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8/07/03 00:20:30 |
Name | [익명] |
Subject | 공학계열 석사->취업->박사 질문 |
제목 그대로 석사하고 연구소 취업해서 3년 정도 다니다가 박사 진학하는 게 메리트가 있을까요? 석박을 연속으로 하면 문제가 되는 것들을 여러 가지 적어 보긴 했는데 다 지웠습니다 대학원 월급을 감안하더라도 결국 집안 사정상 금전적으로 부담이 될 거 같아서입니다 그리고 박사 이후에 취업을 할 텐데 취업 경험이 도움이 될 것 같아서? .... 제가 적어봐도 그냥 막연한 생각들이네요 석사하고 대학원 생활에 적응 못하고 그냥 취업해서 살지도 모르지만 궁금해서 적어봤습니다 0
|
공학계열이시면... 당장 벌어오는 월급이 아쉬운 상황이 아니시라면... 박사는 월급 받으며 다니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집에 부담을 주는 경우는 드물 겁니다 (플젝을 따기 힘든 과가 아닌 한...)
박사 전에는 자소서와 인적성으로 취업을 해야 하지만 박사 후에는 연구 아웃풋으로 취업을 합니다. 석사가 회사에서 받는 롤과 박사가 회사에서 받는 롤이 전혀 다르다는 점에서... 석사 후 회사 생활 경력이 박사 후에 아주 큰 도움이 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석사 하고 회사에 가보면... 박사가 아쉬울 때가 있기는 합니다. 그렇... 더 보기
박사 전에는 자소서와 인적성으로 취업을 해야 하지만 박사 후에는 연구 아웃풋으로 취업을 합니다. 석사가 회사에서 받는 롤과 박사가 회사에서 받는 롤이 전혀 다르다는 점에서... 석사 후 회사 생활 경력이 박사 후에 아주 큰 도움이 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석사 하고 회사에 가보면... 박사가 아쉬울 때가 있기는 합니다. 그렇... 더 보기
공학계열이시면... 당장 벌어오는 월급이 아쉬운 상황이 아니시라면... 박사는 월급 받으며 다니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집에 부담을 주는 경우는 드물 겁니다 (플젝을 따기 힘든 과가 아닌 한...)
박사 전에는 자소서와 인적성으로 취업을 해야 하지만 박사 후에는 연구 아웃풋으로 취업을 합니다. 석사가 회사에서 받는 롤과 박사가 회사에서 받는 롤이 전혀 다르다는 점에서... 석사 후 회사 생활 경력이 박사 후에 아주 큰 도움이 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석사 하고 회사에 가보면... 박사가 아쉬울 때가 있기는 합니다. 그렇지만 박사하러 돌아가기는 힘들어요... 일단 연구실에 있던 때랑 몸이 고단하기는 마찬가지인데 월급이 훨씬 많거든요..
이상 세 가지 이유로 박사가 아쉬우시면 그냥 쭉 이어서 하십쇼.
박사 전에는 자소서와 인적성으로 취업을 해야 하지만 박사 후에는 연구 아웃풋으로 취업을 합니다. 석사가 회사에서 받는 롤과 박사가 회사에서 받는 롤이 전혀 다르다는 점에서... 석사 후 회사 생활 경력이 박사 후에 아주 큰 도움이 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석사 하고 회사에 가보면... 박사가 아쉬울 때가 있기는 합니다. 그렇지만 박사하러 돌아가기는 힘들어요... 일단 연구실에 있던 때랑 몸이 고단하기는 마찬가지인데 월급이 훨씬 많거든요..
이상 세 가지 이유로 박사가 아쉬우시면 그냥 쭉 이어서 하십쇼.
음...
사실 저같은 정부출연연구소는 학위하는게 업무시간에만 안 겹치는 파트타임이면 큰 터치 없이 오히려 권장하기도 하는 풍조입니다만 사기업은 어떨지 모르겠네요. 저도 지금 다니면서 학위 하고 있긴 하지만...
