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8/04/02 00:20:31
Name   [익명]
Subject   태양광 사업 잘 아시는분의 조언을 구합니다.
아버지가 무슨바람이 드셨는지
시골에 있는 땅에 소규모로 태양광 사업을 하신다고 하네요
천여평 정도의 규모라 큰수익은 나지 않겠지만
리스크도 적다며 걱정하지 말라시는데
솔직히 매번 사업하신다고 해놓고 끝이 안좋던터라
이번에도 걱정이 됩니다.
아시는분 소개로 알게된거라 본인이 아시는건 없는것같고.
너무 좋은쪽 이야기만 듣고오셔서 더 걱정이네요.
태양광 사업 진행할때 유의할점이나
단점들, 현실적인 이야기들을 아신다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0


사나남편
보통 본인이 알지 못하는 분야에 투자한다? 솔직히 그 아시는 분이 그렇게 수익이 보장되는 사업이면 자기가 하지 남보고 하라고 할리가 없죠.
[글쓴이]
저도 진짜 말리고 싶네요
제 생각에도 그렇게 수익이 잘나는거면 지들이 해야지
왜 투자자를 구하고 패널설치를 권유하겠느냐 말했지만
고집이 세셔서 제 말은 귓등으로도 안들으려하시네요.
엄마곰도 귀엽다
.음... 태양열 판 설치해서 전기 파는거 말씀하시는 건가요?
재작년쯤에 정부보조금이 줄었던가 하는 식으로 뭔가 정책이 바뀐거 같던데...
사촌 언니중에 한명이 몇년전에 10억인가 들여서 한달에 천만원 조금 못 번다고 그랬었는데
요즘은 어떤지 모르겠네요.

개인적으로는 잘 모르는건 안 하셨으면...
[글쓴이]
ㅠㅠ 네 저도 동감입니다
사나남편
10억 들여서 한달에 천이면...본전치기 사업...ㅜㅜ
CONTAXS2
400평 1억6천 월210만원이 공식이더라고요.

솔직히 가장 리스크없는 사업으로 저는 저 400평과 1억 6천이 없어서 못합니다. ㅠ

원전이 줄고 엘엔지가 늘고 원유와 석탄 값이 오르면 수익은 더 날 가능성이 있는 분야입니다.
1
[글쓴이]
적으면 1200평 크면 2000평 이야기하시던데
공식이 맞다면 규모가 작은편은 아니었네요..
흐..
CONTAXS2
근데 99kW규모에 들어가는 REC 보너스가 있어서 규모가 크다고 다 좋은게 아니더라고요.

300키로에서 한번 500키로에서 한번 1메가에서 한번씩 허들이 하나씩 있습니다.

REC할증, 전기기사 고용, 안전관리자 상근 등등.....
컨설팅을 받아보세요.
배바지
청소업체가 주기적으로 청소해줘야합니다.
주변 논밭 작황 안 좋아진다고 주변 논밭에서 클레임 들어오는 걸루 알고 있습니다.
[글쓴이]
은퇴후 하시는거라 관리는 본인이 하신다고는 하시는데
일반인이 해도 문제없을까요?
수박이두통에게보린
질문이 너무 막연한데요.

1. 평수가 중요한게 아니라, 평당 효율이 중요합니다.
2. 태양광 패널 설치시 고정식, 이동식 (햇빛에 따라 패널이 이동) 이냐에 따라 초기 투입 비용이 달라집니다.
3. 부채를 안고 태양광사업을 할 경우 이자비용+@가 나오는지 계산이 되어야 합니다.
4. 태양광 패널 설치업체와의 계약 조건이 중요합니다. (장기 임대냐, 단순 설치냐 등)
5. 올 해 하반기에 태양광 패널 세대가 바뀔 가능성이 큽니다. 이는 지금 세대보다 효율면에서 큰 개선이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2
[글쓴이]
제가 정확하게 아는정보가 없다보니
너무 추상적으로 질문드렸는데
디테일한 답변 너무 감동입니다ㅠㅠ
다섯가지 답변들 하나하나 살펴보고 아버지랑 이야기를 해봐야겠네요.
혹시 실례가 안된다면
5번 답변 세대교체 관련자료 부탁드릴수 있을까요?
수박이두통에게보린
관련 자료는 미팅 자료라서 드릴 수가 없네요. 죄송합니다.
일단 발전사업허가를 받는 게 우선입니다.
100kW 이하는 구청 군청 에서 허가를 받으니까 공무원과 상담을 해보실 필요가 있고..
변전소 용량이 모자라다 던지 기타 사유가 있어서 불허가 나면 그냥 사업 접어야합니다.

개인이 서류를 꾸리기 힘들어서 여기서부터 대행을 하는 편입니다.
아 추정공사비의 20~30%를 가지고 있다는 증명(통장잔고 같은 거) 를 첨부해야합니다.


그 다음은 개발행위허가를 받아야하는데..
개발행위 체크포인트는
첫번째로 사용권을 확보하셔야합니다. 소유하고 있는 토지니 문제 없겠죠.
두번... 더 보기
일단 발전사업허가를 받는 게 우선입니다.
100kW 이하는 구청 군청 에서 허가를 받으니까 공무원과 상담을 해보실 필요가 있고..
변전소 용량이 모자라다 던지 기타 사유가 있어서 불허가 나면 그냥 사업 접어야합니다.

개인이 서류를 꾸리기 힘들어서 여기서부터 대행을 하는 편입니다.
아 추정공사비의 20~30%를 가지고 있다는 증명(통장잔고 같은 거) 를 첨부해야합니다.


