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8/06/21 23:22:03
Name   化神
Subject   읽어보고는 싶으나 너무 어려운 책이어서 도전하지 못한 책이 있다면???
읽어보고 싶지만 너무 어려운 책이어서 도전하지 못한 책이 있다면???

이건 기본적인 교양서지만 읽기 너무 어렵다 싶은 책이 무엇이 있을까요?

저는 언뜻 플라톤의 '국가' 가 떠오르는데요,


비슷한 느낌으로
사람들이 누구나 읽었다고 말하지만 실제로는 읽지 않은 책으로

[1984], 조지 오웰
[전쟁과 평화], 레프 톨스토이
[위대한 유산], 찰스 디킨스
[호밀밭의 파수꾼], JD 샐린저
[인도로 가는 길], EM 포스터
[반지의 제왕], JRR 톨킨
[앵무새 죽이기], 하퍼 리
[죄와 벌],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오만과 편견], 제인 오스틴
[제인 에어], 샬럿 브론테

것들이 꼽힌다고 하는데, 한 번 리스트를 만들어 본다고 하면 어떤 책들이 등장하게 될까요?



0


졸려졸려
잘은 모르지만 이바닥에선 역시 피네간의경야 아닐까요?
물론 저는 안읽었습니다.
검색해보니, 네 저도 읽을 수 없겠군요...
Weinheimer
율리시스요. 지금 제 모니터 받침으로 맹활약하고 있습니다.
알료사
문학은 그냥 취향 안맞아서 재미 못느끼니까 안읽는거 같고 각잡고 읽으려 해도 못읽겠는 책들은 비문학쪽에 많지 않을까요 ㅎ
사나남편
저위에 5권 읽었는데...중학교2학년 이전에 읽었습니다. 물론 기억이 안납니다.

읽고싶은데 안읽고 있는건...춘추전국이야기...ㅜㅜ
다시갑시다
https://redtea.kr/?b=31&n=73513
읽어봤자 무의미 할수도...
레지엔
누구나 읽었다고 말할만큼 유명하진 않지만, 미셸 푸코의 [광기의 역사]가 그랬습니다. 10년에 걸쳐서 읽었는데 전혀 머리에 남은 게 없음...
월화수목김사왈아
그 많은 광인들 다 어디로 갔냐하면 다 바다로 보냈...
2
Darwin4078
판본이 뭐였나요? 나남출판에서 나온건 그래도 볼만합니다.
레지엔
나남이었네요. 진짜 10년 동안 한 4-5번 정도 읽었는데 뭐... 이건 읽은 것도 아닌...
저는 로저 펜로즈의 [실체에 이르는 길]과 리사 랜들의 [숨겨진 우주]가 너무 어려웠습니다.

교양물리학 책들을 좋아하는지라 이리저리 두리번거리다 도서관서 집게 된 책인데 책장을 넘기다가 벽에 부딫힌 기분이 들덥니다.

수학공부를 열심히 했어야 했는데... :)

모두가 들어만 보고 안읽어본 과학책에는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나 브라이언 그린의 [엘러건트 유니버스]가 있을 것 같아요.
1
풉키풉키
실마릴리온 엄청 안 읽히던데
캡틴아메리카
Serge Lang, SL_2(R)
Darwin4078
어쩌다보니 본문의 인도로 가는 길 말고는 다 읽었는데요... 문학쪽은 그냥저냥 읽다보면 재미를 느끼게 되더라구요.

