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4/12/26 20:10:51수정됨
Name   [익명]
File #1   42b964baa9c660b5ffec90a1adddf0ca.jpeg (171.5 KB), Download : 0
File #2   5892c8c73fa6bbc58a81c653f5badc7f.jpeg (58.8 KB), Download : 1
Subject   공기업 취업했는데, 취업사기를 당한거 같아 너무 힘듭니다.




일단 선 다섯줄 요약입니다.

1. 올해 건보에 입사를 했으나 입사하자마자 과거에 7~8년동안 부정하게 많이 올린 급여를 메꾸기 위해 전 직원 12년 임금동결이 시행됨.
2. 신입사원 입장에서는 공시된 초봉 및 앞으로 오를 급여를 보고 입사했는데 공시된 초봉은 부정하게 올린 급여였고
그걸 메꾸기 위해 전직원 12년 임금동결을 한다고 하니 취업사기를 당한 심정임
3. 임금이 12년 동결될줄 미리 알았으면 다른 선택지를 했을것. 공시되었던 초봉이 높았으니 그만큼 취준생들 선호도가 높아져 입사경쟁률도 쌨는데
그렇게 힘들게 입사했고, 당연히 기대되던 임금에 대한 부분을 나와 관련없는 잘못으로 동결한다고 하니 박탈감이 큼.
연봉동결 얘기가 퍼진 취업커뮤니티에서는 당연히 선호도 급락중임.
4. 더불어 환수방식에 대한 불만이 있음. 작년 퇴직자는 부정하게 오른급여 받을거 다받고 손해보는거 없이 퇴직했으며
올해 신규직원은 올해 입사해서 부정하게 받은것 하나없는데 손해는 다 보는것임.
5. 하지만 현실적으로 신규직원은 힘도 없고 아무도 챙겨주지도 않고 이직말고는 할수 있는게 없어서 더 답답함.


2년동안 준비해서 올해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취업을 했습니다.
취업한 이유는 공기업중에서 매년 임금상승률도 높았고 초봉도 높고 워라밸좋고 제 집근처에서 근무 가능한 공기업이 건보가 유일했어요.

그래서 열심히 준비했구요. 올해 7월에 붙고나서 너무너무 기뻤습니다.
치열하게 업무에 적응하느라 노력하는데, 올해 12월 청천벽력같은 소식이 들렸습니다.

아직까지 7~8년동안 급여를 부정하게 올렸다는게 기재부 및 감사에 들켰으니, 그 댓가로 향후 12년간 임금동결을 하겠다는 내용이였습니다.

현재 신입 초봉은 4100만원인데 급여를 부정하게 올리지 않았다면 신입 초봉은 지금보다 600만원 가량 낮은, 3500만원이여야 한다는 겁니다.
그리고 부정하게 올린 600만원의 갭을 줄이기 위해 향후 12년간 호봉으로 인한 임금상승분을 제외하고 전직원 임금동결을 하겠다는 얘기입니다.

이에 관해서 경영진들은, '신입사원은 원래 초봉으로 3500만원을 받아야하는데 4100만원 받고있으니 혜택을 받고있는 것이다. 혜택받았으니 신입사원도 부당하게 올린 급여에 대한 책임이 있다.' 라고 말하며 입닫고 있는 상황입니다.

저는 현재까지 진행상황이 너무나도 화가나고, 힘듭니다.

https://www.dailymedi.com/news/news_view.php?wr_id=919789

관련 기사내용입니다.

제가 화가 나는 이유는
1. 올해 입사한 신입사원은 잘못한것 하나없고 혜택받은것도 없는데 경영진에게 '초봉을 많이 올렸으니 신입사원들도 혜택을 받았다' 이라는 얘기를 들었고, 다른 사번과 똑같이 12년 동결을 받는게 너무 억울합니다. 저는 입사전에 12년 임금동결 받는줄 알았으면 다른기업 준비했을겁니다.
심지어 4달전 연수원에서 상임이사가 와서 '우리가 임금 많이 올렸으니 자부심 가져라' 등등의 말도 하고 갔습니다.

