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4/01/07 00:24:05
Name   [익명]
Subject   침입자(?) 때문에 무서워 죽겠어요....
홍차넷 선생님들께선 절대로 그러지 않으시겠지만 특정될까봐 너무 무서워서 익명 겁니다.

저는 여자이고 원룸형 다가구 주택에 월세로 혼자 거주하고 있습니다.
한 달여 전부터 제 집을 포함한 다른 이웃집에도 랜덤으로 찾아와 현관문을 주먹으로 대여섯번 쾅쾅 치고 도망갑니다.
아니 사실 주먹으로 치는건지 어떠한 흉기를 지니고 치는건지 그건 목격한 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습니다만 쾅쾅 치는 소리가 매우 큽니다. 정말 칠 때마다 쿵쿵 소리가 나요....

너무 겁나서 집주인에게 여러 번 건의를 했는데 아직도 못 잡았다는 답변만 받고 있습니다.
주택은 총 6층으로 이루어져 있고 CCTV는 층마다 1~2개씩 설치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집주인 답변이.......너무 답답합니다.
경찰에 신고하면 도망갈까봐 자기가 잡는다고 합니다.

저는 약 한 달 동안 그 사람이 제 집을 또 치고 도망가지 않을까 하는 불면증에 시달렸으며 출퇴근을 제외한 모든 외출을 삼가고 있습니다. 또 지금 매우 신경이 예민한 상황에 놓여있으며 마음같아선 지금이라도 경찰서에 신고하고 싶지만 자칫 잘못되면 집주인이 뭐라 할까봐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습니다.

저는...앞으로 어떻게 해야할까요?



0


본인 안전은 본인이 지키셔야죠. 본인의 여력이 안된다? 그럴때 경찰이 있는겁니다. 혹여나 문제가 생기면 집주인한테 따지실 수 있습니까? 경찰은 책임을 져주는 공권력입니다. 신고하세요. 자칫 잘못되면 이라고 적으셨는데 뭐가 잘못된다는건지는 모르겠습니다만, 본인 안전보다 그게 우선인가요? 본인 안전이 우선입니다.
10
[글쓴이]
감사합니다.
매뉴물있뉴
엄... 그 그냥 제 생각인데요,

현관문을 저런식으로 두들기고 다니는 사람을 잡아서 그렇게 못하게 한다거나 하는 류의 부탁을 할꺼라면 그런건 경찰을 먼저 불러서 신고한 뒤에, 집주인에게 통보했을것 같읍니다.

물론 공동현관에 비밀번호가 필요한 도어락을 걸어달라거나 하는 류의 부탁을 할꺼라면 집주인을 먼저 불렀겠지만.. 이건 좀 후순위의 대책이 아닌가 싶은데요
사레레
날 밝으면 경찰에 바로 신고하세요. 그걸 잡으라고 경찰이 있습니다.
집주인 허락을 받을 일이 아니라 직접 바로 신고하세요.
집주인 집값을 대신 걱정하실 일도 아니고, 행여 범인을 놓칠까 걱정하실 일도 아닙니다. 그건 집주인 문제고 경찰 문제에요.

한가지만 말씀드리고 싶은데
신고할 용기를 내셔서 꼭 신고하세요. 쉽지 않은 일이라는거 압니다만 본인 안전이 최우선입니다.
3
타는저녁놀
경찰에 신고하면 도망갈까봐라 자기가 잡겠다는 대답은 말 같지도 않은데요;;
질문하신 분은 많이 고통 받으시는 거 같은데 집주인은 하루에 10초도 저 침입자에 대한 생각 안 하고 신경 끄고 살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집주인이 뭐라 한들 뭐가 대수겠습니까? 질문자분 안심하고 사는 게 중요하죠. 경찰에 바로 신고하세요.
세리엔즈
내 딸이 이런 상황일 때 나는 뭐라고 조언할 것인가 생각해보면 전 경찰 신고가 정답이라고 생각합니다
도끼충김리
집주인보단 경찰에 연락을 해야하는 상황으로 보입니다. 꼭 잘 해결되길 바랍니다.
흑마법사
경찰에 신고하세요
도망갈까봐 자기가 잡는다니 뭔 소리래요.
걍 도망가게하면 되는거지.
다니엘
이사간다고 통보하셔야...
불안해서 못 살겠다 해야죠
문두드리면 경찰은 직접 바로 부르시고요.
ㅢㅘㅞ
집주인이 헛소리하고 있군요
저거 소문나서 자기 집 안나갈까봐 저러는 거 같은데요
비오는압구정
집주인이 범인 아닌가요? 그렇지 아니고서야 자기가 직접 잡겠다는 어처구니 없는 말을 할 이유가...

