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4/03/19 22:19:53
Name   [익명]
Subject   부모님이 이혼하셨는데 재산분할 관련 질문입니다.


부모님이 이혼 하셨는데요. 별거를 한지 15년+@ 정도 되었던 상황이고

서로 연락도 없던 상황에서 아버지 쪽에서 문자로 연락이 왔습니다.

줄 재산도, 받을 재산도 없고, 딱 두 번만 보면 끝난다. 그 후엔 서로 볼 일이 없다. 인연을 마무리하자 라고요.

그래서 어머니는 이혼을 하고 오셨습니다. 그게 몇 달 전 일이고요




이번 달이 어머니 첫 연금 수령일인데(사학 연금입니다)

연금공단 쪽에서 연락이 온게 이혼한 배우자 측에서 연금 분할 요청이 왔다는 겁니다.


어머니한테 재산 분할 합의 한거 아니냐 했더니, 구두로만 했고

판사 앞에 가서도 두 분 이혼 하는 거 맞으시죠? 예 하고 끝났다고 합니다.


공단 측 직원도 자초지종을 듣더니 일단 다음 달로 미뤄놀테니 변호사를 선임하든 해서 해결하시라고 하는데요


일단 가정사는 이렇습니다.

결혼 초기부터 아버지는 능력이 없었고, 그런 어머니는 본인 종자돈 등등 해서 여러 번 사업을 도왔으나

여러 번 다 말아 먹었습니다. 제가 어렸던 시절에도 기억나는 것만 2~3차례이고, 제가 기억 못할 시절이나 태어나기 전에도

몇 번 그런 일이 있었다고 했습니다.

반면 어머니는 한 곳에서 40년 가량 재직하셨고요.


제가 초등학교 중~고학년일 때부터 아버지는 집에 계셨고, 그렇다고 집안일을 하는 것도 아니었습니다.

일 끝나고 들어온 어머니가 집안 일을 하고 저희를 돌봤죠.

제 어린 기억에 술 먹고 어머니 때린 것도 여러 번 봤고, 부엌칼로 옷을 찢고, 위협한 적도 있습니다.

제가 중~고등학생 때는 아버지도 자격증 같은 것을 따서 어딘 가 일을 나가긴 했지만

어머니는 한 푼의 돈도 받아본 적이 없습니다. 생활비 조차요.


그러다가 어느 날 밥상 머리에서 아버지가 여동생을 다그치고 때리려고 하는 거 제가 손을 낚아 채고

하지 말라고 하다가(당시 20살) 멱살잡이에 크게 싸우게 되었고, 원래도 소원한 관계였으나

그 이후로는 사실 상 가족이 아닌 수준으로 되어버렸습니다.


어머니는 당시 재수를 하고 있었던 저에게 피해가 갈까 걱정하셨고

보증금을 내줄테니 집에서 나가줄 것을 요구했습니다. 아버지에게요.

당연히 그 집이나 모든 것들 다 어머니가 이루신 거였고, 아버지는 그때도 수중에 한 푼도 없었습니다.

그렇게 집을 나가게 되었고, 부모님은 서로 그때부터 연락을 하지 않았습니다.

여동생도 사실상 의절한 상태고요. 그 후에도 그래도 아빠인데 하는 생각에 가끔 연락하고

정말 가끔 본 적도 있긴 했습니다만, 가정사는 그랬습니다.


저희 어머니는 한 곳에 40년 재직하면서 지각결석 단 한번도 해본 적 없으시고, 정말 주변에서 대단한 사람 소리 들을 정도로, 우직하고 한결같이 일해오셨습니다.

어떻게 보면 남편 복, 가족 복도 없는 인생이시라도, 어머니에게 인생의 마지막 프라이드는 회사 생활이었거든요

그리고 40년 동안 적립한 연금 말이죠.


이혼 때 보니 어머니가 아버지 앞으로 가입하고 내줬던 보험이나 주식, 청약, 예금 등등도 이미 다 빼서 써먹은 상태더군요....


제가 상관할 바는 아닐지 모르겠으나 저는 어머니의 저 마지막 자존심에 빨대를 꼽으려는 아버지에게 너무 화가 나는데

이거 정말 연금을 분할해줘야 하나요??