2. 모든 공무원, 공기업은 호봉상승분을 제외하고 매년 물가상승률에 기반한 정부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1~3% 사이 임금을 올리고 있고
당연히 건강보험공단에 입사할때 매년 1~3% 내지의 임금상승을 기대하고 왔는데, 12년동안 임금동결이라 하니 사실상 취업사기라고 생각합니다.
매년 물가 상승률이 매년 2~3%사이인데 호봉 상승분 제외 임금동결이면 사실상의 임금하락이기 때문입니다.
-> 근데 이에 관해, 매년 1~3% 가량의 임금상승은 근로계약서상 약속한게 아니기때문에 법적으로 다퉈볼만한 여지도 없다고 합니다.
솔직히 매년 임금상승을 사측이 약속한건 아니지만, 공무원 및 공기업은 매년 올라가는 급여와 안정성정도는 당연히 생각하고 오는거라고 생각하는데 말이죠.. 실제로도 모든 공무원 및 공공기관이 매년 급여를 소량 올리고 있으니까요.

3. 신입사원의 말을 귀기울여 들어주는 사람은 극소수고, 힘도 없으니 당할수밖에 없습니다. 내가 뭘 할수 있는게 없습니다. 이직하기에는 건강보험공단 맞춤 경력 및 스펙이라 낙장불입같은 느낌입니다.

4. 사내 블라인드에서는 다들 임금동결에 대한 한탄이 많지만, 가장 피해가 큰 신입사원들에 대해
'꼬우면 이직해라, 너만 피해봤냐, 이 직장 너가 선택하지 않았냐, 너네 입장은 알겠는데 자꾸 얘기하니 피곤하다' 등등 정말 정떨어지는 얘기를 많이 듣고있습니다.

솔직히 임금에 관하여 부정하게 취한게 있으면 이득본 사람이 내야하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그렇다고 하면 윗사번일수록 많이 부담하고, 아랫사번으로 갈수록 적게 부담하는게 이성적인 진행방향이구요.

근데 이걸 신규사원 포함 모두에게 똑같이 부담하라고 하니 너무너무 분한겁니다.
심지어 신규사원은 그냥 24년 공시된 초봉보고 입사한건데, 들어오고나니 연봉동결이라고 하니 화딱지가 납니다.

그래서 요즘 정말로 일하기가 싫어지고 윗사람들에 대한 정이 떨어지고 블라인드 사내게시판 보면 사우들에 대한 배신감도 들고 힘든 요즘입니다.
저는 진심으로 취업사기라고 생각하는데, 제가 잘못된 생각인가요?

이런얘기 부모님한테 말하니까 '너가 뭘 바꿀순 없으니까 그냥 순응해라' 등등의 얘기만 들리고
현실적으로 맞는얘기도 같습니다만, 이 끓어오르는 분노를 어찌 할수가 없습니다.
블라인드 보면 그냥 '누칼협?, 너가선택한거니 악으로 깡으로 버텨, 너가 뭘할수 있는데?' 등등 긁히는말 투성이네요.











0


Cascade
아마 12년간 동결은 못할 겁니다. 아무리 공기업이라지만 12년 동결은 불가능한 얘기라 보고 아마 몇년 뒤 정상적으로 돌아올 겁니다. 정권 바뀌고, 예산안 다시 짜다 보면 얘기 들어줄 수 밖에 없어요
1
[글쓴이]
저도 12년까지 동결은 안할거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기업의 해결방향이 너무너무 분한게 사실입니다. 왜냐하면
혜택만 받은사람 따로있고(작년 퇴사자)
손해만 보는사람 따로있기(올해 입사자) 때문입니다.
이성적으로 생각해서 왜 입사하기도전 있었던 부정한 일에 대해 책임지는건데, 왜 신규사원도 같이 피해를 봐야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사실 회사의 상황이 안좋으면 잘못한게 없어도 피해는 어느정도 감수할 수 있지만 최소한 차등해서 책임을 져야하는게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그냥 연좌제라고 생각해야하는걸까요
Cascade
퇴사자에게 어떻게 책임을 물을 수는 없죠. 민사 소송을 할 수도 없고

회사 입장에서 보면 높은 임금 자체가 동결을 상쇄할 것이라 보는 거죠

사실 호봉제니까 차등해서 부담을 지는 게 맞습니다. 연봉 높은 사람은 그만큼 더 동결금액이 크게 다가오겠죠.

