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7/08/10 04:14:54
Name   [익명]
Subject   의사 수입과 수가 질문입니다.
먼저 이 질문은 제가 무지해서 드리는 질문이며, 해당 직업군에 종사하는 분들을 비하할 의도는 전혀 없음을 밝힙니다.

의사는 돈을 많이 버는 직업으로 알고 있습니다.

6년간의 학업+인턴레지+과별로 다름+페닥과 개업의 차이 등등

고려해도 저를 포함한 사람들 눈에 보이는 의사의 수입은 꽤나 높아 보입니다.

궁금한 점은 수가가 계속 낮다고 하고 이번 건강보험 개편안에 의해 수가가 더 낮아질거라 하는데

수가가 낮은 상태에서 의사들의 고수입은 잘 이해가 안갑니다.

대체 어떤 구조로 수입체계가 이루어진건가요?



0


레지엔
쉽게 말하면 박리다매+보험이 되지 않는 진료의 결합입니다.
CONTAXS2
저도 의알못이긴 한데, 주변에 의사들 보면,

개업의 - 복불복인데, 비급여 진료 잘 해서 많은 돈을 벌기도 하지만, 은근 어렵거나 망하는 병원도 많다. (제 친누나는 간호사 선생님이랑 둘이 하는데, 병원 차릴 때 제 돈 빌려간거 아직도 다 못갚.. ㅠㅠ)

페이닥터 - 요즘 페이닥터도 꽤 공부를 오래 해야 (전문의 따고도 한 2년 더 펠로운가 해야 또 꽤 받는다고..) 하는 편이라, (물론 많이 벌겠지만) 수련+전공+펠로우 때의 10년이 보통 직장인들 30년간 하는 고생을 다 하는 것 같아서, 뭐 그 정도는 받아야 되는거 ... 더 보기
저도 의알못이긴 한데, 주변에 의사들 보면,

개업의 - 복불복인데, 비급여 진료 잘 해서 많은 돈을 벌기도 하지만, 은근 어렵거나 망하는 병원도 많다. (제 친누나는 간호사 선생님이랑 둘이 하는데, 병원 차릴 때 제 돈 빌려간거 아직도 다 못갚.. ㅠㅠ)

페이닥터 - 요즘 페이닥터도 꽤 공부를 오래 해야 (전문의 따고도 한 2년 더 펠로운가 해야 또 꽤 받는다고..) 하는 편이라, (물론 많이 벌겠지만) 수련+전공+펠로우 때의 10년이 보통 직장인들 30년간 하는 고생을 다 하는 것 같아서, 뭐 그 정도는 받아야 되는거 아닌가 싶기도 하고 그렇습니다.

대학병원 - 진짜 힘들어보임. 급여도 제 기대(!)보다 훨씬 못 받고,,

--------
같이 사는 동서가 삼성병원에서 펠로우 마치고 모 대학병원에서 교수생활 하는데, 옆에서 보면 아... 내가 공부를 못해서 의대 못간게 정말 다행이었구나.. 하고 생각할 때가 많습니다.
유리소년
저 고등학교때도 '피안성' 이라는 말은 알고 있었던거 같습니다.
제 영역에선 미국보다 적게잡아 3배 더 일합니다 (업무량 기준). 그리고 1/3의 급료를 받습니다. 유럽은 안가봤지만 일양의 차이는 그 이상일겁니다.
켈로그김
일반적인 직장인을 기준잡으면 많이버는건 사실입니다.
다만, 당장 눈에 보이는 차이만큼 생애소득이 크게 차이나지 않습니다.
정년까지 안정적으로 승진하여 퇴직한다면 비빌만할거에요 아마.. 정년까지 버티기가 어려워서 그렇지.

개업의는 박리다매를 해서 충분히 먹고살만하거나, 혹은 초기투자비용이 커서 박리다매 + 비급여로 가거나.
병원급은 제가 잘 모릅니다(..)

공부 말고 잘하는거 없는 흙수저에겐 여전히 기대소득이 높은 직업입니다.
내부에서 느끼는 것과는 많이 다르죠.
반대로 예전같지 않아서 위상과 안정성 등이 많... 더 보기
일반적인 직장인을 기준잡으면 많이버는건 사실입니다.
다만, 당장 눈에 보이는 차이만큼 생애소득이 크게 차이나지 않습니다.
정년까지 안정적으로 승진하여 퇴직한다면 비빌만할거에요 아마.. 정년까지 버티기가 어려워서 그렇지.

