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4/11/28 13:54:18
Name   [익명]
Subject   친구들보다 좋은 직장에 들어갔는데, 태도를 어떻게 해야할까요?

대학교에서 나름 발 넓게 잘 지내왔고 감투도 썼었고
그래서 지금도 친하게 지내는 대학교 선후배 동기들이 많습니다.
대다수는 아직도 전공을 살려 지내고 있습니다만 전공의 미래가 매우 어두우며 본인들도 그걸 알고
술자리 가질때마다 한탄들을 합니다.

그래서 다들 전공살려서 공기업이나 공무원으로 이직하는걸 최적의 루트로 삼고 다들 부러워하는데
제가 운좋게도 그 최적의 루트로 굉장히 빠르게 되었습니다. 다들 부러워하구요.
사실 과 인원 100명중 과탑먹었던 친구들도 가기 힘든곳인데 우연히 중간정도 하던 제가 빠르게 되었습니다. 그만큼 열심히 하긴 했습니다.

현재 이직한 회사에서 굉장히 만족중인데, 대학교 친구들과 만날때 생각보다 신경이 쓰입니다.
저는 단톡방에 일상 공유를 많이 하는편인데 어느때부턴가 제가 하는말이 자랑처럼 느껴질까봐 일상 공유를 못하겠더라고요.
6시에 칼퇴근하고, 임시공휴일날 쉬고, 주말 출근안하고, 주말에 붙여 월-화에 연차쓸수있는게
지금 회사에서는 당연한 복지인데 이전 직장에서는 그렇지 않았고 현재 대학교 친구들도 대다수 그런직장에서 일하거든요.

저는 지금 그래서 친구들과 얘기할때

왠만하면 친구들 직장을 되게 치켜세워주면서(공기업 오니까 급여가 낮아졌다. 이전에 했던 일들은 그래도 하는일에 보람을 느꼈고 능력있으면 돈 많이번다는 식으로)
그래도 '돈 포기하고 워라밸 택할거면 여기 되게 좋다. 준비한다고 하면 내가 많이 도와주겠다.' 이렇게 말하거든요.

어떻게 스탠스를 취하는게 가장 나은 방법일까요. 최대한 현재 직장이 힘들다고 해야할까요.
친구들끼리 전공 관련 얘기하다가 '야 그래도 oo이는 공기업가서 미래걱정없겠네 부럽다~' 이런 얘기나오면 어떻게 말해야할지 난감합니다.
사실 이직하면서 현업에서 멀어지니 대학교 친구들과 할 대화주제도 적어지고 공감도 어렵고 뭐 쉽지가 않네요...



0


whenyouinRome...
그냥 적당히 소소한 저녁밥 사진이나 올리면서 조용히 있으면 제일 좋죠.
꼬아들을 사람은 뭘해도 꼬아듣거든요
2
성향마다 다르겠지만 전 그런말들이 괜한 오지랖으로 느껴집니다 솔직히. 제 친구가 그렇다면 저는 그냥 직장에 대한 이야기를 아예 안하는게 서로 편할듯 싶네요. 꼭 직장에 대해서만 이야기를 나눌 주제가 있는건 아니니까요.
참이든 거짓이든 말을 그냥 ‘안 하는’ 편이 낫습니다. 먼저 물어보지 않는 이상 다른 화제로만 얘기하세요.
12
[글쓴이]
먼저 절대 얘기안합니다만 현 직장으로 이직준비하는 친구들도 좀 있어서 직장 처우나 만족도에 대해 현직의 입장을 직접적으로 물어보는 경우가 잦습니다. 이 경우에는 솔직하게 좋은 복지들을 다 알려주는게 맞는지도 고민이에요. 자랑으로 들릴까봐요
그런 경우는 저라면 개인톡으로 적당히 몇가지만 간략히 알려줄 것 같아요. 굳이 세세히 다 알려줄 필요는 없어보이고, 오히려 진짜 자랑처럼 보일 수도 있어서요.
FTHR컨설팅
그냥 별로라고 하세요.
발전이 없는것 같다.
직장문화가 별로다
올드하고 정체되어있다. 등등
TheLifer
직장 얘기는 그냥 회사에서 일시킨다 정도 외에는 아예 안 꺼내는 게 답이라고 생각합니다.
3
박지운
아무 상관 없을 듯... 그냥 생각나는 대로 행동하세용
바방구
질투받기 시작하면 너무 괴롭읍니다 말씀하지 마세요..
2
nothing
기본적으로 당사자의 캐릭터, 그리고 친구들간의 관계의 색깔(?)에 따라 다릅니다.
어떤 캐릭터 / 관계에서는 대놓고 대감집 노예질이 좋다고 자랑해도 가볍게 받아들여지는 케이스도 있는 반면에
정반대의 케이스도 있거든요.

다만 글쓴이 분께서 그 부분에 고민이 느껴지기 시작한 모먼트가 있다면 전자의 캐릭터 / 관계는 아닐 가능성이 높다고 보여집니다.
위에서 TheLifer 님이 써주신게 저는 베스트일 것 같아요.

