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6/11/11 16:44:47
Name   진준
Subject   이공계 분들 봐주세요!!! (수학, 물리 이론 분야)
네.

비웃진 마시구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ㅠㅠㅠㅠ

1) 학적이 없는 상태입니다. 그러니까 학생, 교수, 연구원 아닌 상태...
논문 같은 거 끄적여서 발표할 수 있나요?? 자격은 뭐가 필요한지요?? 이쪽으론 해본 게 거의 없고 어설픈 학부 때 지식만 남은 상황입니다.

2) 꼭 유학을 가야 되나? 즉 독고다이로 한국에서 공부할 수는 없느냐 이런 질문을 드리고 싶습니다. 제가 비행기부터가 겁이 날 정도로 루틴한 생활을 좋아합니다. 책 같은 건 웬만큼 다 구할 수 있는데, 논문도 가능한가요? 저 다닐 때는 학교 아이디 있고 그래야 어디어디 접속해서 논문 열람하고 그랬었는데요;;;; 일단 저희 학교만요;;;




그냥 한 30년 공부 덕후질(...) 해서 죽기 전에 시덥잖은 논문이라도 남겨보고 싶습니다. 어릴 적부터 꿈이에용.


비웃지뫄!!!!!!!!!!!!!!!!!!



0


혼돈의카오스
1)상관없죠
2)안가도됩니다
목적에따라 다르겠지만..
논문 자유롭게 올리는 곳이 있나요?
혼돈의카오스
저널에도 누구든 쓸수 있습니다
다만 그게 논리적으로 말이안되거나 저널의 특징에맞지않다거나 틀린내용이라거나 하면게재가 거절당하겠죠
나머지는 그냥 블로그에 올린거랑 차이가없죠
아카이브도 있긴하지만 그냥 찜하는거 정도라...
아!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하니남편
상관없고 안가도 되지만...그게 논문이라면 검증을해야되서...그냥 본인 논리로 말하다가 끝나서...
올리면 읽고 검증이 되…지…않을까효?? ㅜㅜ
혼돈의카오스
검증이 된 것을 올리는 곳이지 검증해달라고 올리는 곳은 학교죠. 교육기관입니다
아. 감사해요!
Beer Inside
1. 상관은 없지만 논문이라는 것이 맨땅에 헤딩해서 쓸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보통 처음으로 자기 손으로 쓴다고 생각되는 석사학위 논문 같은 경우는 대부분 불태워 버리고 싶은 심정의 수준이니까요.

2. 공부는 뭐 알아서 하셔도 됩니다. 대학에 따라서 유료로 일반회원을 받아주는 곳이 있으니 그런 곳에 가입하시면 무료로 논문을 검색할수도 있고 읽을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scholar.google.com 과 scihub등을 활용하면 가치있는 논문 중에 구하기 힘든 논문은 거의 없습니다.
역시 홍차넷! 감사합니다 ㅠㅠ
레지엔
이공계가 아니긴 한데, 상대적으로 저널 숫자가 많고 정말 말도 안되는 것도 받아주는 저널도 많은게 의학쪽인데요, 이쪽도 소속기관 없는 저자의 논문은 걸러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수학의 경우에는 페렐만처럼 할 수도 있어보이지만 제가 알기로 페렐만이 푸앵카레 추측을 올린 곳은 공식적으로 인정받는 저널이라기보다는 e저널의 형태를 띈 비인증 사이트 정도 되는 걸로...
아, 소속 기관 ㅜㅜ
Beer Inside
뭐 소속기관은 만들면 됩니다.
설립이요?????????
Beer Inside
뭐... 연구소 같은 것을 하나 만들어서....... 삽질을 하면......
독고다이는 힘들다(…)
Event Horizon
어느정도 인정받는 저널에 논문을 기고하고 싶으시면 개인이 부담하기에는 가격도 좀 쌘편입니다...
캡틴아메리카
일단 먼저 제가 응용수학 전공으로 박사 학위 받았다는 걸 밝히면서...

1. 물론 아무런 학적없이 독고다이로 할 수는 있습니다. 학계의 인정을 받을 수만 있다면요. 다만, 근래의 학자들은 (적어도 수학쪽에서는) 거의 혼자서는 연구하기 힘듭니다. 혼자서 하는 건 본인이 지금껏 연구되지 않았던 전혀 새로운 무언가를 할 때나 가능합니다. (왜냐하면 다른 사람들은 그 분야를 아직 모르니까요.) 그리고 학계의 인정을 받기 이전에 학계의 관심을 먼저 받아야 하는데, 보통 지도교수가 누구냐로 쉽게 관심을 받느냐 아니냐가 갈립니다. 연구자들... 더 보기
일단 먼저 제가 응용수학 전공으로 박사 학위 받았다는 걸 밝히면서...

