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 Date | 17/03/07 09:56:37 |
| Name | 구름달총 |
| Subject | IT업계 선배님들에게 질문 |
|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4년재 컴퓨터정보공학과에 다니다가 2학년까지 마치고 휴학중인 학생입니다. 과 특성상 이탈자가 많지만 저는 계속 이쪽분야로 갈 생각인데 어느분야로 갈지 많은 고민중에 DB쪽으로 마음이 잡혔는데 지금시점에서 자격증을 준비하고 싶은데 종류가 너무 많아 정말 쓸모있는 자격증부터 우선순위대로 공부하고 싶습니다. OCP, 리눅스마스터, 정보처리기사 등등이 있는데 갈피가 안잡혀 글을 올리게 되었네요. 조언과 충고 부탁드립니다.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구름달총님의 최근 게시물 |
|
어.. 현직 DBA 등판했습니다.
특별히 자격증을 요구하진 않습니다.
그리고 Data는 굉장히 민감한 정보들일 확률이 높기 때문에
프리랜서를 거의 뽑지 않는 분야이기도 합니다.
단기로 튜닝/모델링/설계 등을 해주시는 전문가들이 계시지만
그 분들은 이미 업계에서 경력을 10년이상 쌓으신 분들로 이루어지구요.
가장 좋은 방법은 대규모 데이터를 다루는 기업들이 입사하시는게 좋습니다.
보통 국내에선 기본개발업무->SQL전문개발업무->DBA->튜너->DataScientist 형태로 진화(?... 더 보기
특별히 자격증을 요구하진 않습니다.
그리고 Data는 굉장히 민감한 정보들일 확률이 높기 때문에
프리랜서를 거의 뽑지 않는 분야이기도 합니다.
단기로 튜닝/모델링/설계 등을 해주시는 전문가들이 계시지만
그 분들은 이미 업계에서 경력을 10년이상 쌓으신 분들로 이루어지구요.
가장 좋은 방법은 대규모 데이터를 다루는 기업들이 입사하시는게 좋습니다.
보통 국내에선 기본개발업무->SQL전문개발업무->DBA->튜너->DataScientist 형태로 진화(?... 더 보기
어.. 현직 DBA 등판했습니다.
특별히 자격증을 요구하진 않습니다.
그리고 Data는 굉장히 민감한 정보들일 확률이 높기 때문에
프리랜서를 거의 뽑지 않는 분야이기도 합니다.
단기로 튜닝/모델링/설계 등을 해주시는 전문가들이 계시지만
그 분들은 이미 업계에서 경력을 10년이상 쌓으신 분들로 이루어지구요.
가장 좋은 방법은 대규모 데이터를 다루는 기업들이 입사하시는게 좋습니다.
보통 국내에선 기본개발업무->SQL전문개발업무->DBA->튜너->DataScientist 형태로 진화(?)를 많이합니다.
저도 이 테크트리로 현재 DBA업무를 맡고 있구요.
자격증은 가진게 없어요.
저도 회사에서 지원해줘서 덤프만 달달 외워서 취득한 OCP하나 있네요.
회사에서 관련 자격은 보질 않습니다.
내가 얼마나 해당 분야에 관심이 있는지, Logical Thinking이 가장 중요한 분야라 어떻다라고 말씀드리긴 힘드네요.
SQL공부 열심히 하세요.
그리고 이것저것 프로젝트 많이 해보시고 요즘 R같은 애들도 많이 접해보시고 그 경험들을 위주로 쌓아두시면 유리한건 분명합니다.
특별히 자격증을 요구하진 않습니다.
그리고 Data는 굉장히 민감한 정보들일 확률이 높기 때문에
프리랜서를 거의 뽑지 않는 분야이기도 합니다.
단기로 튜닝/모델링/설계 등을 해주시는 전문가들이 계시지만
그 분들은 이미 업계에서 경력을 10년이상 쌓으신 분들로 이루어지구요.
가장 좋은 방법은 대규모 데이터를 다루는 기업들이 입사하시는게 좋습니다.
보통 국내에선 기본개발업무->SQL전문개발업무->DBA->튜너->DataScientist 형태로 진화(?)를 많이합니다.