학창시절 우정은 그저 일상만 같이 보내도 자연스럽게 깊어지는게 우정이었는데
성인 이후의 우정은 어느정도의 요... 더 보기
기본적으로 당사자의 캐릭터, 그리고 친구들간의 관계의 색깔(?)에 따라 다릅니다.
어떤 캐릭터 / 관계에서는 대놓고 대감집 노예질이 좋다고 자랑해도 가볍게 받아들여지는 케이스도 있는 반면에
정반대의 케이스도 있거든요.

다만 글쓴이 분께서 그 부분에 고민이 느껴지기 시작한 모먼트가 있다면 전자의 캐릭터 / 관계는 아닐 가능성이 높다고 보여집니다.
위에서 TheLifer 님이 써주신게 저는 베스트일 것 같아요.

학창시절 우정은 그저 일상만 같이 보내도 자연스럽게 깊어지는게 우정이었는데
성인 이후의 우정은 어느정도의 요령과 신경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저도 자랑할만한 건 가족 외에게는 말하지 않습니다.
오디너리안수정됨
대나무 숲 가서 '임금님귀는 당나귀귀' 를 하셔야..
아무래도 팔자 폈다는 소리를 주변에 하게되면 득보다 실이 많은 것은 어쩔수 없는 현실인것 같읍니다
원금복구제발ㅠㅠ
(취직한지 십몇년 지나긴 했습니다만..)
제가 비슷한 상황이었는데, 친구들이 물어볼 때 빼고 직장얘기 걍 안했습니다.
안그럴줄 알았는데 친한 친구들중 두어명이 저 없을때 엄청 뒤에서 질투(?) 질시(?) 섞인 뒷담화를 했었다는걸 알고 꽤 충격받았었네요.
아닐것 같아도 주변에 꼬아서 보는 친구들 한둘은 반드시 있다는걸 느꼈습니다.
'굳이 그런걸 신경쓰면서까지 지내야 하는걸까?' 싶긴 한데, 그냥 이해하고 넘어가야한다고 적당히 생각하며 지내도 나쁘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1
신경쓰이실 정도면 말 안하는게 베스트아닐까요?

그리고 꼬인 사람들은 뭘해도 꼬아들을거라.. 사실 대부분은 선생님이 좋은 직장 다니시는거에 대해서 별 생각 없을 겁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6365 기타캡모자를 사고 싶읍니다. 9 쉬군 24/12/10 750 0
16363 기타과일 선물을 보내고 싶읍니다. 6 니르바나 24/12/10 751 0
16357 기타시민이 가져야 할 진정한 중립적인 자세란 무엇인가요? 30 오구 24/12/08 1886 0
16356 기타간츠 O 마지막 장면 질문 2 21700 24/12/08 787 0
16353 기타손편지 직접 전하는게 좋을까요? 7 [익명] 24/12/06 799 0
16347 기타마케팅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8 분투 24/12/02 981 0
16335 기타친구들보다 좋은 직장에 들어갔는데, 태도를 어떻게 해야할까요? 13 [익명] 24/11/28 1157 0
16333 기타싱크대 누수의 경우 어떤 업체에 연락하나요? 9 골든햄스 24/11/27 862 0
16327 기타이 재택근무 업무 사기일까요 진짜일까요? 10 [익명] 24/11/26 1471 0
16324 기타책 추천 부탁드립니다. 7 런린이 24/11/26 818 0
16318 기타스스로를 바꾸기가 너무 어렵습니다. (직장인 공부) 18 눈사람 24/11/24 1216 1
16313 기타외제차는 국산차보다 유지비도 훨씬 많이 더 나오는지요...? 15 홍당무 24/11/23 1270 0
16312 기타차량 선택장애가 왔습니다 (카니발 vs 펠리세이드) 8 쉬군 24/11/23 1117 0
16305 기타차량에 사제 어라운드뷰 설치해보신 분 계실까요? 7 쉬군 24/11/20 1137 0
16297 기타밀도 있게 일하는 법은 무엇일까요? 3 데굴데굴 24/11/18 1010 1
16296 기타디지털 피아노 혹시 아시는 분 있을까요? 19 TEMPLATE 24/11/18 1024 0
16294 기타자동차 보험은 한 회사로 쭉 가는게 나은 건가요? 13 퍼그 24/11/18 1048 0
16286 기타사무실 형광등 교체를 안하고 밝게 사용할 방법이 있을까요? 11 오리꽥 24/11/14 1360 0
16284 기타공무원&고시 준비하시는 분들 어떻게 하실까요? 2 [익명] 24/11/13 1014 0
16280 기타카니발 신차 구매 질문드립니다. 9 쉬군 24/11/11 915 0
16272 기타바이든을 대신할만한 인물이 미국 민주당에는 없었던 것일까요? 10 홍당무 24/11/10 1188 0
16271 기타커피머신 잘 아시는분들께 질문 드립니다. 14 쉬군 24/11/10 911 0
16268 기타이사를 어디로 가야 할까 고민입니다 3 [익명] 24/11/09 956 0
16263 기타평범한 직장인입니다. 인생 잘못 살아온거 같습니다. 우울함을 어떻게 하면 떨칠수 있을까요? 61 [익명] 24/11/07 1894 0
16257 기타몬스테라 분갈이 때일까요? 9 다람쥐 24/11/05 892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