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7/10/22 14:47:02 |
Name | 二ッキョウ니쿄 |
Subject | 비닐봉지는 어떤것까지 차단되나요? |
가게 물건 진열하고 먼지털다가 급 궁금해져서.. 보통 담배든 상품이든 오염방지를위해 포장재로 비닐을 많이 쓰잖아요. 비닐이 어느정도까지 오염차단이되는건가요? 영화에서보면 비닐씌우고 묶어서 공기안통하게 질식사시키는것도 나오던데 까만봉지도 빛은 투과되는거같고.. 근데 또 봉지에 기름같으거 안쪽에 넣어두면 겉에 배어나온다고해야하나 비닐겉면도 기름이 묻어나오는 그런경우도 겪잖아요. 아닌가 착각인가 여튼 비닐의 차단기능이 궁금합니다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二ッキョウ니쿄님의 최근 게시물
|
1. 빛
검은색 비닐봉지같은건 잉크로 막은거라서 빛의 투과를 100% 막을 수는 없습니다
물론 색이 진할수록 반사와 흡수를 잘하긴 하지만 보통 빛에 대한 보존은 몇십년은 예상하는거니까
제대로 빛을 막으려면 알루미늄을 사용하는데,
(1)알루미늄 필름층을 사이에 끼우거나(바깥필름-알루미늄-안쪽필름)
(2)알루미늄가루를 도포한 증착필름을 사이에 끼우거나(바깥필름-증착필름-안쪽필름) 합니다
당연히 1번이 우수한 빛 차단을 자랑하지만, 비싸니까...
그리고 알루미늄 들어간 포장지는 당연히 좀 더 딱딱하겠죠?
2. 산소 ... 더 보기
검은색 비닐봉지같은건 잉크로 막은거라서 빛의 투과를 100% 막을 수는 없습니다
물론 색이 진할수록 반사와 흡수를 잘하긴 하지만 보통 빛에 대한 보존은 몇십년은 예상하는거니까
제대로 빛을 막으려면 알루미늄을 사용하는데,
(1)알루미늄 필름층을 사이에 끼우거나(바깥필름-알루미늄-안쪽필름)
(2)알루미늄가루를 도포한 증착필름을 사이에 끼우거나(바깥필름-증착필름-안쪽필름) 합니다
당연히 1번이 우수한 빛 차단을 자랑하지만, 비싸니까...
그리고 알루미늄 들어간 포장지는 당연히 좀 더 딱딱하겠죠?
2. 산소 ... 더 보기
1. 빛
검은색 비닐봉지같은건 잉크로 막은거라서 빛의 투과를 100% 막을 수는 없습니다
물론 색이 진할수록 반사와 흡수를 잘하긴 하지만 보통 빛에 대한 보존은 몇십년은 예상하는거니까
제대로 빛을 막으려면 알루미늄을 사용하는데,
(1)알루미늄 필름층을 사이에 끼우거나(바깥필름-알루미늄-안쪽필름)
(2)알루미늄가루를 도포한 증착필름을 사이에 끼우거나(바깥필름-증착필름-안쪽필름) 합니다
당연히 1번이 우수한 빛 차단을 자랑하지만, 비싸니까...
그리고 알루미늄 들어간 포장지는 당연히 좀 더 딱딱하겠죠?
2. 산소
수소는 어쩌냐시면 할말없구여... 산소로 인한 산화반응을 막는게 목적 아닙니까?
산소를 막기 위해서는 산소를 잘 막는 필름을 사용하게 되는데
(1)나일론 : 나일론필름을 바깥필름으로 사용합니다.
(2)알루미늄 : 알루미늄은 산소도 잘 막습니다. 나일론보다 더 잘 막아요
속 내용물이 보여야 하는(냉동만두라던가) 식품포장지는 나일론을 사용하고
내용물이 안보여도 되면 al이 낫습니다
물론 ny al 둘 다 비쌉니다...
제품값에서 포장지값 별거아닐거같지만 pet pe로 만들면 50원짜리포장지가 ny al 쓰면 100원됩니다...
신라면이 매년 억단위로 팔립니다...
3. 기름
기름은 음... 기름도 종류가 많아서 무슨 공업용 이상한 기름같은건 잘 모르구요
보통 식품용 기름같은건 필름두께 두껍게 하고 합지 가공할때 잘하면 됩니다
기름제품같은건 새는것도 문제지만 속에서 잘 상하니까
산소투과를 막기 위해서 ny al 처리하면서 좀 고급스럽게 포장지 만들고 그렇게 합니다
검은색 비닐봉지같은건 잉크로 막은거라서 빛의 투과를 100% 막을 수는 없습니다
물론 색이 진할수록 반사와 흡수를 잘하긴 하지만 보통 빛에 대한 보존은 몇십년은 예상하는거니까
제대로 빛을 막으려면 알루미늄을 사용하는데,
(1)알루미늄 필름층을 사이에 끼우거나(바깥필름-알루미늄-안쪽필름)
(2)알루미늄가루를 도포한 증착필름을 사이에 끼우거나(바깥필름-증착필름-안쪽필름) 합니다
당연히 1번이 우수한 빛 차단을 자랑하지만, 비싸니까...
그리고 알루미늄 들어간 포장지는 당연히 좀 더 딱딱하겠죠?
2. 산소
수소는 어쩌냐시면 할말없구여... 산소로 인한 산화반응을 막는게 목적 아닙니까?
산소를 막기 위해서는 산소를 잘 막는 필름을 사용하게 되는데
(1)나일론 : 나일론필름을 바깥필름으로 사용합니다.
(2)알루미늄 : 알루미늄은 산소도 잘 막습니다. 나일론보다 더 잘 막아요
속 내용물이 보여야 하는(냉동만두라던가) 식품포장지는 나일론을 사용하고
내용물이 안보여도 되면 al이 낫습니다
물론 ny al 둘 다 비쌉니다...
제품값에서 포장지값 별거아닐거같지만 pet pe로 만들면 50원짜리포장지가 ny al 쓰면 100원됩니다...
신라면이 매년 억단위로 팔립니다...
3. 기름
기름은 음... 기름도 종류가 많아서 무슨 공업용 이상한 기름같은건 잘 모르구요
보통 식품용 기름같은건 필름두께 두껍게 하고 합지 가공할때 잘하면 됩니다
기름제품같은건 새는것도 문제지만 속에서 잘 상하니까
산소투과를 막기 위해서 ny al 처리하면서 좀 고급스럽게 포장지 만들고 그렇게 합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