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5/10/15 11:48:51
Name   Top
Subject   대한민국 이전 추석과 민족의 명절에대한 질문
궁금한 것은 2가지 입니다.

1. 추석이 언제부터 지금과 같은 "민족의 명절" 지위가 되었는가?
2. 추석이 대한민국 이전엔 민족의 명절이 아니였다면, 어떤 명절이 "민족의 명절" 이었는가?


각 질문별로 상세내용을 얘기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1. 추석이 언제부터 지금과 같은 "민족의 명절" 지위가 되었는지 궁금합니다.

추석 상경길에 아부지랑 얘기하다가, "왜 추수도 다 안끝난 이 애매한 시점에 이런 명절이 있는가?" 를 가지고 얘기를 하다가 찾아보았습니다만,... 납득할만한 이야기가 나무위키 뿐이라 이렇게 질문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https://namu.wiki/w/%EC%B6%94%EC%84%9D?rev=289
-봤던 내용이 어느시점에 수정되서 제가 봤던 버전을 올립니다.

1.2 상세의 첫문단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추석을 추수감사절이라고 하는 말은 해방 이후 미국의 영향때문에 생겨난 인식이다. 사실 추석즈음에는 대부분의 곡식이나 과일들이 익지 않은 상태다. 추수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추수감사를 지내다니 조상님들이 미쳤나? 추석에 먹는 송편은 올벼쌀로 만들었다고 하는데, 이 올벼 쌀이라는 게 덜 익은 벼를 훓어서 쪄서 말린 쌀이다. 햅쌀과 과일이 넘쳐나지만, 이것은 요즈음 농사기법과 종자가 개량되고(비닐하우스에서 모판을 뜨고 하는 등 조생모를 일부럼 심는다.), 과일 같은 경우는 성장 촉진제를 사용한다. 그러니 추석이 추수감사절이라는 개드립은 이제 그만 하기를. 추석이 우리나라의 2대 명절이 된 것은 가정의례준칙이 발표되고 나서 일이다. 실제 농가에서는 대보름이 가장 큰 명절이었으며, 일부 지방에서는 음력 9월9일을 추석 보다 더 성대하게 치르었다. 그저 그런 명정중에 하나였던 추석이 해방이후 미국의 영향으로 추수감사 명절로 떠오르면서, 우리나라 2대 명절의 지위까지 꿰차게 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실제 추석과 관련된 명절 기록도 다른 명절 기록보다 많지 않다. 추석의 날짜는 음력 8월 15일이고, 추분 무렵으로 날씨가 선선하고 농사는 중요한 고비를 넘겼으며, 달은 해가 진 다음부터 떠올라 달을 구경하기 좋다. 추분 무렵 보름달은 서양 민속에서도 상당한 의미를 두었다.
-덧. 추석이 공휴일로 지정된 시점은 1949년(최초로 관공서의 공휴일들이 지정된 시점)입니다.

뭔가 더 찾아보려고 하니, 인터넷에서 바로 접근 할 수 있는 내용들은 위 나무위키 이야기를 제외하면 신라 얘기정도 뿐이고 다른 이야기는 찾기가 힘들어서 이렇게 질문글 올립니다.
진짜로, 나무위키의 이야기처럼 추석은 대한민국 이전에는 지금과 같은 명절이 아니였나요?


2. 추석이 대한민국 이전엔 민족의 명절이 아니였다면, 어떤 명절이 "민족의 명절" 이였는지 궁금합니다.

일제, 조선, 고려 시절 쯤의 기록들도 혹시 알고계시는게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0


Beer Inside
추석은 중추절이 중국에도 있는 것으로 보아서 중국을 따라한 것인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따라서 추석 때 중국에 놀러가면 밥먹기 힘듭니다.


그리고 음력이라서 좀 애매한데 추수감사의 느낌도 있기는 합니다. 어느 문화권이나 가을에 축제를 하지요.

