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8/03/13 01:07:14 |
Name | loremipsum |
Subject | 컨설턴트 프리미엄은 아직 유효한가 |
안녕하세요, 날이 조금씩 풀리는 것 같습니다. 이 자리를 통해 회원님 여러분께 혜안과 지혜를 빌리고자 합니다. 수 년전, 진로문제로 한창 방황하던 중에 기회가 닿아 MBB에서 RA를 할 기회를 얻으면서 컨설팅에 대해 알게 됐습니다. 적성에 잘 맞았는지 잦은 야근도 버틸 만했고, 무엇보다 컨설팅회사에서의 경험이 많은 가능성을 열어준다는 메리트가 매력적이었던 것 같습니다. 그러던 중, 몇몇 현직자 선배님들이나 주변 동기들에게 소위 첫 직장으로서의 컨설팅이 주는 메리트가 과거에 비하면 감소하고 있다는 얘기를 들었습니다. 이를테면 PE에서도 IBD면 모를까 굳이 어쏘출신을 뽑진 않거나, 업계 자체의 경기도 썩 좋지 않다든지... 제게 직업으로서 컨설팅이라는 업 자체의 즐거움도 매우 크지만, 워라밸을 희생하고 얻는 '미래에의 투자'도 무시 못 할 요소라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인 바람은 희망하는 산업 프로젝트에서 경력을 쌓아 추후 public sector에 진출하는 것인데, 조금씩 컨설팅업의 인기가 사그라든다고 하니, 조금 겁이 납니다ㅠ 누구는 IT 벤처를 가라 하고, 누구( 겨우 방향을 잡았다고 생각했지만 다시 원위치로 돌아온 것 같아 허탈하네요ㅎㅎ 고견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이 게시판에 등록된 loremipsum님의 최근 게시물 |
사실 언더스트리 고위직에 가기 힘들다는 얘기는 많이 들었던 것 같습니다.애초에 옮기더라도 VC나 PE 같은 펀드나 공공부문 정책쪽에 가고 싶었는데 이쪽은 더 알아봐야겠네요.
그리고 회사마다 성향이 조금 다르다고 느낀 게...확실히 맥킨지에 간 형누나들은 기업가 성향이 강하고 베인은 대체로 캐피탈이나 금융쪽으로 갈아타려는 분들이 많더라고요. 학구적 성향이 강한 저로서는 BCG가 좀 더 맞다고 느껴졌는데 유의미한 성향차가 존재하는지는 모르겠습니다.
마지막은 점차 해외대 비중이 늘어나지만 서울대 선배들은 아직까지 꾸준히 가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회사마다 성향이 조금 다르다고 느낀 게...확실히 맥킨지에 간 형누나들은 기업가 성향이 강하고 베인은 대체로 캐피탈이나 금융쪽으로 갈아타려는 분들이 많더라고요. 학구적 성향이 강한 저로서는 BCG가 좀 더 맞다고 느껴졌는데 유의미한 성향차가 존재하는지는 모르겠습니다.
마지막은 점차 해외대 비중이 늘어나지만 서울대 선배들은 아직까지 꾸준히 가는 것 같습니다.
- 조금 외람되기는 하나, 컨설턴트와 협업을 몇 번 해본 얄팍한 경험과 몇 군데 안되는 직장생활 경험으로 쓰는 내용이니 너무 새겨듣진 마세요.
- 사업기획/시스템개발/연구기획 등의 업무로 컨설팅과 몇 번 일해본 적은 있습니다. MBB 급 까지는 아니었고... Frost & Sullivan 이나 Aurther D. Little 정도는 됐던걸로 기억합니다.
- 회사별로 일단 컨설팅 출신을 선호하는 곳과 선호하지 않는 곳이 극명하게 갈립니다. 선호하지 않는 곳은 어지간하면 안받을거고, 선호하는 곳은 컨설팅 이력을 필수로 요구... 더 보기
- 사업기획/시스템개발/연구기획 등의 업무로 컨설팅과 몇 번 일해본 적은 있습니다. MBB 급 까지는 아니었고... Frost & Sullivan 이나 Aurther D. Little 정도는 됐던걸로 기억합니다.
- 회사별로 일단 컨설팅 출신을 선호하는 곳과 선호하지 않는 곳이 극명하게 갈립니다. 선호하지 않는 곳은 어지간하면 안받을거고, 선호하는 곳은 컨설팅 이력을 필수로 요구... 더 보기
- 조금 외람되기는 하나, 컨설턴트와 협업을 몇 번 해본 얄팍한 경험과 몇 군데 안되는 직장생활 경험으로 쓰는 내용이니 너무 새겨듣진 마세요.
- 사업기획/시스템개발/연구기획 등의 업무로 컨설팅과 몇 번 일해본 적은 있습니다. MBB 급 까지는 아니었고... Frost & Sullivan 이나 Aurther D. Little 정도는 됐던걸로 기억합니다.
