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8/05/23 18:12:05
Name   [익명]
Subject   노력하면 뭐든지 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몇년전에 진로를 정하고 [어떤 공부]를 시작했는데요.

노력이 부족해서인지...완전히 실패했습니다. 제 목표가 소박한 것이었는데도 불구하고...('대기업에 취직한다' 같은...거창한 목표가 절대 아니었습니다.)

근데 어떤 사람들은 [재능이 없으면 노력해도 소용없다]고 하고,

또 어떤 사람들은 [1~2년만 노력해봐라, 너도 성공할수 있다] 고 조언해줍니다.

어느 쪽이 옳을까요? 홍차넷 여러분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0


사나남편
노력의 기준으로 본다면...사실 상위권이랑 격차를 줄여야되는데요. 그 시간이 은근히 깁니다. 초등학교때부터 하루에 2~3시간만해도 그격차를 잡으려면 상대방이 놀고 있지도 않으니...사실상 단기노력해서 따라잡기는 어렵다고 봐야죠...
김우라만
실패는 뭔가요? 그 분야에서 수 년을 공부한 지식이 있으면 그만큼 성과는 남은 거죠. 관련 지식 쥐뿔도 없으면서 용어 몇 개 줏어들은 거 가지고 전문가 행세하는 사기꾼도 널렸는데 지식을 갖고 있다면 달리 활용할 곳이 있을 겁니다. 잘 찾아보세요.
2032.03.26
저는 맨날 재능 vs 노력 가지고 싸우는게 한심한게

재능이 있건 없건 무언가를 이루려면, 노력해야합니다;;

그 무언가가 내 인생에 중요한 것일수록 말이죠.

다만 중요성이 떨어지는 무언가의 경우에는, 좀 해보다가 재능 없어보이면, 빨리 손절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보고요.
3
다람쥐
재능이 있으면 노력을 단축할 수 있고 재능이 없으면 노력하면 됩니다
여기서 재능은 타고난 천부적 자질이라기보단 “착수 전까지 쌓은 베이스”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베이스가 얼마나 있는지에 따라 노력이 얼마나 필요한지가 다를 것이고
노력으로 들어가는 에너지 시간 등을 모두 고려하여 그걸 계속 할지말지 목표를 설정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맥주만땅
노력도 재능의 일종입니다.

본인이 노력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면 노력하는 재능이 부족한 것일 수 있습니다.

여하튼 너무 좌절하시려 하시지 마시고 다른이들이 어떻게 하는지 벤치마크하시는 것도 중요합니다.
4
어떤 공부가 뭐인지에 따라 완전히 다를 것 같습니다.
어차피 익명인데, 알려주시고 좀 더 자세한 답변을 들어보시는게 좋을 것 같네요.
기쁨평안
무슨 공부를 어떻게 했느냐에 따라 다른 부분도 있지만,
목표가 어느 수준이냐에 따라 또 다르죠.

