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5/10/11 23:51:51 |
Name | 엄마곰도 귀엽다 |
Subject | 아기가 충전기를 입에 넣어서 감전 당했어요 ㅠ |
일단 경과를 지켜보는 중이고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고 있는데 저는 아기가 숨은 잘 쉬는지 지켜보느라 잠이 오질 않아요. 손바닥만한 휴대용 led 스탠드 충전잭이었고 브랜드도 없는 그냥그런 제품이라 전화해서 질문할 고객센터따윈 없어서 글을 쓰고 있어요. 충전잭에 2A 250V라고 써있는데 이게 콘센트에 연결되어있었고 반대쪽을 아기가 혀에 댔다가 금방 떼낸모양이에요. ( 전 저녁식사중이었고 부모님께서 아기랑 놀아주던 중에 아기가 갑자기 기어가서 입속으로 쏙 ㅠㅠ 평소에 굉장히 조심성 많은 아기인데 왜 이런 돌발행동을 했는지 ㅠ) 엄청 울었고 혀에 하얀 반점 두개가 선명하게 생겼고 ... 저도 울고 온 가족들이 심장이 철렁. 각설하고. 2A 250V의 충전잭이고 스탠드는 전류 AC 0.1A 0.8W라고 써있는 제품이에요. 우리아기가 얼마나 강한 전기에 감전된건지 감이 안잡혀서요. 전기 잘 아시는 분 제게 가르침을 주세요. 그리고 조심 또 조심합시다. 진짜 순식간이네요 ㅠㅠ 흑흑흑 오랜만에 가족들 다 보는데서 펑펑 울었네요 ㅠㅠ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엄마곰도 귀엽다님의 최근 게시물
|
의사는 아니지만 공돌이로서 알고 있는 상식 수준에 비춰 말씀드리자면,
인체에 가해지는 충격량은 전압보다는 전류에 비례하며, 감전 지속 시간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https://en.wikipedia.org/wiki/Electric_shock#/media/File:IEC_TS_60479-1_electric_shock_graph.svg
이 그래프에... 더 보기
인체에 가해지는 충격량은 전압보다는 전류에 비례하며, 감전 지속 시간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https://en.wikipedia.org/wiki/Electric_shock#/media/File:IEC_TS_60479-1_electric_shock_graph.svg
이 그래프에... 더 보기
의사는 아니지만 공돌이로서 알고 있는 상식 수준에 비춰 말씀드리자면,
인체에 가해지는 충격량은 전압보다는 전류에 비례하며, 감전 지속 시간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https://en.wikipedia.org/wiki/Electric_shock#/media/File:IEC_TS_60479-1_electric_shock_graph.svg
이 그래프에서 빨간 영역이 위험한 구간이라고 할수 있는데, 일반 가정집에 공급되는 220V 전압으로는 인체에 500 mA 이상의 전류가 흐르기 어렵기 때문에 (저항값이 아무리 낮아져도 500옴 정도라고 합니다) 잠깐 감전된 정도로는 큰 걱정은 일단 안하셔도 됩니다.
감전사고 자체가 몸 안에 무슨 나쁜 성분이 남아서 이후에 문제가 나타난다든가 하는 성질의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일단 사고 이후 아기가 정상 생활을 했으면 안심하셔도 되구요.
한가지 염려되는 것은 국지적인 세포 파손이 일어났을 가능성은 있는데, 이게 단순한 표피 화상 정도면 몰라도 감각기관이다 보니... 나중에라도 병원에 가서 미각에 이상이 없는지 한번 검사받아 보시는 것도 좋을것 같습니다.
인체에 가해지는 충격량은 전압보다는 전류에 비례하며, 감전 지속 시간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https://en.wikipedia.org/wiki/Electric_shock#/media/File:IEC_TS_60479-1_electric_shock_graph.svg
이 그래프에서 빨간 영역이 위험한 구간이라고 할수 있는데, 일반 가정집에 공급되는 220V 전압으로는 인체에 500 mA 이상의 전류가 흐르기 어렵기 때문에 (저항값이 아무리 낮아져도 500옴 정도라고 합니다) 잠깐 감전된 정도로는 큰 걱정은 일단 안하셔도 됩니다.
감전사고 자체가 몸 안에 무슨 나쁜 성분이 남아서 이후에 문제가 나타난다든가 하는 성질의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일단 사고 이후 아기가 정상 생활을 했으면 안심하셔도 되구요.
한가지 염려되는 것은 국지적인 세포 파손이 일어났을 가능성은 있는데, 이게 단순한 표피 화상 정도면 몰라도 감각기관이다 보니... 나중에라도 병원에 가서 미각에 이상이 없는지 한번 검사받아 보시는 것도 좋을것 같습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