1. 물론 아무런 학적없이 독고다이로 할 수는 있습니다. 학계의 인정을 받을 수만 있다면요. 다만, 근래의 학자들은 (적어도 수학쪽에서는) 거의 혼자서는 연구하기 힘듭니다. 혼자서 하는 건 본인이 지금껏 연구되지 않았던 전혀 새로운 무언가를 할 때나 가능합니다. (왜냐하면 다른 사람들은 그 분야를 아직 모르니까요.) 그리고 학계의 인정을 받기 이전에 학계의 관심을 먼저 받아야 하는데, 보통 지도교수가 누구냐로 쉽게 관심을 받느냐 아니냐가 갈립니다. 연구자들이 다른 연구자를 평가하기 전에 같이 연구했던 사람(보통 막 학계에 들어온 사람에 경우 지도교수가 되죠.)이 누구인지를 보고 관심을 쉽게 주기도 아니기도 하거든요.

2. "유학이냐 국내냐" 라면 그냥 본인이 어떤 것을 연구하고 싶으냐에 달려있습니다. 연구 주제나 풀에 따라 유학이 좋은 분야가 있고 국내가 좋은 분야가 있습니다.
읽고 싶은 논문을 구하는 건 학적이나 소속이 없고 연구지원을 못 받고 있다해도 본인이 돈만 있다면 자비로 얼마든지 구해서 볼 수 있습니다.
어으.. 저도 비슷한 이야기로 산통을 깨지 싶은데
요사이 친한 형과 같은 건물 안에서-다른 연구실- 대학원 학업중인데, (공학도입니다. 분야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한번씩 밥먹고 술먹으러 만날때마다 실없는 소리 주고받으면 꼭 끼는 레퍼토리 중의 하나가

학계는 재야의 숨은 고수가 30년동안 깊은 산속에 틀어박혀 수련하고 깨달음을 얻었다! 하고 혜성처럼 등장할 수 있는 환경이 절대 아니다 운운입니다.

윗분들이 말씀하셨던 것처럼, 어느정도 인정받는 저널은 논문을 투고받으면 (여기까지는 심사비만 내면 누구나 할 수 있습니... 더 보기
어으.. 저도 비슷한 이야기로 산통을 깨지 싶은데
요사이 친한 형과 같은 건물 안에서-다른 연구실- 대학원 학업중인데, (공학도입니다. 분야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한번씩 밥먹고 술먹으러 만날때마다 실없는 소리 주고받으면 꼭 끼는 레퍼토리 중의 하나가

학계는 재야의 숨은 고수가 30년동안 깊은 산속에 틀어박혀 수련하고 깨달음을 얻었다! 하고 혜성처럼 등장할 수 있는 환경이 절대 아니다 운운입니다.

윗분들이 말씀하셨던 것처럼, 어느정도 인정받는 저널은 논문을 투고받으면 (여기까지는 심사비만 내면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만)
논문의 편집자(에디터를 이렇게 옮기면 맞나요?)들이 대다수를 걸러내는데, 열과 성을 다해서 읽어봐 주는 게 절대로 아닙니다. 들어오는 편수도 많고, 내용들도 굉장히 디테일하고 전문화되어서 어떤 소분야에 대한 학술지라도 어떤 한 사람이 그 범위에서 다루는 연구들을 줄줄이 꿰고 있기가 상당히 어렵습니다. 그러니까 열심히 써놨는데 내가 연구한 주제가 아니라면 당최 뭔 소린지, 왜 이런 연구를 하는지 알아먹지를 못합니다.
여담인데 매 학기 열리는, 매주마다 이런저런 외부인사 불러서 하는 세미나 발표 끝나면 가끔 나오는 질문이, 우아하고 세련되게 포장된 '그래서 이거 어디 써요?@.@;'
짬 좀 되시는 교수님들이 후배를 연사로 불러왔다 하면 돌직구로 날리기도 하십디다.

이런 과정을 어째어째 통과했다 하더라도, 에디터들이 자문위원(이것도 리뷰어를.. 엄..음..)에게 검토해달라고 보내는데, 이건 보통 해당 학회지에 평소 논문을 자주 기고하던 교수님들이나 중견 연구원들이고, 이분들도 수많은 업무로 굉장히 바쁜 와중에 하나하나 세밀하게 파고들어 읽어봐 줄 여건이 못됩니다. 그러니까 내용도 내용인데, 다른 매력 요소가 필요합니다.
논문 작성법 세미나 같은 것을 하면 수차례 나오는 게 이런 이야기죠. 이런 시스템으로 논문이 발표되는 것이니 title, abstract, introduction과 중요한 한두개 figure로 시선을 붙잡지 못하면 그 실험 내용과 결과를 떠나 좋은 논문이 아니라고... 심지어는 저것들 중에 title과 abstract만 남기도 합니다. introduction도 제대로 안 읽는다고.

이런 상황이니, 윗분들이 말씀하신 것처럼 보통 저자 이름을 적는 곳(대부분은 한명만 딱 적고 마는 것이 아닙니다. 보통 1저자, 2저자, 지도교수 이런 식으로 적죠. 3저자 4저자까지 주렁주렁 달리는 일도 있고, 여러 군데서 코웍을 해서 진행된 연구라면 교수님들 성함만도 두분 세분 붙기도 합니다) 마지막에 달린 지도교수, 연구소장 등 간판 이름은 절대로 무시할 수 없는 항목이 됩니다.