푸코의 말과사물. 이건 진짜 번역이 개판이라고 생각하는것이, 대우학술총서라고 쌍팔년도에 나온 걸로 읽었는데 정말 첫페이지부터 뭔말인지를 모르겠더라구요. 비교적 최근에 민음사에서 나온건 그래도 좀 읽어줄만 했습니다.
근데 헤겔이나 칸트 쪽은 중2병으로라도 못읽겠다 싶습니다. 특히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은... 아... 내가 진짜 아는게 없구나. 싶은 생각이...
1
이기적 유전자요.
내용보다는 번역이 진짜 좀...그래요.
Danial Plainview
무려 첫문장부터...
Danial Plainview
니체의 <차라수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 적당히 해야지 이건 소설을 철학처럼 쓰는 것으로도 모자라서 철학을 소설처럼 쓰고 있어서...
3
다람쥐
저도 한 절반 읽고 못읽ㅋㅋㅋㅋ
정의반복
니체랑 카뮈의 시지프 신화요
시지프 신화는 몇번이고 중간중간 되돌아가며 끝까지 읽기는 했는데 도저히 무슨말인지 모르겠어요.
2032.03.26(아서 모건)
본문하고 조금 다른 내용이지만....

제가 나름 학생때까진 독서광이었는데

처음 관문을 느낀게

5학년때 파우스트 였습니다.

뭐 나중에 나이먹고 읽긴 했습니다만 흐흐

그리고 중학교때 중2병에 빠져서 장미의 이름, 푸코의 진자 샀다가 멘붕.....
1
Under Pressure
중3때 허영심에 파우스트 처음 읽어보고 세상에는 못 읽는 책도 있다는걸 처음 알았습니다..
다람쥐
오 저도 초딩3때 알베르까뮈의 이방인 읽다가 책 끊을 뻔(?) 했어요 !!!
DoubleYellowDot
라캉과 들루즈는 다 힘드네여.
로즈니스
제인에어랑 1984년은 재밌었어요. 백수때 그렇게 어렵다고 생각하진 않고 읽었는데....물론 1984년에서 음성학 어쩌고...지금 딱히 자세히 기억은 안나는데 굿 베러 베스트가 아니라 신문법을 적용하면 굿 더블굿 플러스굿같이 대형측에서 시도한 문법을 정말 단순화하는 정책... 블라블라 언어학에 대한건 좀 대충 읽긴 했습니다. 줄거리자체는 빅브라더 체제 아래에서의 늙은이와 이중간첩녀성의 은근 꿀잼러브스토리도 많고 재밌었어요. 제가 제대로 이해했느냐는 별개의 문제로 재미는 있었어요. 제인에어는 진짜 꿀잼이던데요..술술 읽히기도 하고.... 더 보기
제인에어랑 1984년은 재밌었어요. 백수때 그렇게 어렵다고 생각하진 않고 읽었는데....물론 1984년에서 음성학 어쩌고...지금 딱히 자세히 기억은 안나는데 굿 베러 베스트가 아니라 신문법을 적용하면 굿 더블굿 플러스굿같이 대형측에서 시도한 문법을 정말 단순화하는 정책... 블라블라 언어학에 대한건 좀 대충 읽긴 했습니다. 줄거리자체는 빅브라더 체제 아래에서의 늙은이와 이중간첩녀성의 은근 꿀잼러브스토리도 많고 재밌었어요. 제가 제대로 이해했느냐는 별개의 문제로 재미는 있었어요. 제인에어는 진짜 꿀잼이던데요..술술 읽히기도 하고..아 원서가 아니라서 그런가 싶긴 한데 나름 어린이용말고도 민음사거 좀 두꺼운걸로도 읽어봤었어요. 나머지는 어려움 린정합니다. 앵무새죽이기도 그렇고........ 호밀밭의파수꾼은 제일 유명한 장면 아이들이 호밀밭 너머로 떨어지지 않게 지켜줄거야...그부분만 계속 읽었던 것 같네요. 나머진 노잼..ㅠㅠ

