 3 얼그레이 15/11/23 3425 0
522 법률바람 피운 상대를 때리고 고소당할수도 있겠죠? 2 베스트F 15/11/23 5367 0
523 기타쌍문동 방면 맛집 추천 부탁드립니다. 4 구밀복검 15/11/24 4239 0
524 체육/스포츠운동관련 질문 드립니다 1 nickyo 15/11/24 3630 0
525 기타방향제 질문입니다 3 김치찌개 15/11/24 3126 0
526 기타군입대 직전에 할만한것이 뭐가 있을까요?? 9 Yato_Kagura 15/11/24 4049 0
527 IT/컴퓨터쏘카 이용해보신 분들 계신가요? 14 Toby 15/11/24 7764 0
528 문화/예술단호박을 가지고 어떻게 요리해야 할까요? 8 王天君 15/11/24 5570 1
529 IT/컴퓨터태블릿 PC 추천 부탁드립니다. (서피스?) 10 남화노선 15/11/25 8348 0
530 홍차넷스마트폰으로 홍차넷을 볼 때 브라우저가 자주 죽어요 3 oh! 15/11/25 5204 0
531 IT/컴퓨터홍차넷 아이패드로 모바일 접속 어떻게 하나요? 1 우루추추 15/11/25 4246 0
532 IT/컴퓨터IT/컴퓨터 카테고리 위주로 보는 유저입니다. 9 레코드 15/11/26 4006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