그 다음은 개발행위허가를 받아야하는데..
개발행위 체크포인트는
첫번째로 사용권을 확보하셔야합니다. 소유하고 있는 토지니 문제 없겠죠.
두번째로 차량이 출입할 수 있는 3m이상 도로와 연결되어 있어야합니다. 제방도로나 비포장도로 이런 거 도로로 안 봅니다.
세번째로 토지이용계획확인원 상 해당용지가 도시계획에서 어떤 것으로 분류되어 있는지 확인해야합니다.
개발제한구역이나 절대농지(=농업진흥지역, 보존녹지, 산림보호구역)은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네번째로 개발행위허가 조건으로 문화재조사 환경영향평가 사전재해영향성 검토를 해야합니다. 5000m2부터 하기때문에 관계가 없으십니다.
다섯번째 전 답은 농지전용을 임는 산지전용을 받아야합니다.
농지전용을 하는 경우 가장 중요한 건 전용면적이고 농지전용부담금(=공시지가의 30%)을 내셔야합니다.
산지전용은 하는 경우 가장 중요한 건 경사도이고 (일반적으로 20%가 넘어가면 개발이 안 됩니다.) 대체산림조성비와 산지복구설계를 해서 일정비율의 금액을 예치 해야합니다.
면적이 넓다면 개발행위심의를 패스해야하지만 역시 관계 없으십니다.

개발행위허가는 지자체에 등록된 측량업 업체 측량한 현황실측도를 반드시 첨부해야하기때문에 개인이 하는 건 불가능합니다.
여기에 산지를 전용하는 경우는 산림토목으로 등록된 업체가 발급한 경사도분석 표고분석 산림조사서와 산지복구설계가 끼기떄문에 비용이 추가로 발생합니다.


이렇게 개발행위허가를 받으셔야 착공이 가능하고..
착공과정에서 문제가 없도록 주변 마을 이장의 동의서를 받는 편입니다.
물론 이것도 다 돈입니다 ^^;

입지조건에 따라 전주를 연장해야한다거나 도로를 만들어야하는 문제가 있습니다만

물이 고이지 않도록 배수시설을 설치하는 것과
발전효율을 위해서 경사면이 남향 남서향이 되도록 비스듬하게 부지를 조성하고
점검로를 만들고 변전소 창고시설을 만드는 정도로
공사는 매우 단순하기떄문에 크게 문제가 안 되는 편입니다.
5
지금여기
(뭘 물어봐도 전문적인 답변이 나오는 홍차넷...오래 붙어 있어야겠다.)
2
이 댓글을 본 토비님이 홍차넷 유료화를 추진하는데....(아 이게 아닌가요)
황금사과
강호의 고수들이 숨어 있는 이곳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317 기타피지알 사이트 이용하시는 분께 질문 드립니다. 15 [익명] 18/03/21 3635 0
4333 의료/건강잇몸에서 피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은? 2 [익명] 18/03/22 2823 0
4337 기타2.45억원 정도 되는 오피스텔 이전등기비용 얼마나 들지요...? 2 [익명] 18/03/23 5296 0
4338 연애일면식없는사람한테 고백하는법? 8 [익명] 18/03/23 3781 0
4339 진로이직해야하는데 경력이 2년 6개월 뿐입니다. 16 [익명] 18/03/24 10571 0
4340 의료/건강 혹시 이비인후과 의사분 홍차넷에 계시나요 1 [익명] 18/03/24 3461 0
4346 진로29살.. 어리버리함 때문에 인생에 회의감을 가지고 사는 1인입니다 10 [익명] 18/03/26 15003 0
4350 기타주거지 정하는데 도움을 청하고 싶습니다 12 [익명] 18/03/26 3232 0
4352 의료/건강미세먼지 기관지 관련.. 4 [익명] 18/03/27 3216 0
4355 경제암호화폐 시장 이대로 끝일까요? 9 [익명] 18/03/28 3041 0
4357 연애홍대 근처 맛집 추천부탁드립니다. 8 [익명] 18/03/28 3309 0
4359 기타신촌에 맛이가 있는 집들을 찾습니다 20 [익명] 18/03/28 3741 0
4362 교육짧은 동화책 번역좀 부탁드립니다 2 [익명] 18/03/29 3120 0
4363 연애직장인의 연애는 어떤지 궁금해요 21 [익명] 18/03/29 7235 0
4367 기타경우의 수 질문입니다 2 [익명] 18/03/30 3020 0
4368 의료/건강사람들의 불평 불만 들어주는게 힘듭니다 8 [익명] 18/03/30 4288 0
4372 진로인문대 전공은 어떻게 살아남아야 할까요? 9 [익명] 18/03/30 3111 0
4377 연애이별에 대한 조언 부탁드립니다.. 18 [익명] 18/03/31 5291 0
4378 기타고등학생이 읽을만한 수험참고서(?) 어떤 게 좋을지요...? 3 [익명] 18/04/01 3264 0
4381 의료/건강이별후 불면,신경증,무기력증,자살충동,공황등의 증상으로 정신과를 난생 처음 방문하고자합니다.. 8 [익명] 18/04/01 5427 0
4384 진로교육행정직 현직분 계신가요? 2 [익명] 18/04/01 7554 0
4386 경제태양광 사업 잘 아시는분의 조언을 구합니다. 17 [익명] 18/04/02 3370 0
4387 문화/예술문학책 소개 부탁 8 [익명] 18/04/02 2832 0
4388 기타어떻게 해야 좀 나아질까요. 7 [익명] 18/04/02 2775 0
4393 가정/육아공기청정기 어디걸루 쓰세요?(렌탈) 2 [익명] 18/04/03 2697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