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4/08/01 16:20:28수정됨
Name   [익명]
Subject   외국인노동자 근무에 대한 급여미지급
지인 이야기지만, 개인신상이 들어가있어 익명 적용합니다.

작년 외국인이 워킹홀리데이 비자를 얻어 한국에 입국합니다.
아르바이트만 하려했지만, 자국에서 일하던 경력을 살려 올 초 외국계기업 한국지사에 정규직으로 입사합니다.
[추가->면접때는 정규직이라 했는데, 비자때문에 25시간 계약직으로 계약서 작성했다고 합니다..]

비자가 워킹홀리데이 비자라 주25시간 근무 및 급여로 계약서를 작성했지만, [지사장]이 업무대응을 위하여 주 40시간 근무를 지시하였고, 차액은 정식비자 발급 후 상여금 형식으로 지급하기로 구두 합의하였습니다.

약 4개월가량 근무하면서 월급이 일정하지 않게 들어옵니다. 만근을 하여도 매월 세전 기본급이 달랐지만, HR에 문의해도 명확한 답변이 말이 길어져 그냥 포기했습니다.

정식비자가 나왔고, 지사장에게 약속한 상여 지급을 요청하였는데, [HR와 확인하였는데, 너는 주25시간으로 계약을 했고, 주40시간 근무는 불법으로 차액을 지급할 수 없다] 라고 답변합니다.

실제 근무시간은 메일 수발신 및 출퇴근 기록으로 증명 가능합니다.
[16:55 추가수정 -> 출퇴근 기록은 없다고 합니다...]

외국인이 지인이라 매우 화가나는데, 감정은 넣어두고 실제 근무한 시간에 대한 급여를 받을 수 있는 방안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내용이 너무 자세하여 8/2 삭제하겠습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0


다람쥐
비자 여부와 상관 없이 돈은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비자 문제는 생길 수 있어요
노동청에 신고 고려해보세요.
[글쓴이]
비자문제는 어떤게 있을까요?
워킹비자로 주40시간 실제근무한게 비자취소사유가 될 수 있을까요?
매뉴물있뉴수정됨
https://overseas.mofa.go.kr/jp-fukuoka-ko/brd/m_1597/view.do?seq=1218709
※ 입국 후, 연간 취업시간은 총1,300시간을 초과할 수 없음. 1,300시간은 총량으로 6개월 동안 1,300시간 취업 후, 6개월은 관광 또는 어학연수를 할 수도 있고, 12개월간 주당 25시간 취업을 할 수 있음

라고 합니다.

그 외국인분이 이길수 있... 더 보기
https://overseas.mofa.go.kr/jp-fukuoka-ko/brd/m_1597/view.do?seq=1218709
※ 입국 후, 연간 취업시간은 총1,300시간을 초과할 수 없음. 1,300시간은 총량으로 6개월 동안 1,300시간 취업 후, 6개월은 관광 또는 어학연수를 할 수도 있고, 12개월간 주당 25시간 취업을 할 수 있음

라고 합니다.

그 외국인분이 이길수 있을것 같긴 한데요..?

그리고 제가 그 외국 비자 좀 받아본 통밥으로 만주변호사 흉내좀 내보자면
저기에 적혀있는 저 총량 1,300시간을 넘긴다고 해서
뭐 감옥을 간다거나 / 추가근무에 대한 급여를 국가로부터 몰수 당한다거나
뭐 그런일은 없을 거고,
다만 차후에 그 외국인분이 출국해서 본국으로 돌아가셨다가
다시 대한민국에 입국을 시도하실때, 출입국 심사시, 우리가 그분의 입국을 거부할수도 있는 명분이 되는 뭐 그런 정도일겁니다.

그러니까 'x발 대한민국 x같다 내 다시는 여기 안온다'라는 태도로 임한다면 일단은 무적권 받으실수 있을것 같습니다.
[글쓴이]
만약 향후 한국입국불가 조건이 있으면 급여를 포기할 사람입니다..
매뉴물있뉴
근데 그것도, 연간 총 1300시간을 '아직' 어기지 않으셨다면 해당사항이 없을겁니다.