개업의는 박리다매를 해서 충분히 먹고살만하거나, 혹은 초기투자비용이 커서 박리다매 + 비급여로 가거나.
병원급은 제가 잘 모릅니다(..)

공부 말고 잘하는거 없는 흙수저에겐 여전히 기대소득이 높은 직업입니다.
내부에서 느끼는 것과는 많이 다르죠.
반대로 예전같지 않아서 위상과 안정성 등이 많이 추락한 상태이고 앞으로도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는 면에서
외부인이 공감하기 힘든 위기감이 있습니다.
전 내국인과 외국인의 수가가 다른게 이해가.안되요.
20년전에 만리 장성 입장료가 외국인 80위엔. 중국인 10위엔 정도로 이해하면 될까 몰르겠네요
다람쥐
외국인이 병원비를 많이 내나요?
외국인중 건강보험료를 내지 않는 외국인은 건보공단 통해 재정에 기여하는 바가 없으니 정책적으로 그런거라고 생각되네요
전 해외 사는데도 건강검진은 말 잘 통하는 한국 와서 하거든요. 예를 들어 제가 100만원 들여 검진 받으면 외국인 국적의 와이프는 120만원 정도 받아요.(그래서 와이프는 그냥 일본에서 받구요)어차피 검진이라 둘다 보험 적용은 안되는데 외국인이라는 이유로 수가 책정이 그렇게 되어 있답니다.보험이랑은 상관 없어요.
다람쥐
수가 재정이 건보료에서 나가지 않나요
그렇다면 내국인이라면 건보 혜택을 보고 재정에 기여하는 바가 있으니 일관되게 저렴한 수가를, 외국인이라면 건보 재정에 기여하는 바가 없으니 더 높은 금액을
다만 재외동포 등에게는 특별한 예외를
이정도 정책적 의미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아...이해했어요.
재외동포에게 예외를 준다니 좀 더 불공평 한 것 같긴 합니다.
[글쓴이]
아...답변 주신 모든 분들 감사합니다. 이제 이해가 되네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480 기타축가 순서 조언 부탁 드려요~!! 12 [익명] 19/02/07 4735 0
12456 진로군대 시간동안 할 일? 7 [익명] 21/10/23 3745 0
16637 댓글잠금 기타세탁기 2번 딸깍이 너무 귀찮아요. 5 [익명] 25/03/25 1065 0
2780 의료/건강. 1 [익명] 17/05/15 3200 0
2803 체육/스포츠. 5 [익명] 17/05/22 6396 0
2828 체육/스포츠. 4 [익명] 17/05/28 2982 0
4622 연애연애관련 질문 5 [익명] 18/05/13 2887 0
2912 기타. 3 [익명] 17/06/16 2614 0
2920 체육/스포츠. 1 [익명] 17/06/18 2464 0
2960 체육/스포츠. 20 [익명] 17/06/27 3656 0
6478 기타착하게 살면 복 받는다는 식의 인과응보를 믿으시는지요...? 30 [익명] 19/02/06 5822 0
16631 기타시키지 않은 일을 하는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 10 [익명] 25/03/24 794 0
3012 IT/컴퓨터. 6 [익명] 17/07/05 3106 0
3061 문화/예술. 2 [익명] 17/07/17 2738 0
3082 가정/육아어머니가 다단계에 빠지신 것 같습니다. 11 [익명] 17/07/20 10014 0
3143 체육/스포츠. 7 [익명] 17/08/03 2620 0
3160 연애. 1 [익명] 17/08/07 3069 0
4627 철학/종교여러분의 삶의 이유는 무엇인가요? 28 [익명] 18/05/14 2871 0
4628 여행이 계절, 차박 여행지로 추천하실만한 곳이 있을까요? 11 [익명] 18/05/14 3326 0
3176 의료/건강가끔 이빨이 시립니다. 1 [익명] 17/08/09 3531 0
3179 가정/육아남녀분들은 결혼 후 어떤 가정을 원하시는지요...? 10 [익명] 17/08/09 2830 0
3181 의료/건강의사 수입과 수가 질문입니다. 11 [익명] 17/08/10 3527 0
3186 의료/건강. 4 [익명] 17/08/11 2705 0
3199 철학/종교마음을 다스리고 의연해야 할 때 5 [익명] 17/08/13 2769 0
3214 의료/건강생리주기 짧아지는 경우 4 [익명] 17/08/16 6697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