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5/06/06 22:12:09
Name   오구
Subject   공부하는 방법, 공부하는 습관을 들이는 방법을 쓴 책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30대 후반 여자입니다.
최종 학력은 전문대 졸입니다.

초중고 시절 가난과 아동학대 경험과 따돌림 경험으로 인해 학업성적이 낮아 대학 졸업장도 겨우 땄습니다. 다만 개근상은 놓치지 않았습니다.
직장생활 하면서 방통대 졸업장이라도 따려고 했는데 학습속도가 너무 느려 방통대 자퇴와 입학을 반복했습니다.

홍차넷 회원님들 자녀분께 읽히는 책도 좋습니다.
일시적으로 학업성적을 높여주는 방법이 쓰여진 책이 아닌 공부하는 방법이나 습관이 쓰여진 책이 있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1


노란옥수수
책추천은 아니지만, 코멘트를 남기자면
공부의 바탕은 국어 실력이라고 생각합니다. 국어실력이라는 것이, 거창한 것도 아닌, 문해력.. 더 쉽게 이야기하면 글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입니다.

문해력을 높이려면 어떻게 해야하냐? 라고 질문을 하면... 많은 사람들은 보통 책을 많이 읽어라라고 대답을 하지만..
사실 너무 막연하거든요. 글을 읽을 때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지 알 수도 없구요.

제가 친구에게 이야기 해준다면... 중학교 수준? 의 국어 독해 문제집? 하나 사서 읽고 푸는 연습을 해보라고 할 것 같네요.
수능 수준... 더 보기
책추천은 아니지만, 코멘트를 남기자면
공부의 바탕은 국어 실력이라고 생각합니다. 국어실력이라는 것이, 거창한 것도 아닌, 문해력.. 더 쉽게 이야기하면 글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입니다.

문해력을 높이려면 어떻게 해야하냐? 라고 질문을 하면... 많은 사람들은 보통 책을 많이 읽어라라고 대답을 하지만..
사실 너무 막연하거든요. 글을 읽을 때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지 알 수도 없구요.

제가 친구에게 이야기 해준다면... 중학교 수준? 의 국어 독해 문제집? 하나 사서 읽고 푸는 연습을 해보라고 할 것 같네요.
수능 수준은 너무 어렵고요(궁극적으로는 지향해야할 수준이고요)
우선은 국가에서 주관하는 중학교 수준 국어시험 기출문제 풀어봐도 괜찮을 거 같네요.
중학교 수준도 어려우면 초등학교 수준까지도 내려가야 할 거구요.. 차근차근 단계를 밟아서 올라가야겠습니다.
글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을 키우는 과정을 기초부터 쌓는다고 생각하시면 편할 듯요.