그리고 출입국 사무소가 일반적으로는 그렇게 철저하게 한명의 외국인을 찍어서 너님 지금 한국에 체류하는 기간동안 총 1300시간 제한을 어겼는지 안어겼는지 그렇게 꼼꼼하게 감사하지 않읍니다... 어디서 누가 신고하지 않는 한은...
물론 그 지금 다니고 계시다는 그 회사를 찌를 경우에 회사도 그 외국인 지인이 1300시간 이상 일했다고 찌를수야 있겠습니다만
그 회사에서 일한건 고작 4개월 뿐이니까... 4개월=120일동안 1300시간을 일... 더 보기
근데 그것도, 연간 총 1300시간을 '아직' 어기지 않으셨다면 해당사항이 없을겁니다.

그리고 출입국 사무소가 일반적으로는 그렇게 철저하게 한명의 외국인을 찍어서 너님 지금 한국에 체류하는 기간동안 총 1300시간 제한을 어겼는지 안어겼는지 그렇게 꼼꼼하게 감사하지 않읍니다... 어디서 누가 신고하지 않는 한은...
물론 그 지금 다니고 계시다는 그 회사를 찌를 경우에 회사도 그 외국인 지인이 1300시간 이상 일했다고 찌를수야 있겠습니다만
그 회사에서 일한건 고작 4개월 뿐이니까... 4개월=120일동안 1300시간을 일하면 휴일없이 하루 평균 10.8시간인데... 회사는 단독으로 혼자서는 그런걸 증명할 능력이 없을것 같은데요? ㅎㅎ

그리고 출퇴근 기록은 다른 것으로도 증빙 가능합니다. 구글 위치추적 (핸드폰 - 구글맵 - 타임라인에서 확인) 기록이라거나 같은게 남아있거나 아니면 출퇴근할때 찍은 버스 교통카드 기록 뭐 그런걸로도 부분적으로나마 증빙가능하고...

근데 사실 제가 드는 의문은 이것입니다. 그 외국인은 본인의 근무 제한이 '주 25시간'이 아니고 '연간 1,300시간'이라는걸 몰랐단 말인가... 워홀 비자를 외국에서 신청해서 입국해서 들어올 정도면 당연히 알았을것 같은데...? 뭐지 저 소극적인 태도는? 하는 의문이 좀 있습니다. 어쩌면 외국인 분 스스로가 본인이 이미 1300시간을 넘겨 근무 하셨다는 걸 스스로 알고 계신것 같기도 하고...
[글쓴이]
연 1300시간은 물리적으로 지날 수 없습니다. 주말출근도 안했구요.
매뉴물있뉴
네 저는 혹시 그 4개월 다닌 회사 이전에 다녔던 다른 직장이 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서..
[글쓴이]
그럴수도 있겠군요..
회사입사전 식당 알바를 두달가량 했는데, 그걸 포함하더라도 연간 시수는 많이 남습니다.
불체와 급여지급은 별개일 겁니다.
[글쓴이]
불체는 아니고, 비자조건을 어긴 정도가 아닐까 합니다.
dolmusa
출퇴근 기록을 참고하여 실근로시간을 계산한 후 그에 따른 체불임금을 산정하여 노동청에 진정하시면 됩니다. 사유가 명확해서 돈 받는데까지는 쟁점이 없어보이고요. 애초에 워홀(H-1)비자가 주 25시간으로 제한되는 게 아닙니다.. 연간 1300시간을 12개월 동안 해야 주 25시간이고요.
그리고 회사와의 관계가 매우 안 좋아질 가능성이 높아 이직을 하셔야 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으니 그 부분에 관한 상세한 대처는 근처 노무법인의 도움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2
dolmusa
아마 e-7이실텐데, 이 비자는 취업이 전제된 비자여서 이직할때 요령이 필요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요부분 때문에 처음부터 준비를 다하고 클레임 절차가 시작되어야 합니다.
[글쓴이]
취업비자를 발급하면 앞선 워홀비자는 사라지는게 맞겠죠?

