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8/05/14 15:49:56
Name   [익명]
Subject   블록체인의 미래 어떻게 보시나요?
저는 3D로 봅니다 이런거 말구요.......ㅋㅋㅋㅋㅋ


얼마전 업비트 실검에 등장한 것 부터 해서 투자나 투기로써 보는 관점이 아니라.
진지하게 앞으로의 블록체인의 미래가 어떨지 궁금합니다.

뭐 시작이야 좋았던 것 같아요.
서브프라임 사태 때문에 더 투명한 장부와 전세계 어디에 있건 실체가 없지만 거래가 가능한 신기술.
가치가 너무 왔다 갔다 거리는게 흠이긴 하지만 '초반단계' 이기 때문에 이런건 감수 해야한다는 이야기들.


진지하게 투자의 목적이 아니라 블록체인 기술 그 자체가 향후에 상용화 되어 지폐를 대신하게 될까요?
그냥 여러분들 생각이 궁금합니당 ㅋㅋㅋ



0


김우라만
현실의 화폐 기능 보다는 다른 곳에서 가치를 찾을 거라 생각합니다.
모든 온라인 게임에서 통용되는 게임머니 같은 거요. 북경대 졸업생이 이더리움으로 고발한 것도 인상적이었고.
이것도 익명으로 댓글 달면 좋을텐데, 라는 생각을 하면서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개인적 의견으로는
현실 통화 대체는 매우 어렵다.
설령 통화 대체가 가능하다 해도, 대체가 되려면 금액 자체가 안정이 되야 하는데, 현재의 투기 목적하고는 매우 거리가 있다

다만 블록 체인의 개념의 경우,
현실 화폐 대체가 아니라, 다른 방식으로 도움을 줄 여지가 있을 수도 있다. 라고 봅니다.
화폐로서는 회의적으로 생각합니다. 그래서 전 비트는 별로 안 좋아해요. 작년 말부터 올해 초까지 핫했던 알트코인들 상당수가 2019년이나 2020년에 본궤도 오를 예정이라 좀 길게 봐야하지 않나 싶고요.
최근 블록체인기술을 이용한 게임이 등장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제가 이 분야 전공자가 아니라 이런 설명이 맞는 지는 모르겠습니다만 게임 진행 로그가 블록체인 기술로 돌아가고 있다는 느낌이네요.

https://nekoyu.me/ko/

증권이나 금융쪽은 몰라도 이런저런 취미의 영역에서는 종종 등장할 것 같아요.
졸려졸려
전 긍정적으로 생각 합니다. 거품이 한번 올라왔다가 꺼졌으니 이제 견실히 올라가기만 하면 되죠.
블록체인이랑 코인이랑 분리해서 주제를 올리는게 나을듯요
여러 산업의 기반이 되겠지요. 다만 그건 블록체인 얘기고 암호화폐, 특히 지금 존재하는 암호화폐의 부흥을 보장하지는 못합니다.

그럼에도 블록체인은 (암호화폐의 형태로) 현재 존재하는 금융 시스템에 빠르게 결합된다고 예상이 되는데, 가장 먼저 또는 실용적으로 도입될 분야는
아마도 보험 분야일 것이라 생각합니다.
보험상품이 등장하자 마자 빠르게 권리와 위험이 분리되고, 그 가치의 변동성이 시장을 형성하면서 암호화폐의 형태로 유통되는게
가장 먼저 등장하게 될 실질적인 가치를 가진 암호화폐가 될 것이라 봐요. 뭐 이정도는 지금도... 더 보기
여러 산업의 기반이 되겠지요. 다만 그건 블록체인 얘기고 암호화폐, 특히 지금 존재하는 암호화폐의 부흥을 보장하지는 못합니다.

그럼에도 블록체인은 (암호화폐의 형태로) 현재 존재하는 금융 시스템에 빠르게 결합된다고 예상이 되는데, 가장 먼저 또는 실용적으로 도입될 분야는
아마도 보험 분야일 것이라 생각합니다.
보험상품이 등장하자 마자 빠르게 권리와 위험이 분리되고, 그 가치의 변동성이 시장을 형성하면서 암호화폐의 형태로 유통되는게
가장 먼저 등장하게 될 실질적인 가치를 가진 암호화폐가 될 것이라 봐요. 뭐 이정도는 지금도 가능하지만, 시장규모와 복잡도가
달라지면서 효율이 증가하는 만큼 이득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있으니 분명 많은 이들이 시도할겁니다.

그러니 금융산업에 적용될 가능성은 확실히 존재합니다. 일단 안착을 하고나면 다른 분야로 퍼져나가겠죠. 그래서 다들 블록체인
기술을 암호화폐를 구현하는 형태로만 사용하려 하는 것이죠... 정말 돈이 될테니까.

다만 그러려면 블록체인 기술이 여러가지 기능을 담으면서도 신뢰성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데, 그게 아직 실험의 단계, 과도기의
단계일뿐으로만 보입니다. 여러 천재 개발자, 화려한 이력을 가진 개발자들이 달려들긴하지만 뭐가 성공하고 뭐가 실패할지 정확
히 알 방법은 없어요. 하지만 뭐, 언젠가는 결론이 나겠죠.

그 후... 블록체인 기술이 금융에 안착하고 나면 다른 여러 분야에 사용될텐데, 어떠한 발전 단계를 거쳐야겠지만 결국엔 블록체인
이 네트워크를 토지 같은 영역으로 만들 것이라 봅니다. 인터넷은 피어와 피어를 잇는데 사용되었지만 블록체인은 데이터와 프로
세스를 분산하고 또 잇고 하면서 가상이지만 실존하는 공간 자체를 만드는데 사용되겠죠.