일단 변호사를 찾아가 볼 예정이긴 합니다만, 여기서도 좀 여쭈어 보고 싶습니다.




0


shadowtaki
일단 제가 아는 바로는 분할 대상입니다. 어쨌든 10년 이상 결혼생활을 유지하셨고 그러면 대부분 혼인 전 형성재산+혼인관계중 형성재산은 부부 공동의 재산으로 분할 대상이라고 변호사 통해서 들었구요. 그래서 열심히 사는 사람만 바보되는 구조죠.
1
자공진
원칙적으로 재산분할 대상이 됩니다만, 분할하지 않기로 합의할 수 있습니다. 써주신 내용대로라면 협의이혼 성립일로부터 2년이 지나지 않았고 재산분할에 관하여 명시적인 합의가 없는 것으로 보이므로, 재산분할청구의 소를 제기하신 다음 조정이나 합의를 해 보시는 것도 한 방법일 수 있어 보이는데(또는 상대방이 먼저 소를 제기해 올 수도 있습니다), 구체적인 방안은 변호사와 상담해 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6346 법률딸배헌터식 장애인주차표지 부정사용 신고 및 고발 방법? 5 Groot 24/12/02 2034 1
16345 법률좋소기업은 노무/법무를 어떻게 해결하나요? 9 [익명] 24/12/01 1613 0
16307 법률소액사기 신고를 하고 싶습니다. 6 whenyouinRome... 24/11/21 1741 0
16275 법률 아파트 매매 후 하수구 문제로 인한 배상 청구 4 누가크래커 24/11/11 1077 0
16264 법률업장에 누수가 발생했습니다. 8 니나 24/11/07 1545 0
16203 법률어제 자전거 사고 났는데 치료비 청구해도 되나요? 7 OneV 24/10/17 1610 0
16192 법률연차 사용 시 인사 평가를 낮게 준다면 법적으로 신고할 수 있나요? 6 [익명] 24/10/11 1899 0
16166 법률1층 베란다 밖에 데크 설치 가능한가요? 24 [익명] 24/09/27 2181 0
16116 법률자금난 겪고있는 회사에서 퇴직원 작성시 퇴직금 부분에 관한 문의 7 [익명] 24/09/02 2016 0
16115 법률며칠 전 노동사건 수임으로 질문글을 올렸던 사람입니다. 13 [익명] 24/09/02 1748 0
16104 법률노동사건 변호사는 어떤 경로로 찾게 되나요? 11 [익명] 24/08/28 1813 0
16103 법률고인의 유언에 따라 고인의 재산을 사회에 환원할때 16 Mandarin 24/08/27 2295 0
16065 법률아파트 주차 문제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17 알로에비누 24/08/11 1971 0
16052 법률영문으로 된 기사나 칼럼을 법원에 제출하고자 할때 절차 및 비용? 13 열한시육분 24/08/06 1926 0
16043 법률외국인노동자 근무에 대한 급여미지급 19 [익명] 24/08/01 2256 0
16019 법률스타트업 법인 내부 갈등과 관련된 법적인 사항에 대해 여쭙고 싶습니다. 4 [익명] 24/07/23 1838 0
16010 법률상속포기와 관련된 법률적 절차에 대한 의문이 있습니다. 4 1cm 24/07/17 2111 0
15988 법률주택임대차계약의 묵시적 연장 조건? 8 메존일각 24/07/09 1897 0
15960 법률제 동의 없이 제 목소리를 녹음했는데 이걸 SNS에 올렸습니다. 2 박지운 24/06/26 2372 0
15952 법률전자소송 진행 도움 부탁드립니다. 11 Profit 24/06/25 2209 0
15948 법률고소를 당했(?)습니다. 7 덕후나이트 24/06/23 4340 0
15868 법률임대차관련 질문드립니다. 12 거소 24/05/20 1834 0
15844 법률작년 국내주식 양도세 문의 4 [익명] 24/05/11 2016 0
15810 법률자진퇴사/권고사직/실업급여문의입니다. 8 [익명] 24/04/29 1942 0
15797 법률상속포기 관련 9 [익명] 24/04/25 2070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