풀타임 박사를 하신다고 하면 좀 고민이 필요하실 것 같은데요 아무래도 벌이라든지 하는 현실적인 문제가 있기때문에 고민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석사로 연구소 들어가면 그래도 월 300이상은 나올텐데 박사 가는 순간 국가R&D사업이면 내부인건비 계상이 박사과정생이 100중후반이던가 그랬던거같은니 아무래도 차이가 크긴 ... 더 보기
사실 저같은 정부출연연구소는 학위하는게 업무시간에만 안 겹치는 파트타임이면 큰 터치 없이 오히려 권장하기도 하는 풍조입니다만 사기업은 어떨지 모르겠네요. 저도 지금 다니면서 학위 하고 있긴 하지만...
풀타임 박사를 하신다고 하면 좀 고민이 필요하실 것 같은데요 아무래도 벌이라든지 하는 현실적인 문제가 있기때문에 고민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석사로 연구소 들어가면 그래도 월 300이상은 나올텐데 박사 가는 순간 국가R&D사업이면 내부인건비 계상이 박사과정생이 100중후반이던가 그랬던거같은니 아무래도 차이가 크긴 ... 더 보기
음...
사실 저같은 정부출연연구소는 학위하는게 업무시간에만 안 겹치는 파트타임이면 큰 터치 없이 오히려 권장하기도 하는 풍조입니다만 사기업은 어떨지 모르겠네요. 저도 지금 다니면서 학위 하고 있긴 하지만...
풀타임 박사를 하신다고 하면 좀 고민이 필요하실 것 같은데요 아무래도 벌이라든지 하는 현실적인 문제가 있기때문에 고민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석사로 연구소 들어가면 그래도 월 300이상은 나올텐데 박사 가는 순간 국가R&D사업이면 내부인건비 계상이 박사과정생이 100중후반이던가 그랬던거같은니 아무래도 차이가 크긴 하죠. 이 부분을 어떻게 해결하느냐가 중요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그리고 석사는 대부분 기술원, 박사는 연구원으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은데 아무래도 업무의 롤이 다르기도 하지만 대우도 다소 다르긴 합니다. 나중에 파트타임으로 박사를 해도 이거는 잘 안바뀌더라구요.
사실 저같은 정부출연연구소는 학위하는게 업무시간에만 안 겹치는 파트타임이면 큰 터치 없이 오히려 권장하기도 하는 풍조입니다만 사기업은 어떨지 모르겠네요. 저도 지금 다니면서 학위 하고 있긴 하지만...
풀타임 박사를 하신다고 하면 좀 고민이 필요하실 것 같은데요 아무래도 벌이라든지 하는 현실적인 문제가 있기때문에 고민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석사로 연구소 들어가면 그래도 월 300이상은 나올텐데 박사 가는 순간 국가R&D사업이면 내부인건비 계상이 박사과정생이 100중후반이던가 그랬던거같은니 아무래도 차이가 크긴 하죠. 이 부분을 어떻게 해결하느냐가 중요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그리고 석사는 대부분 기술원, 박사는 연구원으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은데 아무래도 업무의 롤이 다르기도 하지만 대우도 다소 다르긴 합니다. 나중에 파트타임으로 박사를 해도 이거는 잘 안바뀌더라구요.
- 석-취-박 장점
1. 내가 연구가 더 맞는 사람인지 회사가 맞는 사람인지 좀 더 이른 타이밍에 알 수 있음. 하지만 석사하는동안 잘 생각해보면 취직 안해보고도 결정할 수도 있음.
2. 석사해보면서 이 교수 맘에 안든다 싶을 때 다른 연구실로 박사 옮기는 과정이 좀 더 부드럽게 보일 수 있음.
3. 해외 박사 생각 시 돈이 많이 부족할 것 같을 때 취직해서 약간이라도 모아서 가는 게 도움이 될 수도 있음.