뭐 저도 비슷하게 2년 동결 맞았지만 걍 다닙니다. 글고 12년은 절대 절대 동결 못해요 근데 지금처럼 올려줄 수도 없긴 할거에요
[글쓴이]
절대적 금액으로 치면 당장은 동결로 인한 피해금액이 윗사번이 큰게 맞지만 연봉상승률은 복리라서 퇴직할때까지 그 피해가 영향이 가는데
당장 10년뒤에 퇴직하는 차장급이랑, 현재 갓 취업해서 앞으로 30년다닐 신입으로 비교하면
저는 아랫사원들도 피해가 차장급에 비해 적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데 제가 계산이 잘못된걸까요...
Cascade
12년은 동결 못한다니까요 그걸 곧이곧대로 믿으실려면 믿으세요. 근데 그렇게 못해요
[글쓴이]
사실 연봉동결이 3~4년으로 끝나도 그냥 그거대로 기분이 굉장히 나쁠거같기는 합니다. 저도 12년까지는 안갈거라고 생각해요. 그냥 근본적인 원인은 '받은사람 따로있고 뱉는사람 따로있는 불합리한 환수방식'에 대한 분노인거같습니다.
Cascade
글고 뭐 나가겠다 이런 생각은 안 하심이... 차라리 이직을 노리는 게 낫지 (원주에 많잖아요) 나가면 찬바람 쌩쌩입니다
[글쓴이]
마땅히 이직할곳도없어서 그냥 다녀야할거같아요... 그냥 고점매수한 느낌만 들어서 박탈감이 듭니다.
저 높아진 초봉이 입사난이도에 그대로 반영되어 있었거든요. 저같은경우는 타 공기업이랑 필기날이 겹쳐서 타 공기업은 버리고 건보 준비한건데
잘못된 선택이였다고 생각이 드는 요즘입니다. 뭐 이런걸 예측할수는 없는거지만요.
진짜 요즘 말그대로 '어쩔껀데? 신입 너가 뭘 할수 있는데?'를 당하는 중이네요.
근데 사회생활하다보면 더한 일이 많다능..
1
[글쓴이]
그럴거 같습니다. 벌써 쓴맛을 보네요. 감사합니다
1
이 경우는 정상화라고 연봉 깍아버리지않는게 다행아닐까요;,
지금연봉에서 동결 12년 vs 정상화해서 인상분 받기 의 게임이 될거 같은데요.
연봉 깎지않는게 다행이라고 하면 다행일수 있겠습니다만 사기업이랑은 다르게
공공기관은 연봉 깎는방식이 연봉 동결 or 성과급 반납이라서요. 사실상 연봉깎는거랑 똑같은겁니다.
근본적인 논점은 뭐... 그냥 아무것도 잘못안하고 받은것도 없는데
갑자기 나와 관련없는 회사의 옛 부정들이 터져서 신입도 똑같은 피해를 보는게 아무리 봐도 불합리하다고 생각하네요.

상황을 비유하자면
초봉 높고 워라밸 좋은걸로 인재들 뽑아놓고서는 막상 뽑아놓고 나니
'너네 사실 초봉 높은거는 개구라였고 원래연봉은 그보다 낮게 받아야 맞아~ 그러니 그거 메꿔야하니 연봉동결할게 꼬우면 이직해' 이런겁니다.
덜커덩
어떻게 보면 유구한(?) 역사라서 사실 위로밖에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 참고로 신입사원만 콕 찝어서 했던 이 건은 복원되는데 3~5년 걸렸던걸로 기억합니다.

https://www.labor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3202
[글쓴이]
감사합니다. 저보다 더 분한사례를 보니 뭐랄까 위안이 조금 되네요.
덜커덩
사람마다 생각하는게 달라 뭐라 이야기하기는 어렵지만 비슷한 경험을 한 사람으로, 동료들을 너무 미워하지는 않는 것을 권합니다. 그들 중 대부분은 그때 그 상황을 맞이하고 떠밀리듯 무게를 진 사람들일 뿐입니다.
[글쓴이]
감사합니다. 근무 의욕은 왕창 떨어지고 선배에 대한 배신감도 들지만 제 일은 묵묵히 해나가고 있어요.
제 동기는 화나서 태업한다 뭐다 얘기하지만, 결국 태업하면 열심히 하는 다른 누군가가 일을 더 많이 해야하는거니까요.
위로가 됩니다.
1
당근매니아
채용절차법 제4조(거짓 채용광고 등의 금지)
① 구인자는 채용을 가장하여 아이디어를 수집하거나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거짓의 채용광고를 내서는 아니 된다.
② 구인자는 정당한 사유 없이 채용광고의 내용을 구직자에게 불리하게 변경하여서는 아니 된다.
③ 구인자는 구직자를 채용한 후에 정당한 사유 없이 채용광고에서 제시한 근로조건을 구직자에게 불리하게 변경하여서는 아니 된다.