저도 이 테크트리로 현재 DBA업무를 맡고 있구요.
자격증은 가진게 없어요.
저도 회사에서 지원해줘서 덤프만 달달 외워서 취득한 OCP하나 있네요.
회사에서 관련 자격은 보질 않습니다.
내가 얼마나 해당 분야에 관심이 있는지, Logical Thinking이 가장 중요한 분야라 어떻다라고 말씀드리긴 힘드네요.
SQL공부 열심히 하세요.
그리고 이것저것 프로젝트 많이 해보시고 요즘 R같은 애들도 많이 접해보시고 그 경험들을 위주로 쌓아두시면 유리한건 분명합니다.
대규모 Data라하면 범주가 넓어서 엄청 다양한 회사들이 있습니다.
우선 은행/금융권이 다루는 데이터도 하루 수십만에서 수천만건 이상이라 엄청날테구요
쇼핑몰이나 대규모 게임업체들도 관리하는 데이터는 정말 압도적인 수준입니다.
이런 쪽에 조금씩 빅데이터 관련 기술들이 도입되고 있어서 그 쪽으로 공부하시면 도움이 많이 될 것 같네요.
그리고 회사에서 신입사원을 뽑는데 데이터 전문가를 뽑는다던가 하진 않습니다.
개발직군으로 입사한 이후에 데이터 쪽 관심을 갖고 있음을 실력/자격증/알짱거림? 등으로 표시하시면
그... 더 보기
우선 은행/금융권이 다루는 데이터도 하루 수십만에서 수천만건 이상이라 엄청날테구요
쇼핑몰이나 대규모 게임업체들도 관리하는 데이터는 정말 압도적인 수준입니다.
이런 쪽에 조금씩 빅데이터 관련 기술들이 도입되고 있어서 그 쪽으로 공부하시면 도움이 많이 될 것 같네요.
그리고 회사에서 신입사원을 뽑는데 데이터 전문가를 뽑는다던가 하진 않습니다.
개발직군으로 입사한 이후에 데이터 쪽 관심을 갖고 있음을 실력/자격증/알짱거림? 등으로 표시하시면
그... 더 보기
대규모 Data라하면 범주가 넓어서 엄청 다양한 회사들이 있습니다.
우선 은행/금융권이 다루는 데이터도 하루 수십만에서 수천만건 이상이라 엄청날테구요
쇼핑몰이나 대규모 게임업체들도 관리하는 데이터는 정말 압도적인 수준입니다.
이런 쪽에 조금씩 빅데이터 관련 기술들이 도입되고 있어서 그 쪽으로 공부하시면 도움이 많이 될 것 같네요.
그리고 회사에서 신입사원을 뽑는데 데이터 전문가를 뽑는다던가 하진 않습니다.
개발직군으로 입사한 이후에 데이터 쪽 관심을 갖고 있음을 실력/자격증/알짱거림? 등으로 표시하시면
그쪽으로 커리어패스를 잡고 성정할 수 있지 않을까 싶네요.
우선 은행/금융권이 다루는 데이터도 하루 수십만에서 수천만건 이상이라 엄청날테구요
쇼핑몰이나 대규모 게임업체들도 관리하는 데이터는 정말 압도적인 수준입니다.
이런 쪽에 조금씩 빅데이터 관련 기술들이 도입되고 있어서 그 쪽으로 공부하시면 도움이 많이 될 것 같네요.
그리고 회사에서 신입사원을 뽑는데 데이터 전문가를 뽑는다던가 하진 않습니다.
개발직군으로 입사한 이후에 데이터 쪽 관심을 갖고 있음을 실력/자격증/알짱거림? 등으로 표시하시면
그쪽으로 커리어패스를 잡고 성정할 수 있지 않을까 싶네요.
제목 : [정보처리기사]
http://redtea.kr/pb/view.php?id=timeline&no=25834
정보처리기사 정도는 기초가 튼튼하다면 쉬이 따실 수 있으실 겁니다.
http://redtea.kr/pb/view.php?id=timeline&no=25834
정보처리기사 정도는 기초가 튼튼하다면 쉬이 따실 수 있으실 겁니다.
| 목록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