- 단점
1. 남자-군대-학사졸-석사-취업-박사 경우 나이가 엄청나진다. 중간에 취직해서 모았던 돈 몇 푼 ... 더 보기
1. 내가 연구가 더 맞는 사람인지 회사가 맞는 사람인지 좀 더 이른 타이밍에 알 수 있음. 하지만 석사하는동안 잘 생각해보면 취직 안해보고도 결정할 수도 있음.
2. 석사해보면서 이 교수 맘에 안든다 싶을 때 다른 연구실로 박사 옮기는 과정이 좀 더 부드럽게 보일 수 있음.
3. 해외 박사 생각 시 돈이 많이 부족할 것 같을 때 취직해서 약간이라도 모아서 가는 게 도움이 될 수도 있음.
- 단점
1. 남자-군대-학사졸-석사-취업-박사 경우 나이가 엄청나진다. 중간에 취직해서 모았던 돈 몇 푼 ... 더 보기
- 석-취-박 장점
1. 내가 연구가 더 맞는 사람인지 회사가 맞는 사람인지 좀 더 이른 타이밍에 알 수 있음. 하지만 석사하는동안 잘 생각해보면 취직 안해보고도 결정할 수도 있음.
2. 석사해보면서 이 교수 맘에 안든다 싶을 때 다른 연구실로 박사 옮기는 과정이 좀 더 부드럽게 보일 수 있음.
3. 해외 박사 생각 시 돈이 많이 부족할 것 같을 때 취직해서 약간이라도 모아서 가는 게 도움이 될 수도 있음.
- 단점
1. 남자-군대-학사졸-석사-취업-박사 경우 나이가 엄청나진다. 중간에 취직해서 모았던 돈 몇 푼 이상의 손실 발생
2. 여자라서 군대를 안 간다면 더 어린 나이에 졸업 가능하나 어차피 결혼 적령기가 간당간당하다. 시간은 돈으로 살 수 없음...
- 석사 후 정출연 들어갈 수 있으면 들어가는게 좋긴 한데 석사출신 잘 안 뽑습니다... (잘 안뽑는게 아니라 전혀 안 뽑는 곳도 있음) 혹여나 들어가도 파트타임 박사따기 꽤나 오래걸림. 그래도 기회되면 일단 들어가서 생각하는게 좋습니다. 어차피 박사 후에 주로 가고자 하는 길은 정출연 아니면 교수 테크일텐데 교수할 거 아니면 석사-정출연이면 개이득일테니까요... 그리고 정출연이든 교수코스든 석사 후 취업경력 필요없습니다
1. 내가 연구가 더 맞는 사람인지 회사가 맞는 사람인지 좀 더 이른 타이밍에 알 수 있음. 하지만 석사하는동안 잘 생각해보면 취직 안해보고도 결정할 수도 있음.
2. 석사해보면서 이 교수 맘에 안든다 싶을 때 다른 연구실로 박사 옮기는 과정이 좀 더 부드럽게 보일 수 있음.
3. 해외 박사 생각 시 돈이 많이 부족할 것 같을 때 취직해서 약간이라도 모아서 가는 게 도움이 될 수도 있음.
- 단점
1. 남자-군대-학사졸-석사-취업-박사 경우 나이가 엄청나진다. 중간에 취직해서 모았던 돈 몇 푼 이상의 손실 발생
2. 여자라서 군대를 안 간다면 더 어린 나이에 졸업 가능하나 어차피 결혼 적령기가 간당간당하다. 시간은 돈으로 살 수 없음...
- 석사 후 정출연 들어갈 수 있으면 들어가는게 좋긴 한데 석사출신 잘 안 뽑습니다... (잘 안뽑는게 아니라 전혀 안 뽑는 곳도 있음) 혹여나 들어가도 파트타임 박사따기 꽤나 오래걸림. 그래도 기회되면 일단 들어가서 생각하는게 좋습니다. 어차피 박사 후에 주로 가고자 하는 길은 정출연 아니면 교수 테크일텐데 교수할 거 아니면 석사-정출연이면 개이득일테니까요... 그리고 정출연이든 교수코스든 석사 후 취업경력 필요없습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