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6/11/11 16:44:47
Name   진준
Subject   이공계 분들 봐주세요!!! (수학, 물리 이론 분야)
네.

비웃진 마시구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ㅠㅠㅠㅠ

1) 학적이 없는 상태입니다. 그러니까 학생, 교수, 연구원 아닌 상태...
논문 같은 거 끄적여서 발표할 수 있나요?? 자격은 뭐가 필요한지요?? 이쪽으론 해본 게 거의 없고 어설픈 학부 때 지식만 남은 상황입니다.

2) 꼭 유학을 가야 되나? 즉 독고다이로 한국에서 공부할 수는 없느냐 이런 질문을 드리고 싶습니다. 제가 비행기부터가 겁이 날 정도로 루틴한 생활을 좋아합니다. 책 같은 건 웬만큼 다 구할 수 있는데, 논문도 가능한가요? 저 다닐 때는 학교 아이디 있고 그래야 어디어디 접속해서 논문 열람하고 그랬었는데요;;;; 일단 저희 학교만요;;;




그냥 한 30년 공부 덕후질(...) 해서 죽기 전에 시덥잖은 논문이라도 남겨보고 싶습니다. 어릴 적부터 꿈이에용.


비웃지뫄!!!!!!!!!!!!!!!!!!



0


혼돈의카오스
1)상관없죠
2)안가도됩니다
목적에따라 다르겠지만..
논문 자유롭게 올리는 곳이 있나요?
혼돈의카오스
저널에도 누구든 쓸수 있습니다
다만 그게 논리적으로 말이안되거나 저널의 특징에맞지않다거나 틀린내용이라거나 하면게재가 거절당하겠죠
나머지는 그냥 블로그에 올린거랑 차이가없죠
아카이브도 있긴하지만 그냥 찜하는거 정도라...
아!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하니남편
상관없고 안가도 되지만...그게 논문이라면 검증을해야되서...그냥 본인 논리로 말하다가 끝나서...
올리면 읽고 검증이 되…지…않을까효?? ㅜㅜ
혼돈의카오스
검증이 된 것을 올리는 곳이지 검증해달라고 올리는 곳은 학교죠. 교육기관입니다
아. 감사해요!
Beer Inside
1. 상관은 없지만 논문이라는 것이 맨땅에 헤딩해서 쓸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보통 처음으로 자기 손으로 쓴다고 생각되는 석사학위 논문 같은 경우는 대부분 불태워 버리고 싶은 심정의 수준이니까요.

2. 공부는 뭐 알아서 하셔도 됩니다. 대학에 따라서 유료로 일반회원을 받아주는 곳이 있으니 그런 곳에 가입하시면 무료로 논문을 검색할수도 있고 읽을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scholar.google.com 과 scihub등을 활용하면 가치있는 논문 중에 구하기 힘든 논문은 거의 없습니다.
역시 홍차넷! 감사합니다 ㅠㅠ
레지엔
이공계가 아니긴 한데, 상대적으로 저널 숫자가 많고 정말 말도 안되는 것도 받아주는 저널도 많은게 의학쪽인데요, 이쪽도 소속기관 없는 저자의 논문은 걸러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수학의 경우에는 페렐만처럼 할 수도 있어보이지만 제가 알기로 페렐만이 푸앵카레 추측을 올린 곳은 공식적으로 인정받는 저널이라기보다는 e저널의 형태를 띈 비인증 사이트 정도 되는 걸로...
아, 소속 기관 ㅜㅜ
Beer Inside
뭐 소속기관은 만들면 됩니다.
설립이요?????????
Beer Inside
뭐... 연구소 같은 것을 하나 만들어서....... 삽질을 하면......
독고다이는 힘들다(…)
Event Horizon
어느정도 인정받는 저널에 논문을 기고하고 싶으시면 개인이 부담하기에는 가격도 좀 쌘편입니다...
캡틴아메리카
일단 먼저 제가 응용수학 전공으로 박사 학위 받았다는 걸 밝히면서...

1. 물론 아무런 학적없이 독고다이로 할 수는 있습니다. 학계의 인정을 받을 수만 있다면요. 다만, 근래의 학자들은 (적어도 수학쪽에서는) 거의 혼자서는 연구하기 힘듭니다. 혼자서 하는 건 본인이 지금껏 연구되지 않았던 전혀 새로운 무언가를 할 때나 가능합니다. (왜냐하면 다른 사람들은 그 분야를 아직 모르니까요.) 그리고 학계의 인정을 받기 이전에 학계의 관심을 먼저 받아야 하는데, 보통 지도교수가 누구냐로 쉽게 관심을 받느냐 아니냐가 갈립니다. 연구자들... 더 보기
일단 먼저 제가 응용수학 전공으로 박사 학위 받았다는 걸 밝히면서...