황교익선생은 우리의 추수감사절은 개천절이라고 주장하기도 합니다.
음력으로 8월 15일 보름을 특별한 날로 여기는 것은 생각보다 많이 보이는 것 같습니다.
제가 궁금한건, 추석의 유래 부분이 아니라 [언제부터 추석이 지금과 같이 민족의 명절이 되었는가]가 궁금한지라 외국의 사례보다, [국내의 역사 기록들이 궁금]합니다.ㅠ

중추절도 찾아보는데 혼란스럽네요 ==; 한국어로 검색해서 문제인것 같긴한데...
중국에서 중추절은 2008년에 법정 공휴일로 지정되었고, 그 이전 얘기를 보면 \"가족끼리 모여 월병먹는다\" 정도인거 같습니다. 동지날 팥죽 먹거나 대보름날 부럼 먹는정도의 느낌인... 더 보기
음력으로 8월 15일 보름을 특별한 날로 여기는 것은 생각보다 많이 보이는 것 같습니다.
제가 궁금한건, 추석의 유래 부분이 아니라 [언제부터 추석이 지금과 같이 민족의 명절이 되었는가]가 궁금한지라 외국의 사례보다, [국내의 역사 기록들이 궁금]합니다.ㅠ

중추절도 찾아보는데 혼란스럽네요 ==; 한국어로 검색해서 문제인것 같긴한데...
중국에서 중추절은 2008년에 법정 공휴일로 지정되었고, 그 이전 얘기를 보면 \"가족끼리 모여 월병먹는다\" 정도인거 같습니다. 동지날 팥죽 먹거나 대보름날 부럼 먹는정도의 느낌인 것같았는데...
그런데! 08년도에도 중추절 귀향길 얘기가 나와있고, 혼란스럽네요.

---
해당 내용을 찾아본 인터넷 이야기들 입니다.

중추절의 소개 (06년도)
http://blog.daum.net/freedom6/9785271

중추절 교통 대란 언급 (08년도)
http://egloos.zum.com/Ryunan9903/v/2056874
기아트윈스
어느 농경사회나 다 추수와 관련된 기념일이 있습니다. 따라서 한국어 사용자 사회에도 관련 축제가 쭉 있어왔다고 해도 됩니다. 예컨대 고구려의 뭐시기라든가 부여의 뭐시기라든가 하는 국사 시간에 배운 가을 축제들이 다 크게 보면 추석의 원류라고 할 수 있습니다.

더 중요한 질문은 그 \"날\"을 어떻게 정하느냐는 거겠지요. 안정적, 일관적으로 매년 날자를 셈할 수 있는 역법이 먼저 있어야 언제 언제를 해당 기념일로 지정할 수 있을 테니까요.

현재 추석의 날짜선정방식은 동아시아권에서 오랫동안 사용해온 태양태음력에 의거하며 이는... 더 보기
어느 농경사회나 다 추수와 관련된 기념일이 있습니다. 따라서 한국어 사용자 사회에도 관련 축제가 쭉 있어왔다고 해도 됩니다. 예컨대 고구려의 뭐시기라든가 부여의 뭐시기라든가 하는 국사 시간에 배운 가을 축제들이 다 크게 보면 추석의 원류라고 할 수 있습니다.

더 중요한 질문은 그 \"날\"을 어떻게 정하느냐는 거겠지요. 안정적, 일관적으로 매년 날자를 셈할 수 있는 역법이 먼저 있어야 언제 언제를 해당 기념일로 지정할 수 있을 테니까요.

현재 추석의 날짜선정방식은 동아시아권에서 오랫동안 사용해온 태양태음력에 의거하며 이는 당연히 중국 왕조들로부터 유래한 겁니다. 우리가 흔히 음력이라고 부르는 이 역법 체계에선 1,2,3월은 봄, 4,5,6월은 여름, 7,8,9월은 가을, 10,11,12월은 겨울로 칩니다. 따라서 2월 15일은 봄의 한 가운데, 5월 15일은 여름의 한 가운데, 8월 15일은 가을의 한 가운데가 되지요. 음력 8월 15일이 中秋節이 되는 까닭입니다.