사기업 기준으로 보았을 때, 공고에 임금상승률 같은 것도 같이 기재되어 있는 예외적인 사유라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런 ... 더 보기
채용절차법 제4조(거짓 채용광고 등의 금지)
① 구인자는 채용을 가장하여 아이디어를 수집하거나 사업장을 홍보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거짓의 채용광고를 내서는 아니 된다.
② 구인자는 정당한 사유 없이 채용광고의 내용을 구직자에게 불리하게 변경하여서는 아니 된다.
③ 구인자는 구직자를 채용한 후에 정당한 사유 없이 채용광고에서 제시한 근로조건을 구직자에게 불리하게 변경하여서는 아니 된다.

사기업 기준으로 보았을 때, 공고에 임금상승률 같은 것도 같이 기재되어 있는 예외적인 사유라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런 내용이 없었다면 공고상의 초봉은 그대로 인정해주면서 장기간에 걸쳐 임금인상을 적용하지 않더라도 법률위반이 성립하지는 않습니다.
명시는 안되있지만 당연히 기대되는 임금상승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도 명시안되어있다고 하시면 할말은 없지만 모든 공기업 공무원들은 호봉상승분 제외하고 정부 가이드라인 따라서 매년 임금상승 시행하고 있습니다. 취준생 입장에서는 그런거 계산기 다 두들기고 입사했죠. 다들 공무원 준비할때 초봉은 낮지만 나중에 급여높을걸 생각하고 준비하는거처럼요 근데 매년 임금상승을 안한다고 하면 뭐 법상에 문제는 없지만 사기에 가까운 기만이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아무것도 할수있는게없으니 답답할 따름입니다.
열한시육분
평생 고용이 보장된 분들에게 같이 열내줄 정도로 바깥세상에 여유가 있지가 않습니다.
7
[글쓴이]
그런거 같습니다 ㅎㅎ
열한시육분
기사 발행 시점에서 보면 노조도 '그럴 것 같다'로 준비각만 잡고 있군요. 그리고 저도 윗분들 의견대로 최대 수년 후면 다른 방식으로 갚기로 하고 페이드아웃 될것같아요. 당장 기사에 나타난 것만 봐도 조단위 지원금을 논하는 NHI인걸요
이런게 분하고 못참겠다 하면 방법이 현실적으로 두가지정도긴합니다. 이직하거나, 노조활동하거나. 결국 이런문제도 일을 크게만들어야 해결하거나 짜부러지거나 선택지를 나눠볼수있어서..
다만 직장에대한 기대수익은 저는 마치 좋은주식을 투자하는거랑 비슷하다고 생각해서 앞으로 얻을 기대소득이 줄어들었다는건 설득력이 부족한거 같습니다. 마음이 이해가안가는건아닌데 공감의 문제라기보단 기대수익을 계약에 잠재적으로 포함해생각하는건 너무 좋은쪽으로만 생각하신거아닐까... 계산기 두들기는행위엔 리스크도 있는거니까요. 건보공단이 적자폭탄으로 미래가 불... 더 보기
이런게 분하고 못참겠다 하면 방법이 현실적으로 두가지정도긴합니다. 이직하거나, 노조활동하거나. 결국 이런문제도 일을 크게만들어야 해결하거나 짜부러지거나 선택지를 나눠볼수있어서..
다만 직장에대한 기대수익은 저는 마치 좋은주식을 투자하는거랑 비슷하다고 생각해서 앞으로 얻을 기대소득이 줄어들었다는건 설득력이 부족한거 같습니다. 마음이 이해가안가는건아닌데 공감의 문제라기보단 기대수익을 계약에 잠재적으로 포함해생각하는건 너무 좋은쪽으로만 생각하신거아닐까... 계산기 두들기는행위엔 리스크도 있는거니까요. 건보공단이 적자폭탄으로 미래가 불투명해지면 기대한 안정성이 없다고 사기라고 할 수 없듯이..

