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7/08/10 04:14:54
Name   [익명]
Subject   의사 수입과 수가 질문입니다.
먼저 이 질문은 제가 무지해서 드리는 질문이며, 해당 직업군에 종사하는 분들을 비하할 의도는 전혀 없음을 밝힙니다.

의사는 돈을 많이 버는 직업으로 알고 있습니다.

6년간의 학업+인턴레지+과별로 다름+페닥과 개업의 차이 등등

고려해도 저를 포함한 사람들 눈에 보이는 의사의 수입은 꽤나 높아 보입니다.

궁금한 점은 수가가 계속 낮다고 하고 이번 건강보험 개편안에 의해 수가가 더 낮아질거라 하는데

수가가 낮은 상태에서 의사들의 고수입은 잘 이해가 안갑니다.

대체 어떤 구조로 수입체계가 이루어진건가요?



0


레지엔
쉽게 말하면 박리다매+보험이 되지 않는 진료의 결합입니다.
CONTAXS2
저도 의알못이긴 한데, 주변에 의사들 보면,

개업의 - 복불복인데, 비급여 진료 잘 해서 많은 돈을 벌기도 하지만, 은근 어렵거나 망하는 병원도 많다. (제 친누나는 간호사 선생님이랑 둘이 하는데, 병원 차릴 때 제 돈 빌려간거 아직도 다 못갚.. ㅠㅠ)

페이닥터 - 요즘 페이닥터도 꽤 공부를 오래 해야 (전문의 따고도 한 2년 더 펠로운가 해야 또 꽤 받는다고..) 하는 편이라, (물론 많이 벌겠지만) 수련+전공+펠로우 때의 10년이 보통 직장인들 30년간 하는 고생을 다 하는 것 같아서, 뭐 그 정도는 받아야 되는거 ... 더 보기
저도 의알못이긴 한데, 주변에 의사들 보면,

개업의 - 복불복인데, 비급여 진료 잘 해서 많은 돈을 벌기도 하지만, 은근 어렵거나 망하는 병원도 많다. (제 친누나는 간호사 선생님이랑 둘이 하는데, 병원 차릴 때 제 돈 빌려간거 아직도 다 못갚.. ㅠㅠ)

페이닥터 - 요즘 페이닥터도 꽤 공부를 오래 해야 (전문의 따고도 한 2년 더 펠로운가 해야 또 꽤 받는다고..) 하는 편이라, (물론 많이 벌겠지만) 수련+전공+펠로우 때의 10년이 보통 직장인들 30년간 하는 고생을 다 하는 것 같아서, 뭐 그 정도는 받아야 되는거 아닌가 싶기도 하고 그렇습니다.

대학병원 - 진짜 힘들어보임. 급여도 제 기대(!)보다 훨씬 못 받고,,

--------
같이 사는 동서가 삼성병원에서 펠로우 마치고 모 대학병원에서 교수생활 하는데, 옆에서 보면 아... 내가 공부를 못해서 의대 못간게 정말 다행이었구나.. 하고 생각할 때가 많습니다.
유리소년
저 고등학교때도 '피안성' 이라는 말은 알고 있었던거 같습니다.
제 영역에선 미국보다 적게잡아 3배 더 일합니다 (업무량 기준). 그리고 1/3의 급료를 받습니다. 유럽은 안가봤지만 일양의 차이는 그 이상일겁니다.
켈로그김
일반적인 직장인을 기준잡으면 많이버는건 사실입니다.
다만, 당장 눈에 보이는 차이만큼 생애소득이 크게 차이나지 않습니다.
정년까지 안정적으로 승진하여 퇴직한다면 비빌만할거에요 아마.. 정년까지 버티기가 어려워서 그렇지.

개업의는 박리다매를 해서 충분히 먹고살만하거나, 혹은 초기투자비용이 커서 박리다매 + 비급여로 가거나.
병원급은 제가 잘 모릅니다(..)

공부 말고 잘하는거 없는 흙수저에겐 여전히 기대소득이 높은 직업입니다.
내부에서 느끼는 것과는 많이 다르죠.
반대로 예전같지 않아서 위상과 안정성 등이 많... 더 보기
일반적인 직장인을 기준잡으면 많이버는건 사실입니다.
다만, 당장 눈에 보이는 차이만큼 생애소득이 크게 차이나지 않습니다.
정년까지 안정적으로 승진하여 퇴직한다면 비빌만할거에요 아마.. 정년까지 버티기가 어려워서 그렇지.

개업의는 박리다매를 해서 충분히 먹고살만하거나, 혹은 초기투자비용이 커서 박리다매 + 비급여로 가거나.
병원급은 제가 잘 모릅니다(..)