중국발 역법을 도입하기 이전에 우리 나름의 역법이 있었느냐에 대해서는 자료가 없어서 뭐라 말하기 곤란하지만 개인적으론 대단히 회의적입니다. 그러므로 아마도 그 시기가 언제인지는 알 수 없지만 이 역법이 정식으로 도입되기 이전에도 모종의 추수감사 성격의 가을축제가 쭉 있어왔는데 역법 도입 이후 그걸 해당 역법상의 8월 15일로 고정시키게 된 게 아닐까 생각해볼 수 있겠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역법상 8.15가 진짜 한 가을인거군요.
양력 쓰기 시작한 것도 일제 강점기 때이니, 해방 후에는 음력의 영향이 컸을 거고, 연결이 되네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582 여행주말에 부산~대구에 갑니다. 37 Darwin4078 16/09/29 4250 0
7034 의료/건강수전증이 있으면 왜 안 좋나요? 4 베토벤 19/04/30 4250 0
8168 문화/예술일본 애니 극장판은 원래 중간에 노래가 많이 들어가나요? 11 naru 19/11/01 4250 0
9519 IT/컴퓨터따뜻한 느낌의 mp3 플레이어 있을까요? 12 LemonTree 20/06/01 4250 0
1240 의료/건강의료 시설 관련 취업에 대한 질문입니다. 10 관대한 개장수 16/06/28 4251 0
10528 여행전북 부안 잘 아시는 분 계시나요? 10 [익명] 20/11/30 4251 0
14984 연애미리 걱정만 많이 앞서는 모쏠녀입니다.... 8 설탕 23/07/02 4251 0
880 IT/컴퓨터아이폰 리퍼 관련 4 S 16/03/04 4252 0
905 IT/컴퓨터아이폰 알람 기능 1 S 16/03/11 4252 0
9521 기타이럴땐 어느 병원을 가야하나요?? 1 김치찌개 20/06/01 4252 0
12443 IT/컴퓨터웹사이트 이미지 다운로드 4 OshiN 21/10/21 4252 0
898 교육영어 제대로 공부하고 싶은데 좋은 교재 없을까요? 2 관대한 개장수 16/03/10 4253 0
2885 법률이전 주인이 남겨놓고 간 물건은 어떻게 해야하죠? 7 Dr.Pepper 17/06/11 4253 0
14091 의료/건강제가 가는 병원의 의사분 처방이 약간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9 [익명] 22/11/03 4253 0
11768 기타직장에서 회의가 자주 있으면 문제 있는건가요? 12 [익명] 21/06/24 4253 0
12684 IT/컴퓨터전자출입명부 관련 질문드립니다. 12 empier 21/12/14 4253 0
3646 의료/건강수원-보톡스 괜찮은 피부과? T.Robin 17/11/07 4254 0
9308 기타자동차보험 명의이전 vs 운전자범위 추가 질문입니다! 1 [익명] 20/05/01 4254 0
571 기타이런 크라우드 펀딩 서비스는 나올 수 없을까요? 2 전크리넥스만써요 15/12/04 4255 0
1665 IT/컴퓨터휴대폰 구입하기 딱 좋은 날씨인가요? 7 오리꽥 16/10/19 4255 0
4194 여행도쿄 여행 조언 구합니다. 9 naru 18/02/21 4255 0
5177 기타자동차 추천 부탁드립니다. 18 [익명] 18/08/02 4255 0
7071 의료/건강근력운동 후 근육통 떄문에 잠이 잘 안오는데 2 Jace.WoM 19/05/07 4255 0
7710 진로저는 앞으로 취업을 어디로 하는 게 좋을까요? 17 [익명] 19/08/22 4255 0
8159 기타출근시간과 업무시간의 차이로 갈등 아닌 갈등이 있습니다. 22 [익명] 19/10/31 4255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