글을 읽고 이해가 안 되면 재미가 없어지고, 공부가 어려워져서, 공부에 재미가 붙지 않을 겁니다.
반대로 이해가 되면 아는 게 많아지고, 아는 게 많아지면 재미도 있어져서, 습관은 저절로 생기리라 봅니다.
7
댓글 보고 중학교 수준 국어 문제집부터 구입했습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문해력을 높이는데 있어서 책을 읽는 것 말고 다른 방법이 있을까 싶습니다.
다만 그냥 보통 책을 많이 읽는다고 해서 문해력이 늘어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본인이 잘 모르는 분야의 어려운 글을 읽는게 문해력을 짧은 시간에 늘리는 길인 것 같습니다.
읽기 쉬운 웹소설이나 만화같은거 많이 보는 애들이 딱히 문해력이 좋은게 아니니까요...
모르는 단어나 표현이 나오면 그냥 무작정 기억하고, 나중의 내용과 대조해서 의미를 추측하고,
전체의 맥락을 계속 반추하면서 글속에서 자신을 잃지 않고 버텨내는 힘이 문해력이... 더 보기
문해력을 높이는데 있어서 책을 읽는 것 말고 다른 방법이 있을까 싶습니다.
다만 그냥 보통 책을 많이 읽는다고 해서 문해력이 늘어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본인이 잘 모르는 분야의 어려운 글을 읽는게 문해력을 짧은 시간에 늘리는 길인 것 같습니다.
읽기 쉬운 웹소설이나 만화같은거 많이 보는 애들이 딱히 문해력이 좋은게 아니니까요...
모르는 단어나 표현이 나오면 그냥 무작정 기억하고, 나중의 내용과 대조해서 의미를 추측하고,
전체의 맥락을 계속 반추하면서 글속에서 자신을 잃지 않고 버텨내는 힘이 문해력이 아닌가 싶거든요.
다만 그 지루함을 버텨내려면 강력한 동기 부여가 되어야 하는데...
그게 쉽지가 않죠. 그런게 가능하면 방통대 교재들도 재밌게 읽을 수 있을테고 학습성취가 느리다고 느끼실 일이 없겠지요...
제 생각에는 공부한다고 생각하지 마시고... 그냥 본인 취향이나 관심사에 맞는 그런 책을 찾아보시는게 어떨까 합니다.
나이들어서 읽으면 새롭게 다가오는 분야가 많습니다. 대표적인게 경제나 역사쪽이지요....
본인에게 딱 맞는 책을 찾을 수 있기를 바라겠습니다.
3
Daniel Plainview
https://m.idpaper.co.kr/book/view.html?workSeq=21752

결국엔 마음가짐의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이 글을 읽으면서 느낀 바가 많았습니다.
4
원하시는 공부가 뭔지부터 같이 대화해보면 좋을 것 같아요.

대강 분류해보자면, 1) 위에 Daniel Plainview님이 짚어주셨던 것과 연관되는, 전환적 경험이나 성장감각을 얻고 싶으신 건지, 2) 노란옥수수님이나 단비아빠님께서 짚어주신 것과 연관될, 추상적 사고 능력(독해, 작문, 수리/논리, 추상화)을 늘리고 싶으신 건지, 3) 어떤 구체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싶으신 건지, 4) 아니면 학력이라 불리는 사회적 인증을 확보하기 위해서 (이건 절대 부끄러운 욕망이 아니에요) 인지요.

의도적으로 흐릿하게 몇 가지 구조... 더 보기
원하시는 공부가 뭔지부터 같이 대화해보면 좋을 것 같아요.

대강 분류해보자면, 1) 위에 Daniel Plainview님이 짚어주셨던 것과 연관되는, 전환적 경험이나 성장감각을 얻고 싶으신 건지, 2) 노란옥수수님이나 단비아빠님께서 짚어주신 것과 연관될, 추상적 사고 능력(독해, 작문, 수리/논리, 추상화)을 늘리고 싶으신 건지, 3) 어떤 구체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싶으신 건지, 4) 아니면 학력이라 불리는 사회적 인증을 확보하기 위해서 (이건 절대 부끄러운 욕망이 아니에요) 인지요.

의도적으로 흐릿하게 몇 가지 구조를 던졌고, 이것들은 상호 분리되어 있지 않아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구체화해보는 건 좋은 시작점이 될 거예요. '어떻게 학습해야 하는가?'에 대한 커다란 틀은 이미 확립되어 있다고 보셔도 되요. 인간의 구체적인 인지적/감정적 다양성을 흐릿하게 고려하는 틀이기는 하지만...
8
4가지 다 공부해보고 싶어요!는 욕심인 것 같고요ㅎㅎㅎ
일단은 추상적 사고 능력을 길러보고 싶습니다. 제일 취약한 부분이기도 하거니와 직장생활 하는데 이 능력이 많이 도움될 것 같거든요.
마술사
결국 원하시는건, 꼭 공부에 해당되기보단,
장기적인 목표를 달성하기위해 매일 꾸준히 노력하는법 인것 같습니다