공부 말고 잘하는거 없는 흙수저에겐 여전히 기대소득이 높은 직업입니다.
내부에서 느끼는 것과는 많이 다르죠.
반대로 예전같지 않아서 위상과 안정성 등이 많이 추락한 상태이고 앞으로도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는 면에서
외부인이 공감하기 힘든 위기감이 있습니다.
전 내국인과 외국인의 수가가 다른게 이해가.안되요.
20년전에 만리 장성 입장료가 외국인 80위엔. 중국인 10위엔 정도로 이해하면 될까 몰르겠네요
다람쥐
외국인이 병원비를 많이 내나요?
외국인중 건강보험료를 내지 않는 외국인은 건보공단 통해 재정에 기여하는 바가 없으니 정책적으로 그런거라고 생각되네요
전 해외 사는데도 건강검진은 말 잘 통하는 한국 와서 하거든요. 예를 들어 제가 100만원 들여 검진 받으면 외국인 국적의 와이프는 120만원 정도 받아요.(그래서 와이프는 그냥 일본에서 받구요)어차피 검진이라 둘다 보험 적용은 안되는데 외국인이라는 이유로 수가 책정이 그렇게 되어 있답니다.보험이랑은 상관 없어요.
다람쥐
수가 재정이 건보료에서 나가지 않나요
그렇다면 내국인이라면 건보 혜택을 보고 재정에 기여하는 바가 있으니 일관되게 저렴한 수가를, 외국인이라면 건보 재정에 기여하는 바가 없으니 더 높은 금액을
다만 재외동포 등에게는 특별한 예외를
이정도 정책적 의미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아...이해했어요.
재외동포에게 예외를 준다니 좀 더 불공평 한 것 같긴 합니다.
[글쓴이]
아...답변 주신 모든 분들 감사합니다. 이제 이해가 되네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172 기타Windows 설치 질문입니다 4 김치찌개 17/08/09 4194 0
3173 기타무선랜카드 질문입니다 2 김치찌개 17/08/09 3142 0
3174 IT/컴퓨터R과 엑셀 10 지식의늪지대 17/08/09 5340 0
3175 기타Strength 는 우리말로 강점 vs 장점? 4 Liebe 17/08/09 6238 0
3176 의료/건강가끔 이빨이 시립니다. 1 [익명] 17/08/09 3905 0
3177 기타안양, 범계, 평촌 즈음에 고급 술집 추천 부탁드립니다. 3 Secundo 17/08/09 5129 0
3178 기타사소한 갈등에 대해서... 6 OshiN 17/08/09 3066 0
3179 가정/육아남녀분들은 결혼 후 어떤 가정을 원하시는지요...? 10 [익명] 17/08/09 3138 0
3180 의료/건강물리치료를 받으면 더 아픕니다 10 다람쥐 17/08/09 7704 0
3181 의료/건강의사 수입과 수가 질문입니다. 11 [익명] 17/08/10 3898 0
3182 문화/예술서양사람들은 왜 우산을 (잘) 안 쓰나요? 32 곰곰이 17/08/10 8837 0
3183 IT/컴퓨터설계 고민... 7 doubleb 17/08/10 3948 0
3184 IT/컴퓨터전자책 사용하시는 분들 질문있습니다! 9 Dr.Pepper 17/08/10 5390 0
3212 법률사직서를 냈는데 반려처리로 계속 지연되고 있습니다. 법적 조언 부탁드립니다! 10 길고양이 17/08/16 5310 0
3186 의료/건강. 4 [익명] 17/08/11 2997 0
3187 의료/건강일자목이면 요가, 스트레칭 하면 안되나요? 7 化神 17/08/11 4015 0
3188 의료/건강채용 건강검진 소견 질문입니다. 7 레코드 17/08/11 5524 0
3189 기타사람마다 타고난 복(혹은 운)의 총량이 정해져있다고 생각하시는지요...? 15 홍당무 17/08/11 5382 0
3190 경제주식/펀드를 사고 싶습니다. 단계가 어찌되는지요? 6 Danial Plainview 17/08/12 4224 0
3191 문화/예술동양화에는 왜 실물을 그대로 묘사하는 화풍이 없었던 건가요? 6 빠른포기 17/08/12 6124 0
3192 의료/건강비싼약(과잉처방?) 처방 기준이 궁금합니다 11 Han Solo 17/08/12 4893 0
5002 IT/컴퓨터클라우드 통한 백업 및 관리 4 pils 18/07/09 5087 0
3193 홍차넷사진이 뒤집혀 업로드 됩니다 1 사악군 17/08/12 5461 0
3194 문화/예술음악 추천 질문 7 벚문 17/08/12 3493 0
3195 문화/예술음악 표절여부 판정시 유사성의 기준이 궁금합니다. 5 유리소년 17/08/12 5334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