반면에 왜 혜택누린 사람들이 책임지지않냐 이런포인트를 부각시키는게 더 중요하지않나 싶긴하지만 따지고보면 결국 전선을 잡기가 어려워보이긴하네요. 요는 초봉인상을 되감는게 아니라 인상률을 올리는걸 멈추는거라서 호봉제자체는 유지되실테니까요. 전략을 잘 짜서 적극적으로 노조활동을통해 반전을꾀해보시거나 이직하시거나.. 아님 지나다보면 나아지겠지 하시거나.. 어느쪽이든 주변 가까이 편들어줄 분들이랑 소주 많이드시면서 분풀이부터 하시고 실천하시면 좋을거같습니다. 힘내세요~
1
아이고 억울하시겠는데.. 힘내세요
원금복구제발ㅠㅠ
아이고....힘내십쇼 ㅠㅠ 개인으로서는 대항할 방법이 그다지 없다는게 제일 안타까운 상황입니다...
집에 가는 제로스
공공기관들 다 비슷한 처지로군요..
처음 입사했던 공공기관에서 영업이익이 너무 많이 나니까 그걸 직원들 인센티브 주기 싫어서 타 공공기관에 기부(!!?!?!?)를 하는 기행을 벌였던게 생각나네요.

직원들 갈아넣어서 돈 벌어놓고 영업이익이 너무 나니까 특정 관청일을 맡아서 하는 하청업체 주제에 너무 많이 남겨먹은거 아니냐는 소리를 들을까봐 그런 기행을 벌였다던데.. 웃긴건 정규직 직원들은 노조가 있으니 적정 인센티브 금액으로 입을 틀어막고 계약직 직원은 한 푼도 안주고 지나갔죠. 계약직이지만 똑같이 대우한다고 해놓고 입 싹 닫던 팀장, 파트장, 선배들이 생각나네요.
사이시옷
정말 답답하고 화가 나셨을 것 같네요. 입사하기 전에는 전혀 모르셨던 상황이고, 다른 공공기관들처럼 당연히 매년 임금 인상이 있을 거라 기대하셨을 텐데요.

상황을 보니 공단도 나름의 어려움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직급 포화 문제를 해결하려다 예산 지침을 벗어난 운영을 했고, 그 부담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네요.
그렇다고 해도 그 책임을 전혀 관계없는 신입 직원들에게까지 동일하게 지우는 건 불공정합니다.
하지만, 시스템 구조상 신입 사원들만 연봉을 올리는 것 또한 불가능할거에요.

현재 여러 공공기관들이 비슷한 상황에 처... 더 보기
정말 답답하고 화가 나셨을 것 같네요. 입사하기 전에는 전혀 모르셨던 상황이고, 다른 공공기관들처럼 당연히 매년 임금 인상이 있을 거라 기대하셨을 텐데요.

상황을 보니 공단도 나름의 어려움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직급 포화 문제를 해결하려다 예산 지침을 벗어난 운영을 했고, 그 부담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네요.
그렇다고 해도 그 책임을 전혀 관계없는 신입 직원들에게까지 동일하게 지우는 건 불공정합니다.
하지만, 시스템 구조상 신입 사원들만 연봉을 올리는 것 또한 불가능할거에요.

현재 여러 공공기관들이 비슷한 상황에 처해있습니다. 대부분이 일정 기간에 많은 사람을 채용하는 바람에(정부 정책)
일부 직급이 과포화되어 있습니다. 제가 다니는 공기업도 그렇구요.

얼마전 방문했던 모 기관은 80%가 15년 이상 일한 5급 직급이더군요. 몇백명의 직원중 1년에 4급 진급이 1~2명 밖에 안되서 난리라고 합니다.
그래서 직원들 사기가 떨어질대로 떨어진 상태인데, 재정도 좋지 않아 사면초가더군요.

건보는 일단 승진에 대한 불만을 상위 직급 퇴사자의 인건비를 하위 직급에 n빵해서 급여를 올리는 방식으로 해결한듯 보입니다.
그렇게 연봉이 오른 사람들도 지금 불만이 많을거에요. 그냥 승진을 시켜줬다면 본인 연봉도 12년간 동결이 될일이 없었을테니까요.
경영진이 선택한 해결책이 언발에 오줌누기가 된거죠.

공공기관의 경영진들은 결코 기관의 미래를 신경쓰지 않습니다. 외부에서 온 사람들이고, 몇년만 하면 사라질테니까요.
그래서 늘 미봉책을 내놓는 일이 많습니다. 그래서 그만큼 실무자들이 잘 싸워야된다고 생각합니다.
몇년 후 문제가 생기면 크게 감사를 받는데, 감사를 받는 사람은 당시의 임원이 아닌 아래에서 일하던 실무자들입니다.. 슬픈 현실이죠.

