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7/05/31 10:41:36 |
Name | 별빛 |
Subject | 인구 절벽이 오면 바로 경제가 꺾이나요? |
아니면 차분차분 뒤틀리게 되나요? 중산층이라 고민이 많습니다 :(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별빛님의 최근 게시물
|
바로 꺽이진 않습니다.
왜냐하면 인구절벽은 생산가능인구수의 감소가 기준인데 그렇다고 해도 노령인구의 비율증가로 내수시장의 파이는 비교적 오래 유지되고(베이비붐 세대가 평균수명나이에 도달하는 시점이 되야 총 인구수도 감소합니다. 60~70년대생 기준으로 85세를 기대할 수 있다면 아직 30여년 남았습니다) 생산가능인구보다 노령인구의 금전적 여유가 상대적으로 더 크기때문에 어느정도는 유지가 가능합니다.
다만 전체적으로 현 30대 초반이 연금수령을 할 떄 쯤에 그들의 부모세대만큼 저축이나 자산을 보유할 가능성이 낮다고 예상되고... 더 보기
왜냐하면 인구절벽은 생산가능인구수의 감소가 기준인데 그렇다고 해도 노령인구의 비율증가로 내수시장의 파이는 비교적 오래 유지되고(베이비붐 세대가 평균수명나이에 도달하는 시점이 되야 총 인구수도 감소합니다. 60~70년대생 기준으로 85세를 기대할 수 있다면 아직 30여년 남았습니다) 생산가능인구보다 노령인구의 금전적 여유가 상대적으로 더 크기때문에 어느정도는 유지가 가능합니다.
다만 전체적으로 현 30대 초반이 연금수령을 할 떄 쯤에 그들의 부모세대만큼 저축이나 자산을 보유할 가능성이 낮다고 예상되고... 더 보기
바로 꺽이진 않습니다.
왜냐하면 인구절벽은 생산가능인구수의 감소가 기준인데 그렇다고 해도 노령인구의 비율증가로 내수시장의 파이는 비교적 오래 유지되고(베이비붐 세대가 평균수명나이에 도달하는 시점이 되야 총 인구수도 감소합니다. 60~70년대생 기준으로 85세를 기대할 수 있다면 아직 30여년 남았습니다) 생산가능인구보다 노령인구의 금전적 여유가 상대적으로 더 크기때문에 어느정도는 유지가 가능합니다.
다만 전체적으로 현 30대 초반이 연금수령을 할 떄 쯤에 그들의 부모세대만큼 저축이나 자산을 보유할 가능성이 낮다고 예상되고 있고, 그로 인하여 내수시장이 극단적으로 침체될겁니다. (생산가능인구 1명이 노령인구1을 부양하는 시대기준)
적어도 한 30~40년까지 경제는 적어도 + 성장은 하리라는 예측이 지배적이긴 합니다만 그 이후로는 침체되리라 예상되고있습니다.
왜냐하면 인구절벽은 생산가능인구수의 감소가 기준인데 그렇다고 해도 노령인구의 비율증가로 내수시장의 파이는 비교적 오래 유지되고(베이비붐 세대가 평균수명나이에 도달하는 시점이 되야 총 인구수도 감소합니다. 60~70년대생 기준으로 85세를 기대할 수 있다면 아직 30여년 남았습니다) 생산가능인구보다 노령인구의 금전적 여유가 상대적으로 더 크기때문에 어느정도는 유지가 가능합니다.
다만 전체적으로 현 30대 초반이 연금수령을 할 떄 쯤에 그들의 부모세대만큼 저축이나 자산을 보유할 가능성이 낮다고 예상되고 있고, 그로 인하여 내수시장이 극단적으로 침체될겁니다. (생산가능인구 1명이 노령인구1을 부양하는 시대기준)
적어도 한 30~40년까지 경제는 적어도 + 성장은 하리라는 예측이 지배적이긴 합니다만 그 이후로는 침체되리라 예상되고있습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