워홀비자 조건이 연간1300시간이라면, 32.5주, 대략적으로 7개월정도는 풀근무하여도 위반이 아닐까요?
이론상으로는 그런데, 취업만을 목적으로 온 사람은 비자 발급이 제한되기 때문에 통상 연수나 기타 활동을 먼저 깔고 후에 (풀타임)취업을 합니다. 이미 e-7을 취득한 상황으로 보이므로 본문과는 관련없는 사항입니다만.. 정확한건 관련 노무사나 행정사 찾아가시는게 좋겠습니다.
[글쓴이]
답변 감사합니다.
알바하면서 덕질이나 하려다가 돈좀 더벌려고 덜컥 취업한 케이스라.. 취업이 주목적은 아닙니다.
도움 많이 주셔서 감사합니다.
집에 가는 제로스
임금받는건 별 문제 없을 것이고 체불임금등사업주확인서 받아서 법률구조공단 가시면 외국인도 임금소송 무료로 다 진행해드립니다.
비자는 모름..
[글쓴이]
다시 얘기하는게 출퇴근 시간기록은 없다 합니다
메일 발신 시간으로 근무를 인정받을 수 있을까요?
집에 가는 제로스
출퇴근기록 없으면 좀 애매해지긴 합니다만 메일 수발신 내역이 몇차례 정도가 아니라
상시적이면 크게 문제는 안될겁니다. 구체적으로 입증이 될지는 구체적인 자료를 봐야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글쓴이]
답변 감사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6104 법률노동사건 변호사는 어떤 경로로 찾게 되나요? 11 [익명] 24/08/28 1470 0
16103 법률고인의 유언에 따라 고인의 재산을 사회에 환원할때 16 Mandarin 24/08/27 1937 0
16065 법률아파트 주차 문제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17 알로에비누 24/08/11 1639 0
16052 법률영문으로 된 기사나 칼럼을 법원에 제출하고자 할때 절차 및 비용? 13 열한시육분 24/08/06 1541 0
16043 법률외국인노동자 근무에 대한 급여미지급 19 [익명] 24/08/01 1904 0
16019 법률스타트업 법인 내부 갈등과 관련된 법적인 사항에 대해 여쭙고 싶습니다. 4 [익명] 24/07/23 1557 0
16010 법률상속포기와 관련된 법률적 절차에 대한 의문이 있습니다. 4 1cm 24/07/17 1795 0
15988 법률주택임대차계약의 묵시적 연장 조건? 8 메존일각 24/07/09 1554 0
15960 법률제 동의 없이 제 목소리를 녹음했는데 이걸 SNS에 올렸습니다. 2 박지운 24/06/26 2059 0
15952 법률전자소송 진행 도움 부탁드립니다. 11 Profit 24/06/25 1849 0
15948 법률고소를 당했(?)습니다. 7 덕후나이트 24/06/23 2641 0
15868 법률임대차관련 질문드립니다. 12 거소 24/05/20 1536 0
15844 법률작년 국내주식 양도세 문의 4 [익명] 24/05/11 1657 0
15810 법률자진퇴사/권고사직/실업급여문의입니다. 8 [익명] 24/04/29 1625 0
15797 법률상속포기 관련 9 [익명] 24/04/25 1790 0
15764 법률빌려준 돈 이자 계산 3 [익명] 24/04/15 2392 0
15748 법률전세 전입시 근저당 및 보증보험 인수 관련 문의 sarammy 24/04/06 1279 0
15705 법률부모님이 이혼하셨는데 재산분할 관련 질문입니다. 2 [익명] 24/03/19 2290 0
15656 법률전세 질문(계약서 작성) 4 박지운 24/02/25 1835 1
15640 법률업무 지시 관련... 15 먹이 24/02/19 1794 0
15634 법률임대사업자 전세보증보험 가입 관련 문의입니다. 3 대운 24/02/16 4711 0
15586 법률채권자지체 중 이행불능?이 발생했다면 이때 추가 보관비용은? 14 뉴클레오타이드 24/01/29 1670 0
15574 법률생애최초 취등록세 감면 관련 2 dolmusa 24/01/26 1483 0
15517 법률상속세 관련 상담이 필요합니다. 8 [익명] 24/01/07 1841 0
15470 법률집주인과의 분쟁으로 인한 법적 절차에 관하여 (내용증명 등) 10 양라곱 23/12/18 2204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