그래서 논문이 임팩트있게 받아들여지기 위해(쉽게 저널의 심사를 통과하기 위해) 해당 분야에서 유명한 사람을 공동저자로 끼워 넣는 일이 자주 있습니다. 그 사람이 별다른 기여를 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요. 혹은 그 분께 한번 검토를 부탁하고 끼워 넣는다던가... 이정도면 그래도 납득은 가죠. 가장 중요한 돈 문제도 얽혀 있고, 교수님의 학창시절 지도교수님 이름을 넣는 경우도 있구요. 이건 근데 요 앞에 말한 검토 운운하고도 겹치니까요. 이정도면 대강 어떤 분위기인지 설명이 되었지 싶습니다.
까페레인
음..비현실적일수도 있는데, 방송통신대학은 대학원이 없나요? 어떤 대학원이든 대학원과정에 등록하시면 교수님 지도하에 석사논문을 적게되니 적어도 석사이후에는 본인이 원하면 교수님과 공동으로든 리뷰를 받고 저널에 투고는 해 볼 수 있지 않을까요? 물론 통과보장은 없지만서두요. 30년동안 독자적으로 하기보다 일단 2년정도 논문투고 요령 같은 걸 좀 더 전문적으로 지도 받아서 형식에 맞게 적으면 내용은 이후에 본인이 자료 수집 통계내어서 계속 고쳐가면서 발표하면 되지 않나 싶어요. 회사와 함께 공동으로 진행해서 논문내는 경우도 있고요.
다들 답변 감사드립니다!!! ㅠㅠ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747 IT/컴퓨터아웃룩 쓰시는 직딩분들 도와주세요!!! 6 김설현 16/11/07 4109 0
1748 IT/컴퓨터신도림에 전화사러가요 9 jsclub 16/11/08 3422 0
1749 게임소대 시스템 말고 옛날처럼 1:1로 싸우는 슈퍼로봇대전 있습니까 7 빠른포기 16/11/08 3659 0
1750 의료/건강열이 좀 나는데 타이레놀 먹어도되나요? 4 nickyo 16/11/08 3785 0
1751 IT/컴퓨터한글 폰트 다른 컴퓨터에서도 보이게 하는 방법은? 6 맑은샘물 16/11/08 23674 0
1753 게임데스티니 차일드 확률 조작 사건에 대하여 질문입니다. 1 불타는밀밭 16/11/09 3037 0
1754 과학미시적인 한 두 물체의 움직임과 거시적인 여러 물체의 움직임의 가역성/비가역성 여부에 대해서 4 Ben사랑 16/11/09 4784 0
1755 문화/예술짧은 글을 찾고 있습니다 도화 16/11/10 3023 0
1756 게임[하스스톤]1600가루입니다. 9 바코드 16/11/10 3827 0
1757 IT/컴퓨터아이폰 리퍼를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하죠? 4 기쁨평안 16/11/10 2978 0
1758 문화/예술다음 사진에서 웹툰 캐릭터 몇개나 보이시나요? 24 tannenbaum 16/11/10 4630 0
1759 게임'미궁' 게임 아시는 분 계시나요? 7 Toby 16/11/11 3310 0
1760 교육이공계 분들 봐주세요!!! (수학, 물리 이론 분야) 21 진준 16/11/11 3773 0
1761 여행미국 면세점에서 살 만한 물건이 뭐가 있을까요? 13 바코드 16/11/12 5815 0
1762 게임데스티니차일드 질문입니다 2 헬리제의우울 16/11/12 3741 0
1763 의료/건강처방전없이 살수 있는 코막힘 해결약 있나요? 3 미야브 16/11/12 3543 0
1764 기타유부남 취미 추천좀..ㅠ 39 우왕굳 16/11/12 5676 0
1765 IT/컴퓨터폰을 바꾸려고 합니다. 3 모여라 맛동산 16/11/12 3486 0
1766 과학물리학의 '생각'에 대한 만화를 그리고 싶어요 8 Ben사랑 16/11/13 4069 1
1767 문화/예술공부하면서 들을 클래식 피아노 음악? 13 진준 16/11/13 3290 0
1768 기타30대 초반 남자 옷 브랜드 추천해주세요. 12 Blueruin 16/11/13 14838 0
1769 기타상대방에게 방구틀기 6 우왕굳 16/11/13 3274 0
1770 의료/건강큰 소리를 들으면 귀에서 지지직 거립니다. 1 1일3똥 16/11/14 9344 0
1772 기타새누리가 쪼개지면 비례의원들은 어떻게 되나요? 2 Toby 16/11/14 2935 0
1773 의료/건강알레르기 비염약 장기복용 부작용? 4 장난감 16/11/14 9107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