바로 신고 하세요...집주인이 수상함
활활태워라수정됨
집주인 신경쓰지마시고 신고하세요.
집주인들 자기 집만 신경쓰지 세입자 크게 신경 안씁니다. 제가 아무리 예의바르게 행동해도 결국 지 일만 생각해요. 눈뜨면 경찰에 신고하시고 안정부터 챙기시길 바랍니다.

결국 집주인이 게을러서 출입구에 도어락 설치 안했을거고 잡으려는 노력이 뭔지 모르겠으나 경찰보다 뛰어나지 않을겁니다. 결국 자기 이득, 돈, 월세 때문에 님이 겪은 피해 넘기려고 꾸민 말이니 너무 믿지마시고 경찰에 전화하시길 바라고 집주인이 전화했다고 책망하면 그 놈 인성이니 계약기간 끝나면 이사가시는게 어떨까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5635 기타카톡 목록 정리할때 어떻게 하시나요? 3 침묵의공처가 24/02/17 2514 0
15629 기타샤워기 질문입니다 2 김치찌개 24/02/15 2348 0
15627 기타백진주쌀 업체별 차이 16 한겨울 24/02/14 4132 0
15623 기타머리기르는중인데 질문입니다. 10 OneV 24/02/13 2489 0
15619 기타(전에 글 이어서) 강북 쪽 심리상담사를 찾고 있습니다 [익명] 24/02/11 2301 0
15608 기타제품 납품용 usb에 회사 로고 프린팅 1 레디미르 24/02/07 2278 0
15607 기타장시간 비행기 타기, 공항 대기하기 관련 조언 부탁드립니다. 23 낭만주의 24/02/07 3178 0
15595 기타롯데리아 핫크리스피버거 vs 맥도날드 빅맥 14 Groot 24/02/01 4776 0
15594 기타조문 답례품으로 뭐가 괜찮나요? 3 레몬버터 24/02/01 5597 0
15592 기타혹시 자동차 창문 하나만 썬팅바꿔 보신적있으신가요? 2 카리나남편 24/01/31 5616 0
15588 기타사회적인 기반 13 [익명] 24/01/30 2802 0
15587 기타굿네이버스라는 후원 단체 괜찮나요? 3 4시30분퇴근 24/01/29 2973 1
15578 기타새로 들어갈 원룸에 대한 조언 부탁드립니다. 1 활활태워라 24/01/28 2290 0
15573 기타아파트 누수 때문에 문의 드립니다 - 이게 수도 계량기인가요? 11 ㅢㅘㅞ 24/01/26 4538 0
15570 기타구직용 플랫폼 4 kaestro 24/01/24 2825 0
15569 기타신용카드 사용량이 타인에게 노출될 가능성에 대해 11 주문파괴자 24/01/24 2596 0
15567 기타자동차보험 갱신일이 다가 왔읍니다!! 7 Groot 24/01/24 2562 0
15562 기타이런 예능 어떤게 있나요?? 6 김치찌개 24/01/22 2806 0
15561 기타차알못 중고차 구입 후 점검 항목 13 camy 24/01/22 2657 0
15556 기타단백질 보충제 질문입니다 10 김치찌개 24/01/17 2599 0
15548 기타퇴사자의 연말정산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11 왼쪽의지배자 24/01/15 3138 0
15546 기타스포티파이 질문입니다 4 김치찌개 24/01/15 2189 0
15545 기타욕실 타일 보수(?) 문의드립니다. 2 ThisNess 24/01/14 2177 0
15543 기타광고사진 모델 이름이 궁금합니다 5 바이엘 24/01/13 3151 0
15541 기타국가별 캔들차트 색상 매칭 기준은 어떤지 아는 분 있으신지요? 7 홍당무 24/01/12 2654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