1. 물론 아무런 학적없이 독고다이로 할 수는 있습니다. 학계의 인정을 받을 수만 있다면요. 다만, 근래의 학자들은 (적어도 수학쪽에서는) 거의 혼자서는 연구하기 힘듭니다. 혼자서 하는 건 본인이 지금껏 연구되지 않았던 전혀 새로운 무언가를 할 때나 가능합니다. (왜냐하면 다른 사람들은 그 분야를 아직 모르니까요.) 그리고 학계의 인정을 받기 이전에 학계의 관심을 먼저 받아야 하는데, 보통 지도교수가 누구냐로 쉽게 관심을 받느냐 아니냐가 갈립니다. 연구자들이 다른 연구자를 평가하기 전에 같이 연구했던 사람(보통 막 학계에 들어온 사람에 경우 지도교수가 되죠.)이 누구인지를 보고 관심을 쉽게 주기도 아니기도 하거든요.

2. "유학이냐 국내냐" 라면 그냥 본인이 어떤 것을 연구하고 싶으냐에 달려있습니다. 연구 주제나 풀에 따라 유학이 좋은 분야가 있고 국내가 좋은 분야가 있습니다.
읽고 싶은 논문을 구하는 건 학적이나 소속이 없고 연구지원을 못 받고 있다해도 본인이 돈만 있다면 자비로 얼마든지 구해서 볼 수 있습니다.
어으.. 저도 비슷한 이야기로 산통을 깨지 싶은데
요사이 친한 형과 같은 건물 안에서-다른 연구실- 대학원 학업중인데, (공학도입니다. 분야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한번씩 밥먹고 술먹으러 만날때마다 실없는 소리 주고받으면 꼭 끼는 레퍼토리 중의 하나가

학계는 재야의 숨은 고수가 30년동안 깊은 산속에 틀어박혀 수련하고 깨달음을 얻었다! 하고 혜성처럼 등장할 수 있는 환경이 절대 아니다 운운입니다.

윗분들이 말씀하셨던 것처럼, 어느정도 인정받는 저널은 논문을 투고받으면 (여기까지는 심사비만 내면 누구나 할 수 있습니... 더 보기
어으.. 저도 비슷한 이야기로 산통을 깨지 싶은데
요사이 친한 형과 같은 건물 안에서-다른 연구실- 대학원 학업중인데, (공학도입니다. 분야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한번씩 밥먹고 술먹으러 만날때마다 실없는 소리 주고받으면 꼭 끼는 레퍼토리 중의 하나가

학계는 재야의 숨은 고수가 30년동안 깊은 산속에 틀어박혀 수련하고 깨달음을 얻었다! 하고 혜성처럼 등장할 수 있는 환경이 절대 아니다 운운입니다.

윗분들이 말씀하셨던 것처럼, 어느정도 인정받는 저널은 논문을 투고받으면 (여기까지는 심사비만 내면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만)
논문의 편집자(에디터를 이렇게 옮기면 맞나요?)들이 대다수를 걸러내는데, 열과 성을 다해서 읽어봐 주는 게 절대로 아닙니다. 들어오는 편수도 많고, 내용들도 굉장히 디테일하고 전문화되어서 어떤 소분야에 대한 학술지라도 어떤 한 사람이 그 범위에서 다루는 연구들을 줄줄이 꿰고 있기가 상당히 어렵습니다. 그러니까 열심히 써놨는데 내가 연구한 주제가 아니라면 당최 뭔 소린지, 왜 이런 연구를 하는지 알아먹지를 못합니다.
여담인데 매 학기 열리는, 매주마다 이런저런 외부인사 불러서 하는 세미나 발표 끝나면 가끔 나오는 질문이, 우아하고 세련되게 포장된 '그래서 이거 어디 써요?@.@;'
짬 좀 되시는 교수님들이 후배를 연사로 불러왔다 하면 돌직구로 날리기도 하십디다.

이런 과정을 어째어째 통과했다 하더라도, 에디터들이 자문위원(이것도 리뷰어를.. 엄..음..)에게 검토해달라고 보내는데, 이건 보통 해당 학회지에 평소 논문을 자주 기고하던 교수님들이나 중견 연구원들이고, 이분들도 수많은 업무로 굉장히 바쁜 와중에 하나하나 세밀하게 파고들어 읽어봐 줄 여건이 못됩니다. 그러니까 내용도 내용인데, 다른 매력 요소가 필요합니다.
논문 작성법 세미나 같은 것을 하면 수차례 나오는 게 이런 이야기죠. 이런 시스템으로 논문이 발표되는 것이니 title, abstract, introduction과 중요한 한두개 figure로 시선을 붙잡지 못하면 그 실험 내용과 결과를 떠나 좋은 논문이 아니라고... 심지어는 저것들 중에 title과 abstract만 남기도 합니다. introduction도 제대로 안 읽는다고.