역사란 무엇인가? 중 2때인가 역사책 제일 먼저에서 봤는데 그거 읽어보신 분 많으신가요 ㅎㅎ

근데 저 덜배우긴 했는데 데카메론......중딩때 교과서에서 봤다 싶어서 함 서점에서 사서 읽어봤는데 개꿀잼입디다....ㅋㅋㅋㅋㅋㅋ
하두취
옛날 책들 중에서는 데카메론, 캔터베리 이야기 류가 정말 꿀잼인 것 같아요... ㅋㅋㅋㅋㅋㅋ
파란아게하
전 칼의 노래 한장을 못넘어갔습니다.
김훈님 에세이는 그럭저럭 힘겹지만 읽어냈는데.
죽음의 한 연구도 한장 못 넘겼던 듯.
극찬하는 사람들 보며 '음.. 저 사람들 뻥일지도'라고 신포도발동.
해외작품들은 번역도 좀 타는 거 같습니다. 저한테 몇 장 이상 잘 안 읽히면 책에 대한 불신이 생기며 번역 탓 합니다.
'백경'은 꾸역꾸역 읽었는데 노잼.... 이게 뭐야 나는 블록버스터를 기대하고 읽었는데 뭔가 다큐같은..
그외 태백산맥은 너무 긴 걸 태백산맥 넘듯이 거의 매일 몇시간씩 스트레칭하면서 6개월 동안 읽었고요. 이 책은... 더 보기
전 칼의 노래 한장을 못넘어갔습니다.
김훈님 에세이는 그럭저럭 힘겹지만 읽어냈는데.
죽음의 한 연구도 한장 못 넘겼던 듯.
극찬하는 사람들 보며 '음.. 저 사람들 뻥일지도'라고 신포도발동.
해외작품들은 번역도 좀 타는 거 같습니다. 저한테 몇 장 이상 잘 안 읽히면 책에 대한 불신이 생기며 번역 탓 합니다.
'백경'은 꾸역꾸역 읽었는데 노잼.... 이게 뭐야 나는 블록버스터를 기대하고 읽었는데 뭔가 다큐같은..
그외 태백산맥은 너무 긴 걸 태백산맥 넘듯이 거의 매일 몇시간씩 스트레칭하면서 6개월 동안 읽었고요. 이 책은 왜 이렇게 길까...
전쟁과 평화, 죄와 벌, 오만과 편견 등도 군대에서 숙제하는 기분으로 봤는데 쏘쏘였습니다. 유일하게 적과 흑만 건짐.
문학사엔 길고 불친절한 소설이 너무너무 많음. 특히 교양필독서에도요.. 쉽게 좀 써주지. 안 읽히는 옛날 교양서보다 오히려 현대의 스티븐 핑커, 제프리 밀러, 마광수 님의 책에서 훨씬 더 많이 배웠습니다. 코스모스도 초반만 넘기면 뒷부분이 꿀잼이라 다행이었고.
제 기준 최고소설은 '라파엘 사바티니 -스카라무슈' 입니다. 절판되서 너무 좋음. 나만 봐야징.
1
Under Pressure
저도 칼의 노래는 한 장도 못 넘기겠던... 김훈 씨의 문체가 저랑 전혀 안 맞는거 같아요. 현의 노래도 그렇구요.
전 칼의 노래는 굉장히 재밌게 읽었는데 현의 노래는 힘들더라구요?!
엄마곰도 귀엽다
그나마 여깄는건 다 읽었는데
전 실마릴리온과 오리엔탈리즘을 완독하지 못 하였나이다.
심지어 오리엔탈리즘은 초반만 읽고 포기한 채
로 레포트도 씀ㅋㅋㅋ
Under Pressure
1984는 나머지에 비하면 나름 직관적인 소설같던데...
유통기한
국부론 포기..
하두취
3년동안 분업 얘기만 읽었습니다....
호로종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이요ㅎㅎ외계어인줄
메아리
ㅜㅜ 그 책을 읽기 위해선 꽤 많은 강의를 미리 들어야...
BibGourmand
괴델, 에셔, 바흐... 수학은 못하고 음악은 모르고 미술에도 문외한이니 노답이더군요 ㅋㅋ
괴델, 에셔, 바흐 혼자서는 완독 못 할듯해서 강독 모임 만들어 읽었습니다. 작년 7월부터 올해 6월까지 1년 걸렸습니다. (뿌듯)
BibGourmand
대단하십니다 ㅋㅋ 리플에 달린 것들 거의 다 읽었는데 이놈만은 GG쳤거든요...
제로스
1984는 삽화 잘넣고 폰트키워 10권쯤으로 나누면 라노벨칸에 꽂혀있어도 위화감이..?
1
오만과편견도...라노벨틱하죠. 저 2개는 재밌는데 말이죠..
하두취
저는 딱 생각나는 책들이라면 단테의 신곡이랑, 라블레의 가르강튀아와 팡타그뤼엘 같은 책들이네요. 맥락을 알아야만 재미있을 것 같은 책들인데, 주석 없이는 한 줄을 이해하기가 너무 힘들어요...
사그루
본문에 목록중 인도로 가는길 빼곤 전부ㅍ다 읽었고..전쟁과 평화빼고는 전부 다 재미있게 읽어서 인도로 가는길을 내일 빌려와야겠다고 다짐했습니다.
저는 의외로 성경이요.. 처음부터 끝까지 다읽은적이 한번도없네요. 딱히 기독교인이 아니라서 그런가 재미가 없어요.
회색사과
푸코의 진자요!!