공공기관 생활 시작부터 우울한 일이 생기셨다니 많이 안타깝습니다.
그래도 12년간 동결하기는 어려울거에요. 또 누군가가 언발에 오줌을 눌테고, 겨울이 끝나서 더 이상 얼지 않는 날이 올거에요.

남 이야기가 아닌 것 같아 주저리 주저리 길게 써봤습니다.
이런말씀 드리기 좀 망설여지지만...
저 같은 경우는 연봉협상에서 500만원 차이로 한달동안 입씨름하고나서 결국 받아내고 나니까 마음이 헛헛하더라구요. 누군가는 500만원을 비트코인 차트 무빙 한번에 벌기도 하는데 나는 1년에 500 더 벌겠다고 이렇게 난리치고 감정 소모하는 제 자신이 부끄러웠습니다. 지금 연봉 동결된게 막막하시겠지만 길게 생각해보면 그깟 500만원 아무것도 아니에요. 오히려 지금의 분노를 마음에 품으면서 정신소모하는게 더 아깝습니다. 일단 앞으로 12년의 미래는 fix되어 있으니 다른길을 찾아보실때 고민하시기 편할거에요. 화이팅입니다
더샤드
당장 퇴사하시라는게 아니라, 일단 다니면서 사기업 신입으로 런 치는것도 같이 준비해보세요.
[글쓴이]
댓글 달아주신분들 모두 답변 감사합니다. 하나하나 읽어봤고 멘탈 관리에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6452 기타밀리터리) 영어로 육해공군 계급이 다른 이유? 6 아이캔플라이 25/01/09 1032 0
16441 기타경품으로 취득한 자동차의 소유권 이전에 대한 질문입니다. 4 [익명] 25/01/07 794 0
16440 기타아파트 지하주차장 경사로 주차 무개념 17 방사능홍차 25/01/07 1156 0
16436 기타TV 질문입니다 5 김치찌개 25/01/06 652 0
16434 기타이 가방 부자재 이름이 뭘까요? 6 다람쥐 25/01/05 1127 0
16426 기타상처로 인한 분노에서 벗어나는 방법이 무엇인가요 6 [익명] 25/01/02 1068 0
16422 기타카니발 vs 펠리세이드 풀체인지 최종 고민 질문입니다. 36 쉬군 24/12/31 1321 0
16421 기타1600년 세계 화포술 궁금합니다 4 영원한초보 24/12/31 749 0
16416 기타남자 스킨케어 제품 추천 부탁드립니다. 24 쉬군 24/12/29 943 0
16410 기타공기업 취업했는데, 취업사기를 당한거 같아 너무 힘듭니다. 30 [익명] 24/12/26 2188 0
16404 기타현명한 인간관계 대응방법이 고민입니다. 13 [익명] 24/12/23 1301 0
16400 기타패딩 입은 채로 자는 분 있으신지요...? 11 홍당무 24/12/21 1407 0
16393 기타2025년 다이어리 추천해주세요. 4 Darwin4078 24/12/19 778 0
16391 기타세컨카 suv는 어떤게 좋을까요? 24 다람쥐 24/12/19 1146 0
16389 기타직장생활을 하다가 종교에 귀의하는거는 어떨까요? 15 [익명] 24/12/18 1066 0
16388 기타거실의 장식 타일이 떨어지려고 합니다. 2 트랜스메타 24/12/17 738 0
16387 기타분리수거를 어떻게 해야할까요? 2 발그레 아이네꼬 24/12/17 682 0
16386 기타넷플릭스 질문입니다 5 김치찌개 24/12/17 706 0
16379 기타저녁에 방어회를 시켜먹으려는데 4 왕킹멍 24/12/15 970 0
16376 기타내일 여의도 8 토비 24/12/13 1042 0
16375 기타샤워부스 문고리(?)를 사야 합니다 8 바쿠 24/12/13 826 0
16372 기타선생님들 저 조금만 더 도와주실 수 있으실까요? + 답장이 와서 추가... 27 활활태워라 24/12/12 1612 3
16370 기타송년회 단체 와인마실 만한곳을 질문드립니다. 4 쉬군 24/12/11 839 0
16369 기타혹시 올해에 새콤달콤 맛있는 귤 드셔보신분 계신가요? 9 오늘 24/12/11 966 0
16366 기타티타임에 올렸었는데 거절의사 어떻게 표현하나요? 32 활활태워라 24/12/10 1771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