이런 상황이니, 윗분들이 말씀하신 것처럼 보통 저자 이름을 적는 곳(대부분은 한명만 딱 적고 마는 것이 아닙니다. 보통 1저자, 2저자, 지도교수 이런 식으로 적죠. 3저자 4저자까지 주렁주렁 달리는 일도 있고, 여러 군데서 코웍을 해서 진행된 연구라면 교수님들 성함만도 두분 세분 붙기도 합니다) 마지막에 달린 지도교수, 연구소장 등 간판 이름은 절대로 무시할 수 없는 항목이 됩니다.

그래서 논문이 임팩트있게 받아들여지기 위해(쉽게 저널의 심사를 통과하기 위해) 해당 분야에서 유명한 사람을 공동저자로 끼워 넣는 일이 자주 있습니다. 그 사람이 별다른 기여를 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요. 혹은 그 분께 한번 검토를 부탁하고 끼워 넣는다던가... 이정도면 그래도 납득은 가죠. 가장 중요한 돈 문제도 얽혀 있고, 교수님의 학창시절 지도교수님 이름을 넣는 경우도 있구요. 이건 근데 요 앞에 말한 검토 운운하고도 겹치니까요. 이정도면 대강 어떤 분위기인지 설명이 되었지 싶습니다.
까페레인
음..비현실적일수도 있는데, 방송통신대학은 대학원이 없나요? 어떤 대학원이든 대학원과정에 등록하시면 교수님 지도하에 석사논문을 적게되니 적어도 석사이후에는 본인이 원하면 교수님과 공동으로든 리뷰를 받고 저널에 투고는 해 볼 수 있지 않을까요? 물론 통과보장은 없지만서두요. 30년동안 독자적으로 하기보다 일단 2년정도 논문투고 요령 같은 걸 좀 더 전문적으로 지도 받아서 형식에 맞게 적으면 내용은 이후에 본인이 자료 수집 통계내어서 계속 고쳐가면서 발표하면 되지 않나 싶어요. 회사와 함께 공동으로 진행해서 논문내는 경우도 있고요.
다들 답변 감사드립니다!!! ㅠㅠ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035 교육글쓰기는 어떻게 교육해야 할까요? 27 매일이수수께끼상자 17/01/05 4119 1
2022 교육광주시내 도서관에 대해서 8 OshiN 17/01/03 3284 0
2014 교육글씨 연습 교재 좋은게 있을까요? 7 불타는밀밭 17/01/02 3564 0
1961 교육대학생분들께 질문합니다. 헌 교과서 거래하는 어플이 있다죠? 3 OPTIK 16/12/23 2910 0
1939 교육아마존에서 책 주문시 신용카드 외의 결제수단도 되나요? 8 Ben사랑 16/12/20 3399 0
1862 교육영어문법 질문 24 눈부심 16/12/04 4659 0
1861 교육영어 문장구조 질문입니다. 5 성의준 16/12/04 3937 0
1850 교육'손은 눈보다 빠르다'를 어떻게 영어로 설명할까요? 49 tannenbaum 16/12/01 8216 0
1760 교육이공계 분들 봐주세요!!! (수학, 물리 이론 분야) 21 진준 16/11/11 3778 0
1746 교육영어공부를 하면서 드는 의문인데 23 불타는밀밭 16/11/07 3755 0
1705 교육[과외비] 문제 풀어주면서 한 문제당 얼마 받을까요? 12 진준 16/10/30 3669 0
1675 교육양질의 책 리뷰를 볼 수있는 곳 추천 바라요 5 Cogito 16/10/23 4255 0
1621 교육영어 공부 교재 추천해주세요. 제가 공부합니다. ㅠㅠ 35 Darwin4078 16/10/07 4759 0
1616 교육어렸을때 기하학 문제 좋아하셨나요? 30 Cogito 16/10/06 5550 0
1472 교육말싸움들 어떻게 하시나요? 15 님니리님님 16/09/02 4549 0
1470 교육볼펜 추천 부탁드릴께요. 14 님니리님님 16/09/02 6295 0
1339 교육요즘 토익 어렵나요? 5 도라에몽 16/07/27 4657 0
1230 교육일본어 중급 회화 정도 배울 컨텐츠 있을까요? 9 세계구조 16/06/27 3187 0
1216 교육영어 한문장 해석 부탁드립니다. 11 성의준 16/06/23 4301 0
1148 교육박사가 3년만에 따지나요?? 13 하니남편 16/06/01 16218 0
1111 교육통일신라, 남북국 시대 11 Fore 16/05/24 4081 0
1009 교육폴 크루그먼에 대해 질문 있어요. 5 눈부심 16/04/20 4874 0
997 교육논문 읽기와 쓰기 관련 질문 12 하늘밑푸른초원 16/04/14 4664 0
995 교육요즘 보기에 가장 괜찮은 삼국지는 뭐가 있을까요? 6 쉬군 16/04/12 4362 0
994 교육영어레슨을 만들었어요. 22 눈부심 16/04/12 5306 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