네트워크에서 자원을 땡겨와서 서버를 구현하고 서비스를 존재하게 하는 것, 그 서비스가 자체적으로 이윤을 획득하여 자신의 서
버를 유지시키는 것, 서비스에 투자하여 지분을 획득하는 것, 서비스 자체가 다른 서비스에 대한 지분을 가지고 이윤을 획득하는
것.
또는 현물 자산에 대한 지분을 네트워크에서 분배하는 것, 현물자산이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현물자산이나 서비스에 대한 지분을
획득하여 이윤을 얻는 것, 그 이윤을 지분에 따라 분배하는 것이 가능하겠지요.

지금의 인터넷으로는 이러한 과정이 어떤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에 의해 움직여야 하니 신뢰성(투명성?)이 부족하고, 뭣보다 그
규모를 감당할 수 없어요. 정말 저런 시장이 개척된다면, 그 규모는 정말 지수적으로 성장할테니까요.

그곳으로 가는 테크트리에 블록체인이 있는 거죠. 이제 막 스킬 포인트를 쓰기 시작한 시점이고, 그 부산물이자 로켓이 암호화폐고...

그래서 언젠간 블록체인과 블록체인을 통해 만들어진 암호화폐가 우리 옆에 있겠지만, 그것과 별개로 그 복잡하고 긴 길을 지난 뒤
에도 지금의 암호화폐가 존재할지는... 글쎄요.
잘 모르는 분야입니다만,

화폐의 역할은 하지 않게 될거 같고, 블록체인 역시 일반인들이 인지하고 있어야 할만큼 중요한 개념으로는 남지 않을 것 같습니다.
해당 영역 엔지니어들에게나 필요한 개념이 되지 않을까 싶네요.
암호화폐가 몰락하더라도 블록체인 자체는 남을 것 같습니다. 무결성 보장에서 이만한 솔루션이 잘 없어서...
암호화폐와 블록체인이 뗄 수 있는 관계인가요? 서로 불가분의 관계라고 알고 있는데요.
제로스
불가분의 관계가 아닙니다. 블록체인을 위한 컴퓨터 자원사용의 대가로 암호화폐를 생성 지급하는 것인데 블록체인 정보 이용자체가 의미가 있다면 암호화폐지급을 하지 않고 컴퓨터자원제공을 할 수 있고 (토렌트나 그리드시스템과 다를바 없음) 아니면 아예 별도로 대가를 지급해도 되죠.
배바지
Maersk 같은 초대형 선사에서 시범적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현재 시장에 돌아다니는 블록체인 중 극소수만 살아남고, 대기업 중심의 블록체인 (R3의 Corda 같은 애들) 만 남지 않을까 싶네요.
블레쏨
기술의 가치는 분명해서 조만간 상용화되지 않을까 싶지만
기존의 통화를 대체하려면 각국 정부가 무너지고 독재적인 세계정부가 생기면서 지하세계에서 통용되는 정도..가 아니면 안 될것 같아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216 체육/스포츠. 11 [익명] 17/08/16 2564 0
3222 기타지방선거 출마 예정자들을 대상으로 SNS 교육을 해달라는 요청을 받았습니다 13 [익명] 17/08/17 2856 1
3228 진로저한테 마음 있는 건가요? 35 [익명] 17/08/20 3110 1
3226 기타여자분들과 쉽게 대화하고 친해지는 분들의 비결은 무엇일까요...? 20 [익명] 17/08/19 3649 0
3232 기타한국은 버블일까요? 11 [익명] 17/08/20 2481 0
3244 진로회계사 준비를 하고 싶습니다. 15 [익명] 17/08/22 6724 0
3253 의료/건강. 5 [익명] 17/08/23 3015 0
4629 IT/컴퓨터블록체인의 미래 어떻게 보시나요? 13 [익명] 18/05/14 2981 0
3259 IT/컴퓨터교수님은 왜 원서만을 고집하실까요? 26 [익명] 17/08/23 3293 0
3264 경제신용카드 재발급 관련 질문드립니다. 5 [익명] 17/08/24 2689 0
3262 기타남자 제모수술(수염) 병원 추천좀... 3 [익명] 17/08/24 2967 0
6465 기타새해인사 이메일 다중전송에 대한 질문입니다. 7 [익명] 19/02/04 2398 0
4619 의료/건강어지럼증이 심해져 편두통 처방받고 항우울제를 먹고 있습니다 4 [익명] 18/05/12 3788 0
3583 의료/건강공진단이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15 [익명] 17/10/27 4164 0
3585 가정/육아남동생과의 관계질문입니다. 7 [익명] 17/10/28 3724 0
3294 의료/건강휜다리(O다리,오다리) 교정법 4 [익명] 17/08/30 3094 0
3298 경제국민연금과 노령연금, 그리고 기초연금? 3 [익명] 17/08/31 3112 0
3301 문화/예술소극장 공연 예매시 좌석 질문 19 [익명] 17/09/01 2607 0
3312 의료/건강성인 ADHD 일까요? 9 [익명] 17/09/04 4168 0
3325 기타친구랑 다퉜습니다. 6 [익명] 17/09/06 2327 0
3352 법률. 9 [익명] 17/09/10 3292 0
3357 문화/예술. 1 [익명] 17/09/11 2751 0
3359 의료/건강병원을 옮기기로 했는데, 어디로 가야할지 고민입니다. 4 [익명] 17/09/12 3118 0
3370 의료/건강스마트폰 중독이 뇌에 미치는 영향 1 [익명] 17/09/15 2903 0
3379 기타연애? 질문입니다... 3 [익명] 17/09/18 2723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