1권 흥미진진하게 쉬지않고 읽었는데 2권 여는 순간 리셋...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444 문화/예술영화 추천 부탁드려도 될까요? 24 [익명] 18/09/12 2954 0
5353 문화/예술베이징 서우두 공항 근처 괜찮은곳? 별빛 18/08/30 2880 0
5299 문화/예술왜 헐리웃 슈퍼 히어로 영화에선 꼭 로맨스 장면이 나오나요? 10 덕후나이트 18/08/22 3291 0
5256 문화/예술클래식 음악에 관하여 질문드립니다. 25 우분투 18/08/15 5042 1
5254 문화/예술영화 쏘우 시리즈 보신 분들? 질문이 있는데요. 2 [익명] 18/08/14 2630 0
5226 문화/예술일본드라마 제목이 궁금합니다 3 [익명] 18/08/10 2531 0
5200 문화/예술미션임파서블 시리즈 내용 중 질문 입니다.(스포) 2 원스 18/08/06 3527 0
5193 문화/예술한국 칼럼 혹은 책 추천부탁드려요. 2 [익명] 18/08/04 2518 0
5169 문화/예술영화 찾기의 이동진급만 11 파란 회색 18/07/31 3431 0
5163 문화/예술그래비티 IMAX 예매 관련 2 와퍼세트라지 18/07/30 3820 0
5146 문화/예술TV 스트리밍 사이트 추천 부탁드립니다. 2 [익명] 18/07/27 3949 0
5122 문화/예술연기를 해보고 싶습니다 9 녹색문 18/07/23 3992 0
5113 문화/예술무협에서 왜 개방은 거지들이죠? 7 덕후나이트 18/07/22 11870 0
5110 문화/예술사장님과 협상이 가능할까요? 자문을 구합니다! 7 벚문 18/07/22 3153 0
5073 문화/예술축가 추천 및 노래 연습 법 조언 부탁 드립니다. 22 원스 18/07/18 4877 1
5050 문화/예술퀴즈/퍼즐형 추리 소설 작가 좀 알려 주세요. 빠른포기 18/07/15 3956 0
5032 문화/예술숀(SHAUN)이 누군가요? 8 Toby 18/07/13 4170 0
5014 문화/예술Top 100과 Top100(clean)의 차이 2 파란 회색 18/07/11 3254 0
5004 문화/예술도서 정가제는 없어질까요? 3 [익명] 18/07/09 2640 0
4930 문화/예술중국에서는 미인 기준 중에 이마가 있나요? 1 [익명] 18/07/01 3062 0
4871 문화/예술읽어보고는 싶으나 너무 어려운 책이어서 도전하지 못한 책이 있다면??? 42 化神 18/06/21 5419 0
4847 문화/예술이순신 해전 연구의 대가? 4 메존일각 18/06/18 3266 0
4837 문화/예술자신의 인생영화가 무엇인가요? 28 요거트 18/06/15 4993 1
4820 문화/예술................... 5 [익명] 18/06/13 3342 0
4794 문화/예술왕좌의게임 줄거리 정리된 글 있을까요? 3 헬리제의우울 18/06/10 4465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