- 회사별로 일단 컨설팅 출신을 선호하는 곳과 선호하지 않는 곳이 극명하게 갈립니다. 선호하지 않는 곳은 어지간하면 안받을거고, 선호하는 곳은 컨설팅 이력을 필수로 요구하는 직군도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더 잘 아시겠지만, 가시고자 하는 분야의 탑티어 기업들이 어떤 성향인지를 미리 파악해보시는게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사실 클라이언트로 뛰어본 입장에서는 우선 회사 실무진들이 컨들에게 자료 주는게 부실하고 비협조적인 부분도 있긴 하지만 연차 적은 / 현업 경험 없는 컨들에게 좀 불신감을 가지고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이런 성향이 짙을수록 컨 출신들을 잘 안뽑더라고요. 보통 지주사급의 대형 전략팀이 존재하는 곳도 요새는 연구원 출신이나 마케터 출신에서 똘똘한 친구들 데려다가 키워서 쓰지 외부 컨들 데려다가 잘 쓰지 않습니다. 같이 프로젝트 하면서 눈에 띄어서 제의를 받거나 신규 임원이 데리고 들어오는 경우는 자주 봤지만요. 이런 루트가 좀 그나마 현실성 있는 루트일 것 같습니다. 게다가 주변에 컨 출신으로 현업 들어온 사람들은 일단 연차가 있으니 직급은 높은데 현업 이해도가 빨리 올라오지 않아 고생하는 분들도 종종 봤습니다. 가시고자 하는 해당 산업에 대해서 연차 만큼 이해도를 만들어야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 잡설이 길었지만, 분야와 기업에 따라 메릿은 있지만 그걸 ‘프리미엄’이라고 부를 정도는 아니지 않을까, 하는게 제 의견입니다. 위에 삼성갤팔지금못씀님 말씀처럼 컨 출신으로 인더스트리 고위직 가는 것은 정말 쉽지 않기도 하고요. 저도 모 대기업에 있었지만 컨 출신 임원분들의 마지막은 다 별로 좋지 못했던걸로 기억합니다.
- 개인적으로는 학력과 MBB 타이틀이 주는 강력한 브랜드가치가 무기가 되기는 하겠지만, 그것만 가지고서 일반 기업에서는 살아남기 힘드니 자격증이나 업계 특화된 경력+이해도를 갖추시는 쪽을 잘 고려해보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 다시 한 번.. 주제넘게 댓글 달아서 송구스럽습니다.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사업기획/시스템개발/연구기획 등의 업무로 컨설팅과 몇 번 일해본 적은 있습니다. MBB 급 까지는 아니었고... Frost & Sullivan 이나 Aurther D. Little 정도는 됐던걸로 기억합니다.
- 회사별로 일단 컨설팅 출신을 선호하는 곳과 선호하지 않는 곳이 극명하게 갈립니다. 선호하지 않는 곳은 어지간하면 안받을거고, 선호하는 곳은 컨설팅 이력을 필수로 요구하는 직군도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더 잘 아시겠지만, 가시고자 하는 분야의 탑티어 기업들이 어떤 성향인지를 미리 파악해보시는게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사실 클라이언트로 뛰어본 입장에서는 우선 회사 실무진들이 컨들에게 자료 주는게 부실하고 비협조적인 부분도 있긴 하지만 연차 적은 / 현업 경험 없는 컨들에게 좀 불신감을 가지고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이런 성향이 짙을수록 컨 출신들을 잘 안뽑더라고요. 보통 지주사급의 대형 전략팀이 존재하는 곳도 요새는 연구원 출신이나 마케터 출신에서 똘똘한 친구들 데려다가 키워서 쓰지 외부 컨들 데려다가 잘 쓰지 않습니다. 같이 프로젝트 하면서 눈에 띄어서 제의를 받거나 신규 임원이 데리고 들어오는 경우는 자주 봤지만요. 이런 루트가 좀 그나마 현실성 있는 루트일 것 같습니다. 게다가 주변에 컨 출신으로 현업 들어온 사람들은 일단 연차가 있으니 직급은 높은데 현업 이해도가 빨리 올라오지 않아 고생하는 분들도 종종 봤습니다. 가시고자 하는 해당 산업에 대해서 연차 만큼 이해도를 만들어야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 잡설이 길었지만, 분야와 기업에 따라 메릿은 있지만 그걸 ‘프리미엄’이라고 부를 정도는 아니지 않을까, 하는게 제 의견입니다. 위에 삼성갤팔지금못씀님 말씀처럼 컨 출신으로 인더스트리 고위직 가는 것은 정말 쉽지 않기도 하고요. 저도 모 대기업에 있었지만 컨 출신 임원분들의 마지막은 다 별로 좋지 못했던걸로 기억합니다.
- 개인적으로는 학력과 MBB 타이틀이 주는 강력한 브랜드가치가 무기가 되기는 하겠지만, 그것만 가지고서 일반 기업에서는 살아남기 힘드니 자격증이나 업계 특화된 경력+이해도를 갖추시는 쪽을 잘 고려해보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 다시 한 번.. 주제넘게 댓글 달아서 송구스럽습니다.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