그냥 취미인건지, 밥벌이인건지, 탑클래스로 가겠다는건지..
그리고 그 분야의 경쟁이 어느정도로 치열한지도 알아야죠.
위에서도 말씀해주셨지만 공부로 따졌을때 엉덩이가 무거운것도 재능이라고 생각합니다.
그거조차 못하는 사람도 많거든요.
노력은 배신하지 않는다고 하지만 그 노력을 어떻게 하는지 깨우치는것도 하나의 재능이고 노력하는 법을 깨우치기 위한 노력도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1
침묵의공처가
자신의 현재 능력도 파악해야하고, 성공과 실패도 기준이 명확해야하며, 성공을 위해 나아가는 노력이 무엇인지 전략과 구체적인 계획이 있어야하는데 아무 생각없이 노력했다는건 좀 안일하다고 봅니다. 재능이니 노력이니를 따지기 전에 내가 너무 생각이 없었구나를 반성하심이 좋아보입니다.
1
기아트윈스
아주 한정된 자원을 놓고 경쟁하는 분야가 아닌 이상 (세계 최정상 뮤지션이 되겠어, 올림픽 금메달을 따겠어, 하버드 교수가 되겠어 등등) 어지간한 대규모 경쟁분야는 동기부여에서 승패가 갈리는 경우가 많아요. 열망의 불꽃이 꺼져갈 때는 왜때문에 하필 내가, 하필 지금, 하필 이걸 해야하는지/하고싶은지/하지 않으면 안되는지에 대해 곱씹어보는 게 도움이 될 거예요. 몇날 며칠을 고민해봐도 결국 [지금 이걸 하는 것] 외에 답이 없다는 자체결론이 확고하게 내려진다면 불꽃이 살아날 테고, 그게 아니라면.... 늦기 전에 대안을 찾아보는 게 더 나을 수도 있구요.
3
노력한다고 모든 것을 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저 자신은 노력하지 않으면 곤란해진다는 것을 알고있으니 노력을 안할 수가 없습니다.
졸려졸려
스스로에게 민망하지 않을만큼 시간과 자원을 투입했는데
안되었다면 그건 내 길이 아닌겁니다.
nearfield
노력을 스칼라로 정의하면 불가능
벡터로 정의하면 가능
방향을 제대로 잡는게 제일 중요하죠. 끈기는 당연히 디폴트로 깔고 가고요.
노력한다고 뭐든지 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노력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이룰 수 없습니다.
2
보이차
재능과 노력만 생각들 하시는데 뭔가 배우는 데 있어서 스승만큼 중요한 게 없습니다. 내가 재능/노력이 부족했나 생각하기 전에 내가 배우는 방식/스승이 부족하진 않은가 생각해보는 게 먼저입니다. 진짜로 뭔가 새로운 것에 도전해 본 사람이면 멘토든 스승이든 절실하게 필요를 느낄겁니다.
아하스페르츠
분야의 최고 수준을 바란다면 재능 없이는 힘듭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 사는데 필요한 일들은 그런 재능이 없어도 할 수 있습니다.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369 진로공무원으로 이직이 맞는걸까요2 4 [익명] 18/09/02 2633 0
5366 진로뉴욕 살면 코베어가나요? 51 기아트윈스 18/09/01 6141 0
5362 진로머리를 확 20 지금여기 18/08/31 3993 0
5338 진로이력서(자조서+경력기술서)를 어떻게 써야 하나요? 3 damin 18/08/28 4004 0
5328 진로공무원으로 이직이 맞는걸까요 13 [익명] 18/08/26 5356 0
5272 진로직장 내 업무분배와 처우 문제 고민 7 [익명] 18/08/16 2806 0
5240 진로퇴직 후 경력 인정 기간 2 [익명] 18/08/12 3703 0
5220 진로알바로? 은행청원경찰 어떨까요? 11 활활태워라 18/08/08 5028 0
5218 진로초과 학기를 해서라도 교원자격증을 얻는다? 9 [익명] 18/08/08 3001 0
5203 진로영어를 계속 공부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영어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요? 14 [익명] 18/08/06 3148 0
5091 진로로스쿨 입시상담요! 6 선비 18/07/20 2872 0
5069 진로30대 초반이 진로고민을 합니다. 19 [익명] 18/07/17 4244 0
5063 진로기계과) 졸업 학점을 넘길 필요가 있나요? 4 집정관 18/07/17 4998 0
4974 진로MBTI 성격유형(INTP) 16 [익명] 18/07/05 7282 0
4949 진로공학계열 석사->취업->박사 질문 9 [익명] 18/07/03 3519 0
4738 진로삶의 목표가 무엇인가요? 19 [익명] 18/06/02 3817 0
4679 진로학점 잘 받기 힘듭니다. 26 [익명] 18/05/24 3699 0
4676 진로노력하면 뭐든지 할 수 있을까요? 16 [익명] 18/05/23 3312 0
4670 진로건축설계, 정말로 일을 열심히 한 보상이 정신적인 보상뿐일까요? 10 [익명] 18/05/22 3531 0
4665 진로이직 및 연봉협상 고민입니다 20 [익명] 18/05/21 3111 0
4542 진로대학 전공 정할때 자기가 좋아하는 분야 vs 요새 잘나가는 분야 23 [익명] 18/04/29 4116 0
4538 진로이직을 위한 이력서를 작성하고 있습니다. 3 [익명] 18/04/28 2807 0
4521 진로회사 2:1 면접은 어떤 느낌일까요. 5 [익명] 18/04/25 4597 0
4509 진로가게 인수 질문드립니다. 5 [익명] 18/04/23 2883 0
4504 진로회사 생활 질문입니다 8 [익명] 18/04/22 3350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