보통은 첫번째를 장기적인 목표를 구체적으로 표현하라고 합니다. 예를들면 어느 시험에서 어느과목을 몇점이상 맞겠다. 이런식으로요
두번째로 그 목표가 달성되고있는지 점검가능한, 월별로 목표를 세웁니다. 예를들면 시험과 똑같은 모의고사를 한달에 한번 봐서 월별로 몇점몇점 맞아서 점점 높여가겠다 같은거요.
세번째는 일주일에 한번정도 짧게 월별목표 달성가능여부를 점검하는 겁니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일년후의 흐릿한 결과보다는, 명확한 이번달 목표를 보면서 매주 마음을 다잡고 집중할수 있습니다
3
먼저 머무는 장소를 바꾸고, 만나는 사람들을 바꾸십시오.

행위는 그 다음입니다.
1
서서히 바꿔볼게요. 댓글 감사합니다.
메리메리
업력을 먼저 키우고 소득을 안정시킨 후에 그 다음 스펙을 쌓으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둘 다 한꺼번에 하려면 다 빠그라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차근차근 가세요.
1
네 ㅎㅎㅎ step by step 명심하겠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6866 과학천문학 공부 하신 분 있으시면 용어 질문 드립니다. 3 mathematicgirl 25/07/15 529 0
16863 IT/컴퓨터노션 수식 세우기 11 OshiN 25/07/14 623 0
16862 IT/컴퓨터핸드폰 해킹이나 악성코드가 깔린 걸까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ㅠㅠ 2 VinHaDaddy 25/07/13 752 0
16861 가정/육아실내 제습기 써보신 분 있나요 14 심해냉장고 25/07/13 831 0
16860 기타변호사 상담 취소할까 말까 고민중인데 조언 바랍니다 4 덕후나이트 25/07/13 987 0
16859 가정/육아결혼하는 이유에 대해 7 [익명] 25/07/13 1098 0
16858 경제이혼으로 인한 재산분할 관련 문의 5 [익명] 25/07/12 846 0
16857 의료/건강노인분들 체력, 면역력 강화 방법... 19 dongri 25/07/12 825 0
16856 경제회원님들이 생각하시기에 로마 제국은 왜 몰락했을까요? 4 메리메리 25/07/12 625 0
16855 의료/건강공진단, 경옥고, 침향환 등에 대한 문의 16 K-이안 브레머 25/07/11 939 0
16854 기타자동차 실내크리닝?디테일링세차? 해보신분 질문입니다. 10 하우두유두 25/07/11 606 0
16853 기타혹서기에 연비가 급격히 하락하나요? 14 방사능홍차 25/07/10 965 0
16852 여행일본 렌터카 차종 질문드립니다. 6 쉬군 25/07/10 480 0
16851 여행7월 중순 안동에 갑니다 19 아이캔플라이 25/07/09 784 0
16850 게임[수정] 스팀 입문하려는데 질문입니다. 29 퍼그 25/07/09 872 0
16849 법률부동산 매수 계약 체크 포인트 2 GogoGo 25/07/09 613 2
16848 여행혼자 갈만한 여행지 추천 부탁드립니다 40 풉키풉키 25/07/09 901 0
16847 문화/예술사케 파는곳 추천받습니다 3 Iowa 25/07/09 489 0
16846 여행아들이 미국을 갑니다. 20 [익명] 25/07/08 968 0
16845 진로울산 맛집 추천 좀요 8 린디합도그 25/07/08 565 0
16844 체육/스포츠이온음료 분말로 드시는 분 계신가요? 13 고요한숲 25/07/07 847 0
16843 교육영어 블라블라한 선생님들 질문있습니다! 30 Mandarin 25/07/07 955 1
16842 여행서울 숙소를 찾습니다. 10 흰긴수염고래 25/07/07 726 0
16841 경제미국 주식 하는 회원님들. 여러 증권사를 사용하시는지요? 10 오리꽥 25/07/07 828 0
16840 기타복도식 아파트에 가스관에 우산 거치 괜찮은건가요? 4 알로에비누 25/07/06 930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